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시의 유형
직시의 유형에는 인칭직시, 시간직시, 장소직시, 담화직시, 사회직시가 있다.
1. 인칭 직시
사람을 가리키는 직시다. 이것은 대화 참여자들의 역할을 기호화해서 화자가 그 사람을 직접 지시하는 것
ᆞ1인칭 : 나, 저, 우리, 저희 ᆞ2인칭 : 너, 자네, 당신, 너희 ᆞ3인칭 : 그, 그녀, 당신, 이/그/저 사람 |
당신은 2인칭과 3인칭에도 쓰인다. 여기서 3인칭은 재귀대명사로 쓰이며, 2인칭의 당신은 상대방을 가리킨다. 여기서 2인칭의 당신은 부정적인 의미와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당신 이것좀 해줘= 부부사이
-당신 몇살이야? =싸울 때 부정적 표현
ᆞ‘우리’ : 포함과 배제
- 우리 뭐 좀 먹자. =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을 포함함 - 우리 먼저 출발할게. = 듣고 있는 상대방을 출발하지 않는 것 |
ᆞ‘저희’ : 배제
- 저희가 하겠습니다.
=듣고 있는 상대방은 하지 않는다.
2. 시간 직시
시간을 나타내 주는 직시 표현이다.
ᆞ화자가 사건이 일어난 시간을 기호화해서 그 시간을 직접 지시하는 것을 말한다.
- 지금, 방금, 아까, 오늘, 어제, 내일 - 하루 전, 이틀 후, 이번 달, 지난 달, 다음 달 - 이 때, 그 때, 이 다음, 그 다음 - -는-, -었-, -겠-, -더- |
ᆞ발화시 : 화자가 발화한 시간(화자가 말한 시간)
수신시 : 청자가 청취한 시간(듣는이가 들은 시간)
ᆞ표준 발화 : 직시의 동시성을 갖는 발화
만약 말하는 시간과 듣는 사람의 시간이 다르다면??
- 2시에 돌아오겠습니다. - 2시간 후에 돌아오겠습니다. |
= 정확히 2시 = 듣는 사람이 언제 듣는가에 따라 다르다. |
나는 미국으로 가는 비행기 안에서 편지를 쓴다. = 현재 나는 미국으로 가는 비행기 안에서 편지를 썼다. = 과거 |
ᆞ시제 표현
철수가 밥을 먹었다./먹는다./먹겠다.
나는 내일 놀러 간다. / 상대시제
아버지 오시면 너희 죽었다. /상대시제
사람은 누구나 죽는다. / 현재형
물을 얼리면 부피가 팽창한다. / 현재형
ᆞ‘앞’ 시간 직시
- 앞=전, 뒤=후 :장소
- 시간 일 때 앞=전*, 뒤=후
시간에서 사용할 때 다를 수 있다.
앞에 뭐 했어? =과거의미 앞으로 할 일 = 미래의미 |
3. 장소 직시
ᆞ발화와 관련된 사람과 사물의 위치를 기호화해서 직접 지시하는 것
여기, 거기, 저기 이리, 그리, 저리 오른쪽, 왼쪽, 앞, 뒤, 전, 후 오다,가다 등 |
ᆞ인칭 직시적 용법 : 장소 직시 표현으로 사람을 지시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는 내 동생이고, 저기는 내 친구야. 이쪽은 고등학교 동창이고, 저쪽은 대학 동창이야. |
‘오른쪽/왼쪽’ : 직시적 용법과 비직시적 용법
이 건물 왼쪽에 있는 식당이 맛있어. | = 직시적 사용은 나를 기준으로 건물을 봤을때 |
영수 뒤에 있는 사람이 순희야. | = 직시적 용법은 말하는 사람의 기준으로. |
ᆞ‘오다/가다’
: 화자 중심 표현과 청자 중심 표현
철수가 찾아오면 꼭 알려드리겠습니다. | = 철수가 화자 중심 |
철수가 찾아오면 꼭 알려주세요. | = 철수가 청자 중심 |
기회가 왔을 때 꼭 잡았어. | = 기회는 말하는 사람에게 왔다. |
기회가 왔을 때 꼭 잡도록 해. | = 기회가 청자에게 기회가 왔다. |
4. 담화 직시
ᆞ담화 상의 한 부분을 기호화해서 직접 지시하는 것
이것은 내가 자신 있게 하는 말입니다. 이번에는 꼭 합격합니다.
= 이것은 합격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다. 그것은 파스칼이 한 말이다.
= 그것은 파스칼의 말
5. 사회 직시
ᆞ대화 참여자들의 사회적 신분이나 관계를 언어 구조 속에 기호화해서 직접 지시하는 것
ᆞ사회 직시는 높임법과 직접적인 관계
아버지께서 오셨다. = 상대가 아랫사람 영수가 도착했어요. = 상대가 윗사람 선생님, 안녕히 주무셨어요? = 상대가 윗사람 |
졸고를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내가 쓴 글을 낮췄으니 상대는 나보다 윗사람
김 선생님은 따님이 있으시지요?
= 나보다 윗사람의 자녀를 말할 때 따님을 사용
ᆞ관계적 정보
어머니, 아버지께서 할아버지께 선물을 드리셨습니다.
ᆞ절대적 정보
= 특정한 사회적으로 공인된 화자나 청자를 나타냄
짐, 과인, 폐하, 전하, 각하, 성하
'한국어 공부 > 한국어 화용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화용론6(대화함축, 고정함축, 등급함축, 절 함축) (1) | 2022.10.15 |
---|---|
한국어화용론5(함축, 협력, 대화격률, 격률울타리) (0) | 2022.10.14 |
한국어화용론4(발화행위, 적정조건, 간접발화행위) (0) | 2022.10.13 |
한국어 화용론2 (직시의 개념, 직시의 중심, 직시의 용법, 직시의 표현) (0) | 2022.10.11 |
한국어화용론(개념, 특성, 비교) (0) | 2022.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