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3

한국어화용론3(인칭직시, 시간직시, 장소직시, 담화직시, 사회직시) 직시의 유형  직시의 유형에는 인칭직시, 시간직시, 장소직시, 담화직시, 사회직시가 있다.  1. 인칭 직시  사람을 가리키는 직시다. 이것은 대화 참여자들의 역할을 기호화해서 화자가 그 사람을 직접 지시하는 것 ᆞ1인칭 : 나, 저, 우리, 저희ᆞ2인칭 : 너, 자네, 당신, 너희ᆞ3인칭 : 그, 그녀, 당신, 이/그/저 사람당신은 2인칭과 3인칭에도 쓰인다. 여기서 3인칭은 재귀대명사로 쓰이며, 2인칭의 당신은 상대방을 가리킨다. 여기서 2인칭의 당신은 부정적인 의미와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당신 이것좀 해줘= 부부사이-당신 몇살이야? =싸울 때 부정적 표현ᆞ‘우리’ : 포함과 배제 - 우리 뭐 좀 먹자. =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을 포함함- 우리 먼저 출발할게. = 듣고 있는 상대방을 출발.. 2022. 10. 12.
한국어 화용론2 (직시의 개념, 직시의 중심, 직시의 용법, 직시의 표현) 한국어 화용론 = 직시  直示, 직접 가리킴 => 가리키는 말을 의미1.  직시의 개념  ᆞ화자가 말을 하면서 어떤 대상을 직접 지시하는 것ᆞ그 언어 표현이 사용된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 지시하는 내용이 달라진다.직시표현이 사용된 문장.- 난 영희를 만났다.= 나는 누구? 옆에 사람이 말하면 나는 옆의 사람이 됨. - 철수가 거기에 갔다.= 거기는 어디인가? 철수가 어디에 있는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짐.- 순희와 내일 영화를 보려고 한다.= 내일은 언제인가? 오늘이 10일이다면 내일은 11일이 된다. 비 직시표현이 사용된 문장. - 철수가 11월 12일 2시에 사당역 앞에서 영희를 만났다.- 나는 어제 2시에 이 역 앞에서 너를 만났다.  2. 직시의 중심 ᆞ 화자가 어떤 대상을 직접 지시해서 말할 때 중심.. 2022. 10. 11.
한국어화용론(개념, 특성, 비교) 화용론  話用 말씀언 쓸용 =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 동일한 문장이 다른기능을 하게 되는데 이것을 연구하는 분야를 말한다. 예) 괜찮다.= 중간의 의미를 가진다. 그런데 이게 상황에 따라 다르게 사용한다. 1. 화용론의 개념  - 언어 표현은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가에 따라 같은 표현이 여러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것을 연구하는 분야가 화용론이다.  예를 들면 = ‘ 날씨가 춥다.’- 의미론적 해석 : 진리 조건 = 상황과 그대로 받아 들이는 것.- 화용론적 해석 : 비진리 조건 = 이외의 의미를 생각하는 것.누군가가 한 말 이말의 의미가 무엇인가??이것을 생각하는 것이 화용론이다.왜냐하면, 하나의 언어 표현은 사용된 맥락과 상황 등의 언어 외적인 특성에 따라 그 의미가 다양하게 나타난다.말의 내용말의.. 2022. 10. 10.
한국어맞춤법(1항~29항) 한국어 맞춤법   제1장 총칙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제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제2장 자모제4항 한글 자모의 수는 스물넉자로 하고,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1) 위의 자모로써 적을 수 없는 소리는 두 개 이상의 자모를 어울러서 적되, 그 순서 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ᄁ(쌍기역) ᄄ(쌍디귿) . ᄈ(쌍비읍) ᄊ(쌍시옷)ᄍ(쌍지읒)ᅢ(애) ᅤ(얘) ᅦ(에) ᅨ(예) ᅪ(와) ᅫ(왜) ᅬ(외) ᅯ(워) ᅰ(웨) ᅱ(위) ᅴ(의)2) 사전에 올릴 적의 자모 순서는 다음과 같이 정한다.자음: ᄀ모음: ᅡᄁ ᄂ ᄃ ᄄ ᄅ ᄆ ᄇ ᄈᄉᄊᄋᄌᄍᄎᄏ ᄐᄑ해 ᅣ ᅤ ᅥ .. 2022. 10.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