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공부62

한국어 의미론(의미의 의의, 의미의 유형) 한국어의미론  한국어에서 의미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여기서는 언어와 문장의 의미를 다루며 의미를 연구할 때 의미는 무엇인가? 1 의미의 의의  지시설ᆞ단어나 문장과 같은 한 언어 표현의 의미는 그 표현이 지시하는 지시물이다. ᆞ한 언어 표현의 의미를 그 표현이 실제 지시하는 대상과 동일시 한다.ᆞ추상적인 대상들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ᆞ하나의 대상에 둘 이상의 표현이 나타나는 경우에 의미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개념설ᆞ하나의 언어 표현에 마음이나 머리 속에 떠오르는 관념이나 개념이다.ᆞ사람의 마음이나 정신 속에서 그 표현과 관련된 관념, 개념이 의미이다. ᆞ추상적인 대상들에 대한 설명이 가능하다.ᆞ추상적인 개념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ᆞ개념과 연관되지 않는 단어들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2 의미의.. 2022. 9. 28.
한국어 의미론 (동음이의어, 다의어, 비유) 한국어 의미론  한국어에는 같은 단어에 여러가지 의미가 있는 단어들이 존재하는데,,그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1 동음이의어 관계  형식은 하나인데 의미가 여러개인 것 즉, 어휘의 형태는 같지만 의미가 다른 언어들의 관계이다. 말:말 배:배 다리 : 다리 시내 : 시내 은행 : 은행 쓰다 : 쓰다 부정 : 부정 의미는 다르지만 소리가 같다.  묻다= 두가지 의미가 있다.  1. 물어보다의 묻다. 2. 매장하다의 묻다.  - 동음이의어는 절대 동음어와 부분 동음어가 있다.    1) 절대 동음어 : ᆞ의미가 관련이 없다.ᆞ어형이 모든 형태에서 같다.ᆞ같은 형태일 때 문법적으로 대등하다.  배 : 저배가 크다. 먹는 배 타는 배 둘다 사용 가능함 2) 부분 동음어 묻다 물어보다의 묻다와 매장하다의 묻다.. 2022. 9. 27.
한국어통사론4(시간표현, 피동표현, 사동표현, 부정표현) 한국어 통사론이번에는 한국어 통사론에서 시간표현, 피동표현, 사동표현, 부정표현을 정리하고자 한다.   1. 시간 표현:   시제 표현을 나타내는 것이다. 시간을 나타내기 위한 언어 표현으로 시간을 인위적으로 구분하는 문법 범주이다. 이것은 선어말 어미, 시간 부사어, 관형사형 어미를 통해서 실현된다.시제 표현의 종류는 발화시(發時)와 사건시(事件時)가 어떤 관계에 있느냐에 따라 시제는 대개 과거 시제, 현재 시제, 미래 시제로 나뉜다.어떤일이 말보다 앞설 때 과거어떤일이 말과 같은 시기 현재어떤일이 있고 말보다 뒤에 올 땐 미래시제(1) 과거 시제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앞서 있는 시제를 말한다.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 ‘-았-/-었-’을 사용. ‘-았었-/-었었-’도 발화시보다 훨씬 전에 발생하여 현재와.. 2022. 9. 26.
한국어 '문장의 종결과 높임법(평서문, 의무문, 명령문, 청유문, 감탄문)(상대높임법,주체높임법,객체높임법)' 한국어 문장의 종결과 높임법   이번에는 한국어에서의 문장의 종결과 한국어에서만 유일하게 있는 높임말등을 정리하겠습니다~ 1. 문장의 종결  • 종결어미란~ 국어의 문장은 종결 표현에 따라 전체 문장의 의미가 좌우된다. 이러한 국어의 종결 표현을 구체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종결어미이다.• 종결 표현 방식에 따른 국어의 문장 종류는 모두 5가지며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감탄문이 있다.(ᄀ) 평서문 : 화자가 청자에게 특별히 요구하는 바 없이, 하고 싶은 말을 단순하게 진술하는 문장 (-다)(ᄂ) 의문문 : 화자가 청자에게 질문하여 대답을 요구하는 문장 (-느냐/냐)1) 설명 의문문 : 의문사가 포함되어 일정한 설명을 요구하는 의문문-> 무슨일 있니?2) 판정 의문문 : 의문사 없이 단순히 긍정이.. 2022. 9.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