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3

한국어의미론 (문장의미, 중의성, 전제관계, 함의 관계) 한국어 의미론   문장의 의미론 또는 통사 의미론에 대해서 살펴보자1 . 중의성   하나의 언어 표현이 둘 이상으로 해석될 수 있도록 하는 언어적 속성을 말한다. 문장은 하나인데 둘 이상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철수의 말이 참 빠르다.철수의 말이 빠른가?철수가 타는 말이 빠른가?철수의 집이 기울었다. 철수의 집 건물이 기울었나?철수의 가세가 기울었는가?배가 참 맛있다. 배라는 의미는 여러개가 있다. 그런데 맛있다는 서술어에 의해 먹는 배가 나타난다. 그런데 문장내에서 살펴보더라도 확실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럴경우 중의성이라고 할 수 있다.  1) 어휘적 중의성문장 안에 사용된 어휘의 특성에 의해 나타나는 중의성 동음이의어와 다의어에 의해 나타난다. 비서가 차를 준비했다.   마시는 차인가? 자동차인가.. 2022. 9. 30.
한국어 의미론(상하관계, 부분관계, 의미변화) 어휘들의 의미관계와 의미의 변화를 알아본다.   1. 상하 관계  상하관계는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의미 관계를 말한다.단어 계층 구조에서 위에 있는 단어를 상의어, 아래에 있는 단어를 하의어라고 한다.예) 동물 – 날짐승 – 참새, 까치, 제비 등등              - 들짐승 – 개, 고양이, 원숭이 등등    상의어 -> 하의어 상의어는 하의어를 포함한다.  상의어에서 하의어로 내려올수록 의미 성분의 수가 많아진다. 왜냐하면 하의어로 내려올 수록 정확하게 구분하기 위함이다. 동물 (+생물)(+동작성)사람 (+생물)(+동작성)(+인간)남자 (+생물)(+동작성)(+인간)(+남성)소년 (+생물)(+동작성)(+인간)(+남성)(-성숙) 상하관계는 문화권에 따라 달라진다.한국 = .. 2022. 9. 29.
한국어 의미론(의미의 의의, 의미의 유형) 한국어의미론  한국어에서 의미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여기서는 언어와 문장의 의미를 다루며 의미를 연구할 때 의미는 무엇인가? 1 의미의 의의  지시설ᆞ단어나 문장과 같은 한 언어 표현의 의미는 그 표현이 지시하는 지시물이다. ᆞ한 언어 표현의 의미를 그 표현이 실제 지시하는 대상과 동일시 한다.ᆞ추상적인 대상들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ᆞ하나의 대상에 둘 이상의 표현이 나타나는 경우에 의미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개념설ᆞ하나의 언어 표현에 마음이나 머리 속에 떠오르는 관념이나 개념이다.ᆞ사람의 마음이나 정신 속에서 그 표현과 관련된 관념, 개념이 의미이다. ᆞ추상적인 대상들에 대한 설명이 가능하다.ᆞ추상적인 개념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ᆞ개념과 연관되지 않는 단어들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2 의미의.. 2022. 9. 28.
한국어 의미론 (동음이의어, 다의어, 비유) 한국어 의미론  한국어에는 같은 단어에 여러가지 의미가 있는 단어들이 존재하는데,,그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1 동음이의어 관계  형식은 하나인데 의미가 여러개인 것 즉, 어휘의 형태는 같지만 의미가 다른 언어들의 관계이다. 말:말 배:배 다리 : 다리 시내 : 시내 은행 : 은행 쓰다 : 쓰다 부정 : 부정 의미는 다르지만 소리가 같다.  묻다= 두가지 의미가 있다.  1. 물어보다의 묻다. 2. 매장하다의 묻다.  - 동음이의어는 절대 동음어와 부분 동음어가 있다.    1) 절대 동음어 : ᆞ의미가 관련이 없다.ᆞ어형이 모든 형태에서 같다.ᆞ같은 형태일 때 문법적으로 대등하다.  배 : 저배가 크다. 먹는 배 타는 배 둘다 사용 가능함 2) 부분 동음어 묻다 물어보다의 묻다와 매장하다의 묻다.. 2022. 9.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