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5

한국어역사(고대 한국어, 중세한국어, 이두, 구결, 향찰) 한국어 역사  고대 한국어와 전기 중세 한국어에 대해 알아보겠다. 1. 고대 한국어   이 시기에 나오는 언어 자료는 찾기가 어렵다. 고조선 :  朝鮮(조선)– 아사달   앛-> 아침학자들은 조선과 아사달이 같은 말이라 여겼을 것이다.  부여 : 加가 - 뒤에 가가 붙는다. 이것은 부족의 우두머리란 의미가 아닐까?자료가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연구에 한계가 있다.  고구려- 자료를 찾을 수 있는 유일한 북방계 언어이다. - 삼국사기 지리지 권37- 買忽 一云  水城 (매홀은 수성이다.  인천의 옛날이름이 이추홀 인데 이것은 인천의 성으로 볼 수 있다)- 水谷城郡  云買旦忽 고구려 언어는 퉁그스 어와 일본어의 중간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고구려 자료는 100단어 미만이다.   백제- 남아있는 삼국 언어중 가장.. 2022. 10. 2.
한국어역사(알타이어족,고대 한국어, 중세한국어, 근대한국어) 한국어역사   한국어의 변화와 역사를 살펴 본다면..  1 .  한국어사  - 고대부터 현대까지 한국어의 변화 과정을 연구하는 분야를 말한다. 이른 시기부터 현대까지 변화의 과정을 연구하는 분야를 말한다. - 언어의 역사성 =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것.- 한국어가 겪어 온 변화를 밝혀 그 역사를 체계적으로 서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언어가 변할 때 무엇이 변하는가? 음운, 문법, 의미가 변한다.  음운= 소리의변화를 말함문법= 조선시대 문법과 현재의 문법은 동일하지 않다. 의미= 의미와 어휘체계가 변한다.    연구 목적ᆞ한국어에는 우리 민족의 정신적, 물질적 생활이 반영되기 때문이다. ᆞ고전 문학 작품을 올바로 읽을 수 있게 하는 길잡이가 되기 때문이다. ᆞ현대 한국어 이해에 도움을 준.. 2022. 10. 1.
한국어의미론 (문장의미, 중의성, 전제관계, 함의 관계) 한국어 의미론   문장의 의미론 또는 통사 의미론에 대해서 살펴보자1 . 중의성   하나의 언어 표현이 둘 이상으로 해석될 수 있도록 하는 언어적 속성을 말한다. 문장은 하나인데 둘 이상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철수의 말이 참 빠르다.철수의 말이 빠른가?철수가 타는 말이 빠른가?철수의 집이 기울었다. 철수의 집 건물이 기울었나?철수의 가세가 기울었는가?배가 참 맛있다. 배라는 의미는 여러개가 있다. 그런데 맛있다는 서술어에 의해 먹는 배가 나타난다. 그런데 문장내에서 살펴보더라도 확실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럴경우 중의성이라고 할 수 있다.  1) 어휘적 중의성문장 안에 사용된 어휘의 특성에 의해 나타나는 중의성 동음이의어와 다의어에 의해 나타난다. 비서가 차를 준비했다.   마시는 차인가? 자동차인가.. 2022. 9. 30.
한국어 의미론(상하관계, 부분관계, 의미변화) 어휘들의 의미관계와 의미의 변화를 알아본다.   1. 상하 관계  상하관계는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의미 관계를 말한다.단어 계층 구조에서 위에 있는 단어를 상의어, 아래에 있는 단어를 하의어라고 한다.예) 동물 – 날짐승 – 참새, 까치, 제비 등등              - 들짐승 – 개, 고양이, 원숭이 등등    상의어 -> 하의어 상의어는 하의어를 포함한다.  상의어에서 하의어로 내려올수록 의미 성분의 수가 많아진다. 왜냐하면 하의어로 내려올 수록 정확하게 구분하기 위함이다. 동물 (+생물)(+동작성)사람 (+생물)(+동작성)(+인간)남자 (+생물)(+동작성)(+인간)(+남성)소년 (+생물)(+동작성)(+인간)(+남성)(-성숙) 상하관계는 문화권에 따라 달라진다.한국 = .. 2022. 9.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