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공부/한국어 맞춤법5 한국어 맞춤법5 (가운뎃점, 쌍점, 빗금, 큰따옴표, 작은따옴표, 소괄호, 중괄호, 대괄호, 겹화살괄호, 홀화살괄호) 1. 가운뎃점(ᆞ)(1) 열거할 어구들을 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나타낼 때 쓴다. 예) 민수ᆞ영희, 선미ᆞ준호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를 하였다.예) 지금의 경상남도ᆞ경상북도, 전라남도ᆞ전라북도, 충청남도ᆞ충청북도 지역을 예부터 삼남이라 일러 왔다. (2) 짝을 이루는 어구들 사이에 쓴다.다만, 이때는 가운뎃점을 쓰지 않거나 쉼표를 쓸 수도 있다.(3)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을 때 쓴다.이때는 가운뎃점 대신 쉼표를 쓸 수 있다. 2. 쌍점( : )(1) 표제 다음에 해당 항목을 들거나 설명을 붙일 때 쓴다.(2) 희곡 등에서 대화 내용을 제시할 때 말하는 이와 말한 내용 사이에 쓴다.(3) 시와 분, 장과 절 등을 구별할 때 쓴다.(4) 의존명사 ‘대’가 쓰일 자리에 쓴다.쌍점의 앞은 붙.. 2022. 12. 19. 한국어 맞춤법4 (문장부호,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문장부호 문장 부호는 글에서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글쓴이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문장 부호의 이름과 사용법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1. 마침표( . )(1)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붙임 1] 직접 인용한 문장의 끝에는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쓰지 않는 것을 허용한 다.(ᄀ을 원칙으로 하고, ᄂ을 허용함.)[붙임 2] 용언의 명사형이나 명사로 끝나는 문장에는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쓰지 않는 것을 허용한다.(ᄀ을 원칙으로 하고, ᄂ을 허용함.)단, 제목이나 표어에는 쓰지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2)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연월일을 표시할 때 쓴다.(3) 특정한 의미가 있는 날을 표시할 때 월과 일을 나타내는 아라비아 숫자 사이에 쓴다. 이때는 마침표 대신.. 2022. 12. 17. 한국어 맞춤법3(띄어쓰기) 띄어 쓰기 1. 조사 제 41항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2. 의존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제42항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제43항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다.두시 삼십분 오초 제일과 삼학년 육층 1446년 10월 9일2대대16동 502호 제1실습실 80원 10개 7미터 제44항 수를 적을 적에는 ‘만(萬)’ 단위로 띄어 쓴다.십이억 삼천사백오십육만 칠천팔백구십팔12억 3456만 7898 제45항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할 적에 쓰이는 다음의 말들은 띄어 쓴다.제46항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붙여 쓸 수 있다.좀더 큰것, 이말 저말, 한잎 두잎 3. 보조 용.. 2022. 12. 17. 한국어 맞춤법2 (사이시옷, 준말) 1. 사이시옷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2) 뒷말의 첫소리 ‘ᄂ, ᄆ’ 앞에서 ‘ᄂ’ 소리가 덧나는 것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ᄂᄂ’ 소리가 덧나는 것 2)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2) 뒷말의 첫소리 ‘ᄂ, ᄆ’ 앞에서 ‘ᄂ’ 소리가 덧나는 것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ᄂᄂ’ 소리가 덧나는 것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3)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제31항 두 말이 어울릴 적에 ‘ᄇ’ 소리나 ‘ᄒ’ 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대로 적는다. (1) ‘ᄇ’ 소리가 덧나는 것 (2) ‘ᄒ’ 소.. 2022. 12. 1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