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공부/한국어 교육개론3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념(언어능력, 자료의 유용성, 외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과정은 어떤게 있을까?? 교육과정의 설계와 가르치는 교수원리에 대해 살펴본다. 1. 한국어 교육과정 개념(1) 교육과정의 일반적 개념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방법, 교재, 교육평가에 대한 안내와 교수학습의 전체적인 계획표등 전반적인 과정을 교육과정이라고 한다.각각의 목적에 맞게 설계하고 진행해야 한다. 이것은 교육을 위한 전반적인 과정이라 볼 수 있다. (2) 한국어의 개념- 국어(nationallanguage): 국가의 언어라는 뜻으로 이 용어를 쓰는 사람에 따라 각각 다른 언어를 가리킬 수 있다.- 한국어(Korean): 세계의 다른 언어들과 구별되는 고유명사로서 한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주로 대외적으로 사용된다.- 제1언어(first language): 모국어- 제2언어(second la.. 2022. 12. 28. 한국어 교육론(한국어, 국어, 한국어교사, 한국어교육) 한국어 교육의 개념의 범위는 어떻게 되며...어떤 사람이 한국어교사가 될 수 있는가??그리고 교육의 대상과 목표를 어떻게 설정할 수 있을까??1. 한국어 교육의 개념 1) 한국어와 국어① 국어: 한 나라, 혹은 한민족(韓民族)이 사용하는 말이다. 국어 교육은 한국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문학과 문법을 비롯한 국어 전반을 가 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② 한국어: 세계의 여러 언어 중 하나로서 '한민족이 사용하는 말' 한국어 교육은 외국인이나 재외한국인, 교포들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한국의 문화 전반을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표준국어대사전』의 정의 따른 한국어는 한국인이 사용하는 언어. 형태상으로는 교착어이고, 계통적으로는 알타이어족에 속한다. 한반도 전역 및 제주도를 위시한 한반도 주변의 섬에서 쓴.. 2022. 12. 24. 한국어 어휘(어휘의 개념, 어휘론의 연구영역, 어휘의 일반적 특성) 한국어 어휘론 여러 종류의 특정한 언어체계 그 어휘소의 총체가 그 언어체계의 어휘라 할 수 있다. 1. 어휘의 개념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 특정한 언어체계가 가지고 있는 어휘소의 총체가 그 언어체계의 어휘라고 할 수 있다.한국어 · 영어 등 특정한 개별언어충청도방언 · 경기도방언 등 특정지역의 언어(지역방언)여러 사회계층의 언어, 각 전문분야의 언어 등도 포함된 이른바 사회방언개인의 언어, 개인이 실지로 사용하는 언어는 한 종족이 가지는 언어체계 속에서 선택됨 2. 어휘론의 연구 영역 3. 한국어 어휘의 일반적인 특성 1) 국어 국문학 자료사전 (1) 한자어, 기타 외래어의 유입 때문에 유의어가 많아졌다. 특히 한자어가 미치는 영향이 크다. 유의어의 발달은 표현 전달의 명확성을 해친다는 점에.. 2022. 10. 3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