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공부62

한국어화용론5(함축, 협력, 대화격률, 격률울타리) 한국어화용론 함축  1) 함축이란ᆞ그라이스(P. H. Grice, 1967)- 발화 문장의 명시적인 의미 이외에 다른 의미를 담아서 말하기도 한다. - 직접 전달된 의미 이외에 더 추가된 의미를 함축이라고 한다.2) 협력 원리ᆞ의사소통 상황에서 대화가 원만하게 이루어지기 위해 지켜야 할 원칙ᆞ대화가 진행되는 각 단계에서 대화의 목적이나 주제, 방향에 맞게 필요한 만큼 대화에 참여하라.-대화는 2사람 이상의 참여해야 한다. ᆞ의사소통 상황에서 대화가 원만하게 이루어지기 위해 지켜야 할 원칙  대화 격률: 대화할때 지켜야 할 원칙양의 격률 상대방이 필요로 하는 만큼의 정보를 주는 것.누군가 집이 어디시나요? 물을때 적절한 대답이 필요하다. 질의 격률거짓이라 믿는 것은 말하지 말라. 증거가 없는 것 말하지 말.. 2022. 10. 14.
한국어화용론4(발화행위, 적정조건, 간접발화행위) 한국어 화용론 1. 발화 행위ᆞ오스틴(J. L. Austin, 1962)- 모든 문장은 진위로 판단되는 진술만이 아니라(참이냐 거짓이냐?) 의미는 다양하다.- 문장의 형태가 평서문이라도 항상 진술로만 쓰이는 것이 아니라 약속, 명령, 경고, 요청 등으로 사용된다.  2. 발화 행위의 종류ᆞ언표행위 : 의미를 가진 문장을 발화하는 행위ᆞ언표내적행위 : 언표행위와 함께 수반되는 행위ᆞ언표효과행위 : 언표행위의 결과로 일어나는 행위예) 엄마, 배, 고파요. =먹을 것을 달라는 의미가 전달이 된다. 그 결과로 엄마는 아이에게 먹을 것을 줄 것이다.    - 언표내적행위: 명시적 수행발화.무언가를 말하는 것 + 어떤 행위의 실천 나는 너하고 영화 볼 것을 약속할게.나는 모든 장병들이 모일 것을 명령한다. 나는 당.. 2022. 10. 13.
한국어화용론3(인칭직시, 시간직시, 장소직시, 담화직시, 사회직시) 직시의 유형  직시의 유형에는 인칭직시, 시간직시, 장소직시, 담화직시, 사회직시가 있다.  1. 인칭 직시  사람을 가리키는 직시다. 이것은 대화 참여자들의 역할을 기호화해서 화자가 그 사람을 직접 지시하는 것 ᆞ1인칭 : 나, 저, 우리, 저희ᆞ2인칭 : 너, 자네, 당신, 너희ᆞ3인칭 : 그, 그녀, 당신, 이/그/저 사람당신은 2인칭과 3인칭에도 쓰인다. 여기서 3인칭은 재귀대명사로 쓰이며, 2인칭의 당신은 상대방을 가리킨다. 여기서 2인칭의 당신은 부정적인 의미와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당신 이것좀 해줘= 부부사이-당신 몇살이야? =싸울 때 부정적 표현ᆞ‘우리’ : 포함과 배제 - 우리 뭐 좀 먹자. =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을 포함함- 우리 먼저 출발할게. = 듣고 있는 상대방을 출발.. 2022. 10. 12.
한국어 화용론2 (직시의 개념, 직시의 중심, 직시의 용법, 직시의 표현) 한국어 화용론 = 직시  直示, 직접 가리킴 => 가리키는 말을 의미1.  직시의 개념  ᆞ화자가 말을 하면서 어떤 대상을 직접 지시하는 것ᆞ그 언어 표현이 사용된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 지시하는 내용이 달라진다.직시표현이 사용된 문장.- 난 영희를 만났다.= 나는 누구? 옆에 사람이 말하면 나는 옆의 사람이 됨. - 철수가 거기에 갔다.= 거기는 어디인가? 철수가 어디에 있는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짐.- 순희와 내일 영화를 보려고 한다.= 내일은 언제인가? 오늘이 10일이다면 내일은 11일이 된다. 비 직시표현이 사용된 문장. - 철수가 11월 12일 2시에 사당역 앞에서 영희를 만났다.- 나는 어제 2시에 이 역 앞에서 너를 만났다.  2. 직시의 중심 ᆞ 화자가 어떤 대상을 직접 지시해서 말할 때 중심.. 2022.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