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공부62 한국어 맞춤법3(띄어쓰기) 띄어 쓰기 1. 조사 제 41항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2. 의존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제42항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제43항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다.두시 삼십분 오초 제일과 삼학년 육층 1446년 10월 9일2대대16동 502호 제1실습실 80원 10개 7미터 제44항 수를 적을 적에는 ‘만(萬)’ 단위로 띄어 쓴다.십이억 삼천사백오십육만 칠천팔백구십팔12억 3456만 7898 제45항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할 적에 쓰이는 다음의 말들은 띄어 쓴다.제46항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붙여 쓸 수 있다.좀더 큰것, 이말 저말, 한잎 두잎 3. 보조 용.. 2022. 12. 17. 한국어 맞춤법2 (사이시옷, 준말) 1. 사이시옷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2) 뒷말의 첫소리 ‘ᄂ, ᄆ’ 앞에서 ‘ᄂ’ 소리가 덧나는 것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ᄂᄂ’ 소리가 덧나는 것 2)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2) 뒷말의 첫소리 ‘ᄂ, ᄆ’ 앞에서 ‘ᄂ’ 소리가 덧나는 것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ᄂᄂ’ 소리가 덧나는 것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3)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제31항 두 말이 어울릴 적에 ‘ᄇ’ 소리나 ‘ᄒ’ 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대로 적는다. (1) ‘ᄇ’ 소리가 덧나는 것 (2) ‘ᄒ’ 소.. 2022. 12. 15. 한국어 어휘(어휘의 개념, 어휘론의 연구영역, 어휘의 일반적 특성) 한국어 어휘론 여러 종류의 특정한 언어체계 그 어휘소의 총체가 그 언어체계의 어휘라 할 수 있다. 1. 어휘의 개념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 특정한 언어체계가 가지고 있는 어휘소의 총체가 그 언어체계의 어휘라고 할 수 있다.한국어 · 영어 등 특정한 개별언어충청도방언 · 경기도방언 등 특정지역의 언어(지역방언)여러 사회계층의 언어, 각 전문분야의 언어 등도 포함된 이른바 사회방언개인의 언어, 개인이 실지로 사용하는 언어는 한 종족이 가지는 언어체계 속에서 선택됨 2. 어휘론의 연구 영역 3. 한국어 어휘의 일반적인 특성 1) 국어 국문학 자료사전 (1) 한자어, 기타 외래어의 유입 때문에 유의어가 많아졌다. 특히 한자어가 미치는 영향이 크다. 유의어의 발달은 표현 전달의 명확성을 해친다는 점에.. 2022. 10. 30. 한국어화용론6(대화함축, 고정함축, 등급함축, 절 함축) 함축 함축은 어떤 유형의 함축이 있을까?? 1. 함축의 종류 ᆞ그라이스(P. H. Grice, 1967)- 대화함축 : 화용론적 원리에 의해 추론되는 함축 대화 상에서 만들어지는 함축이다. (일반 대화함축, 특정 대화함축)- 고정함축 : 특정 어휘의 자질(성격)에 의해 일어나는 함축ᆞ개즈더(G. Gazdar, 1979) - 등급함축, 절함축ᆞ대화 함축 : 일반 대화 함축A: 서류와 통장을 가지고 있습니까? B: 서류는 가지고 있는데요.이 대화 만으로 함축이 일어나고 있다. 이것은 자동적으로 통장은 가지고 있지 않다는 함축이 일어나고 있다. 김선생님은 자녀가 몇 명이십니까?김선생님은 자녀가 있고 결혼을 했다는 함축이 있다. ᆞ대화 함축 : 특정 대화 함축A: 오늘 저녁에 모임에 올 수 있어? B: 오늘.. 2022. 10. 15.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