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화용론 = 직시
直示, 직접 가리킴 => 가리키는 말을 의미
1. 직시의 개념
ᆞ화자가 말을 하면서 어떤 대상을 직접 지시하는 것 ᆞ그 언어 표현이 사용된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 지시하는 내용이 달라진다. |
직시표현이 사용된 문장.
- 난 영희를 만났다.
= 나는 누구? 옆에 사람이 말하면 나는 옆의 사람이 됨.
- 철수가 거기에 갔다.
= 거기는 어디인가? 철수가 어디에 있는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짐.
- 순희와 내일 영화를 보려고 한다.
= 내일은 언제인가? 오늘이 10일이다면 내일은 11일이 된다.
비 직시표현이 사용된 문장.
- 철수가 11월 12일 2시에 사당역 앞에서 영희를 만났다.
- 나는 어제 2시에 이 역 앞에서 너를 만났다.
2. 직시의 중심
ᆞ 화자가 어떤 대상을 직접 지시해서 말할 때 중심이 되는 기준. 여기서는 말하는 사람이 중심이 됨
- 나(화자)는 내일 중국 출장을 갈 예정이다.
- 여기(말하는 사람이 있는 장소)가 어디인지 정말 모르겠다.
- 지금(화자가 말하는 시간)은 기분이 좋아졌다.
ᆞ투사 : 화자가 직시의 기준점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 (부재중) 지금은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 청자를 중심으로 직시의 대상이 투사됨.
- (아이에게) 엄마 집에 계시니?
= 아이의 엄마에게
- (손자에게) 누나는 몇 학년이지?
= 아이의 누나에게
3. 직시의 용법
ᆞ제스처 용법 : 직시 표현으로 의미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 몸짓이나, 표정 등을 사용하여 대상을 가리킨다.
- 너, 너, 수업 끝나고 따라와! | = 만드시 제스쳐가 동반되어야 한다. |
- 여기는 철수 집이고, 저기는 영수 집이야. | = 제스쳐가 없으면 어디가 누구 집인지 모름 |
- 그 사람이 아니라 저 사람이 내동생이야. | = 반드시 몸짓이나 표정이 동반되어야 한다. |
ᆞ상징적 용법 : 제스처가 사용되지 않으나 맥락을 통해 그 대상을 분명하게 알 수 있는 경우
- 그 사람 오늘 저기압이다.
- 우리 다음 주에 지난 번 거기 갈까?
- 오늘은 그 때 거기에 가서 그거 먹자!
4. 직시표현
2원 체계와 3원 체계
- 2원 체계 : this / that 영어, 중국어
- 3원 체계 : 한국어, 일본어, 스페인어 등
- 이 / 그 / 저 사람
- 이 / 그 / 저 곳
- 이 / 그 / 저 다음
ᆞ나 먼저 원리 : 직시 표현이 둘 이상 겹치는 경우 화자 중심으로 배열된다.
- 여기저기, 이리저리, 이족저쪽, 요모조모
- 그럭저럭, 그만저만
- 엊그제, 오늘내일, 내일모레
- 자타, 안팎, 남북, 한일
예외: 신사숙녀, 소년소녀, 엄마아빠, 처녀총각
이런것들은 주로 사회에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대상이 앞으로 배열되기도 한다.
정리하면
1. 직시의 개념
- 화자가 말을 하면서 어떤 대상을 직접 지시하는 것을 직시라 한다.
2. 직시의 중심
- 화자가 어떤 대상을 가리킬 때의 기준점을 직시의 중심이라고 하고 화자를 중심으로 표현된다.
3. 직시의 용법
- 직시 표현으로 의미가 분명하지 않을 때 몸짓과 표정을 통해 대상을 가리키는 것을 제스처 용법이라고 하고, 맥락을 통해 의미를 분명하게 가리키는 것을 상징적 용법이라고 한다.
4. 직시표현
- 한국어는 이 그 저의 3원 체계를 가지며, 직시 표현이 겹치는 경우는 화자를 중심으로 표현된다.
'한국어 공부 > 한국어 화용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화용론6(대화함축, 고정함축, 등급함축, 절 함축) (1) | 2022.10.15 |
---|---|
한국어화용론5(함축, 협력, 대화격률, 격률울타리) (0) | 2022.10.14 |
한국어화용론4(발화행위, 적정조건, 간접발화행위) (0) | 2022.10.13 |
한국어화용론3(인칭직시, 시간직시, 장소직시, 담화직시, 사회직시) (1) | 2022.10.12 |
한국어화용론(개념, 특성, 비교) (0) | 2022.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