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용론
話用 말씀언 쓸용 =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 동일한 문장이 다른기능을 하게 되는데 이것을 연구하는 분야를 말한다.
예) 괜찮다.= 중간의 의미를 가진다. 그런데 이게 상황에 따라 다르게 사용한다.
1. 화용론의 개념
- 언어 표현은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가에 따라 같은 표현이 여러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것을 연구하는 분야가 화용론이다.
예를 들면 = ‘ 날씨가 춥다.’
- 의미론적 해석 : 진리 조건 = 상황과 그대로 받아 들이는 것. |
- 화용론적 해석 : 비진리 조건 = 이외의 의미를 생각하는 것. |
누군가가 한 말 이말의 의미가 무엇인가??
이것을 생각하는 것이 화용론이다.
왜냐하면, 하나의 언어 표현은 사용된 맥락과 상황 등의 언어 외적인 특성에 따라 그 의미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말의 내용 | 말의 의미 |
‘ 요즘 날씨가 춥다.’ | - 문장 그대로의 의미 - 밖에나가고싶지않다. - 옷을따뜻하게입어라. - 외롭다. - 경제적으로 어렵다. |
- 화용론을 연구한 학자들
ᆞMorris(1938) : 화용론은 언어기호와 그 해석자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ᆞStalnaker(1972) : 화용론은 언어 행위와 그 행위가 실현되는 상황을 연구하는학문이다.
ᆞLevinson(1983) : 화용론은 언어 이해에 대한 설명의 바탕이 되는 맥락과 언어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ᆞYule(1996) : 화용론은 언어 형식과 그것의 사용자와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화자와 청자를 고려한다.
ᆞMey(2000) : 화용론은 사회적 조건에 의해 의사소통에 있어서 언어의 사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의사소통의 방식
- 언어적 의사소통 :
- 비언어적 의사소통 : 표정 제스쳐 상대의 행동
예1 ) 아이들이 손을 입을 가리고 말을 한다. 이것은 대부분이 거짓말이 되는 경우가 있다.
예2 ) 시선이 상대방의 눈을 피하는 행동은 거짓이 될 수 있다.
만약 오라고 말은 하는데 제스쳐가 가라고 하면 어느표현이 우선시 될까?? 주로 비 언어적 의사소통이 더 우선시 된다.
▶화용론은 언어 사용을 연구, 상황맥락을 전제로 한다.
화용론을 연구하려면 4가지가 있어야 한다. = 청자와 화자와 문장과 장면.
- 언어의 기능 : 전통적 입장 ㄱ. 통보적 기능 : 정보 전달 ㄴ. 의례적 기능 : 인사 등의 의례적인 대화 ㄷ. 설명적 기능 : 사물에 대한 안내 및 설명 ㄹ. 설득적 기능 : 청자나 독자를 설득 |
ᆞ언어의 기능 – 박영순(2001) 은 언어의 기능을 더욱 다양하게 분류했다.
정보전달 기능 친교, 의례적 기능 설명 기능 설득 기능 요청 기능 약속 기능 선언적 기능 판단 기능 |
협의 기능 응락 기능 동의 기능 교훈적 기능 비판 기능 칭찬, 격려 기능 광고 기능 |
2. 화용론과 인접 학문
1) 순수 언어학과 화용론
순수언어학 | 화용론 |
문법성 음운론적, 형태론적, 통사론적으로 정확한가를 고려한다. | 적절성 언어를 표현하는 상황에 적합한가를 고려한다. |
문장: 주어와 서술어를 가진 하나의 언어 단위로 구어와 문어에 모두 적용된다. | 발화: 화용론의 분석 단위로 화자와 청자, 발화 시간과 장소가 나타나야 정확한 의미를 해석할 수 있다. |
2) 의미론과 화용론
의미론: 언어 사용자를 배제하고 추출(환경 화자 청자 다 배제)
화용론: 화자와 청자의 관계 속에서 기술(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의 상황을 같이 봄)
- 의미주의 : 로스(1970), 라이온스(1977)= 의미론이 더 큰 영역에 화용론이 포함됨
- 상보주의 : 리치(1983), 레빈슨(1983) = 교집합
- 화용주의 : 서얼(1969) = 화용론이 더 큰 영역이고 의미론이 포함됨
3) 화용론의 연구영역
ㄱᆞ화자 의미에 대해 연구한다.
= 말하는 사람이 어떤의미로 말했는가? 이것을 연구한다.
ㄴᆞ맥락 의미에 대해 연구한다.
= 동일한 문장이 지금 이 상황에서 어떤 의미인가?
ㄷᆞ말한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ㄹᆞ상대적 거리의 표현에 대해 연구한다.
=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과의 관계를 연구.
정리하면
1. 화용론의 개념
- 언어 표현과 발화 장면과의 관계 속에서 그 의미를 연구하는 분야를 화용론이라 하며, 언어 사용을 연구하고 상황, 맥락을 전제로 한다.
2. 화용론의 특성
- 화용론은 문법성이 아닌 적절성을 고려해야 하며, 발화를 분석 단위로 사용하는 학문 영역으로 화자의미, 맥락의미, 더 많은 것을 의사소통하는 방법, 상대적 거리 표현에 대해 연구한다.
'한국어 공부 > 한국어 화용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화용론6(대화함축, 고정함축, 등급함축, 절 함축) (1) | 2022.10.15 |
---|---|
한국어화용론5(함축, 협력, 대화격률, 격률울타리) (0) | 2022.10.14 |
한국어화용론4(발화행위, 적정조건, 간접발화행위) (0) | 2022.10.13 |
한국어화용론3(인칭직시, 시간직시, 장소직시, 담화직시, 사회직시) (1) | 2022.10.12 |
한국어 화용론2 (직시의 개념, 직시의 중심, 직시의 용법, 직시의 표현) (0) | 2022.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