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공부/한국어학 개론2

음성학과 음운론(한국어학개론) 음성학이란 음성의 특성을 연구하는 분야로 언어를 말할 때 어떤 발음기관에서 만들어지며, 그 음파의 특성은 어떠한지 등을 관찰하는 학문이다. 이와 관련해서 음운론은 음운의 기능과 체계이며 음운현상(음운 규칙)등을 연구하는 분야인데 여기서 '음운'은 '음소' + '운소'를 말함. 음성학과 음운론을 잘 구분해야한다.  1. 한국어학개론 음성학  1  발음기관은 크게 3가지다 : 호흡기관, 발성기관, 조음기관공기가 흘러나오는 입 속 통로인 구강 코 쪽 통로인 비강이 있다. 이것이 소리를 만들어 낸다.  2 조음체와 조음점조음이란 소리를 내는 과정인데 이것은 성문을 통과한 공기를 입 안 어디 부위에서 막거나 장애를 일으키면서 조정하여 소리를 만든다.조음체: 조음 과정에서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부분이다. 예) 아랫입.. 2024. 11. 2.
한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특징(방언과 사투리 and 한국어학) 한국어는 한국인이 사용하는 언어로서 한반도의 전역과 제주도를 비롯한 한반도 주변의 섬에서 사용 하는 언어이다. 한국어학의 대상은 한국어이며 이것은 시간적 공간적 범위를 포함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국어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1. 한국어와 한국어학은 무엇인가?   한국어는 한국인이 사용하는 언어로서 한반도의 전역과 제주도를 비롯한 한반도 주변의 섬에서 사용 하는 언어이다.한국어의 범위는 시간적 범주와 공간적 범주로 나뉜다. 공간적 범주에서는 표준어와 각지역에 사용하는 방언이다. 시간적 범주에서는 현재 사용하는 한국어와 과거에 사용한 한국어로 나눌 수 있다. 한국어를 배우는 한국어학은 한국어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며 시간적 공간적 범위를 모두 포함한다.  한국어학의 대상은 한국어의 범.. 2024.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