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평가 도구의 개념과 설계: 반 개방형 문항과 지시문 작성
언어 평가는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교육 과정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효과적인 언어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설계하기 위해서는 문항과 지시문 작성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반 개방형 문항의 주요 유형인 단답형, 괄호형, 규칙 빈칸 메우기, 그리고 개방형 문항의 주요 유형인 논술형, 그 외 개방형 문항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문항과 지시문 작성 시 고려해야 할 제작 지침과 장단점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반 개방형 문항과 지시문 작성 1) 단답형단답형 문항은 간단한 단어, 구, 문장, 숫자 등의 제한된 형태의 반응을 유도하는 문항 유형입니다. 이는 주로 읽기, 듣기 지문의 이해도, 어휘의 의미, 용어 등의 지식을 측정하는 데 효과적입니다.단답형 문항..
2024. 11. 23.
한국어 언어 평가 개념과 설계: 채점, 점수의 해석, 평가의 검증
언어 평가 결과의 해석과 활용 1) 채점채점은 평가에 제시된 학습 목표에 대한 학습자의 성취 정도를 수량화하여 정리하는 과정입니다.폐쇄형 문항 채점: 객관성과 신뢰도가 높지만, 추측에 의한 정답 반응 가능성이 있습니다.개방형 문항 채점: 타당도는 높으나, 채점의 객관성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채점 기준표를 마련하여 채점의 일관성을 확보합니다.2) 점수의 해석채점이 완료된 후, 수험자의 점수를 다양한 통계적 방법을 통해 해석합니다.a. 중앙치정의: 점수가 순서대로 배열되었을 때 중앙에 위치한 점수.예시: 9명의 학생이 51, 52, 62, 63, 73, 74, 84, 85, 95의 점수를 받았다면 중앙치는 73점입니다.b. 평균치정의: 모든 수험자의 점수를 합산하여 응시자 수로 나눈 값.예시: 9명의 학생..
2024. 1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