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공부62

한국어 교육과정의 설계 및 교수 원리(상호활동, 과제수행중심, 내재화, 절충주의) 한국어 교육과정의 설계절차는 어떻게 진행될까?? 교육과정속에서 교재 구성과 교수법에 대해 알아본다.  1. 한국어 교육 과정의 설계 절차 1단계 = 학습자의 요구 조사가 가장먼저 시작되어야 한다. 학습자들이 무엇을 어떻게 배우고 싶어하는가 등에 대한 요구 조사 분석한다. 이전: 학습 목적, 희망 내용, 학습자 모국어, 연령 등 객관적 내용 조사 중요현재: 학습자의 학습 전략, 선호 활동 유형 등 주관적 요구 파악도 중요기타: 교육 환경, 학급 규모, 교사 자질 등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교수요목을 설계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절차문법적 교수요목 설계시: 문법의 복잡성, 난이도, 사용 빈도, 교육적 편의 고려과제중심 교수요목 설계시: 교수항목의 선정과 배열에 객관적 기준 확보위해 학습자가 실제 의사소통.. 2022. 12. 29.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념(언어능력, 자료의 유용성, 외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과정은 어떤게 있을까?? 교육과정의 설계와 가르치는 교수원리에 대해 살펴본다. 1. 한국어 교육과정 개념(1) 교육과정의 일반적 개념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방법, 교재, 교육평가에 대한 안내와 교수학습의 전체적인 계획표등 전반적인 과정을 교육과정이라고 한다.각각의 목적에 맞게 설계하고 진행해야 한다. 이것은 교육을 위한 전반적인 과정이라 볼 수 있다. (2) 한국어의 개념- 국어(nationallanguage): 국가의 언어라는 뜻으로 이 용어를 쓰는 사람에 따라 각각 다른 언어를 가리킬 수 있다.- 한국어(Korean): 세계의 다른 언어들과 구별되는 고유명사로서 한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주로 대외적으로 사용된다.- 제1언어(first language): 모국어- 제2언어(second la.. 2022. 12. 28.
한국어 교육원리 그리고 방법(한국어 이해영역, 한국어 표현영역) 한국어 교육의 원리와 방법  한국어를 안다고 해서 모두가 가르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와 보다 효과적인 방법들을 알고 가르치는 것과 모르고 가르치는 것에 대한 결과는 큰 차이로 나타날 것이다. 이번에는 한국어 교육원리와 한국어 교육의 방법을 살펴볼 것이다.  1. 한국어 교육의 목표1) 외국어 교육의 목표① 의사소통- 외국어를 통해 다른 언어권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음- 문법적 능력, 사회언어학적 능력, 담화 능력, 전략적 능력② 문화- 외국 문화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터득③ 비교-타문화와의 비교를 통해 본인이 속한 사회의 언어와 문화를 이해 ④ 연계- 특정 학과목을 외국어로 습득하여 지식과 정보 확장 ⑤ 공동체- 국내외의 다언어, 다문화 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음2) .. 2022. 12. 27.
한국어 교육 현황(교육담당기관, 교육대상현황, 국외한국어교육) 1. 한국어 교육의 현황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은 있는지그 기관이 어떤일을 하는지최근의 한국어 교육은 어떻게변하고 있는가? 1) 한국어 교육 담당 기관① 정부 및 관련 기관- 문화 체육 관광부국립국어원: 한국어 교원 자격 심사와 자격증 발급, 국외 한국어 교원 초청 연수, 국내외 한국어 교육 자료 개발과 보급세종학당재단(해외): 세종학당을 지원국어문화원: 다문화 배경의 한국어 학습자 지원- 교육부국립국제교육원: 재외 동포 교육과 국제 교육 교류 및 협력 담당, 한국어능력시험 운영다문화 교육센터: 다문화 배경의 한국어 학습자 지원- 외교부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국제협력단(KOICA): 한국어 및 한국 문화 교육 봉사단 파견과 한국어 연수생 초청 사업재외동포재단: 재외 한글학교 재원, 한글학교 교사 연수.. 2022. 1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