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5

한국어 교육원리 그리고 방법(한국어 이해영역, 한국어 표현영역) 한국어 교육의 원리와 방법  한국어를 안다고 해서 모두가 가르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와 보다 효과적인 방법들을 알고 가르치는 것과 모르고 가르치는 것에 대한 결과는 큰 차이로 나타날 것이다. 이번에는 한국어 교육원리와 한국어 교육의 방법을 살펴볼 것이다.  1. 한국어 교육의 목표1) 외국어 교육의 목표① 의사소통- 외국어를 통해 다른 언어권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음- 문법적 능력, 사회언어학적 능력, 담화 능력, 전략적 능력② 문화- 외국 문화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터득③ 비교-타문화와의 비교를 통해 본인이 속한 사회의 언어와 문화를 이해 ④ 연계- 특정 학과목을 외국어로 습득하여 지식과 정보 확장 ⑤ 공동체- 국내외의 다언어, 다문화 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음2) .. 2022. 12. 27.
한국어 교육 현황(교육담당기관, 교육대상현황, 국외한국어교육) 1. 한국어 교육의 현황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은 있는지그 기관이 어떤일을 하는지최근의 한국어 교육은 어떻게변하고 있는가? 1) 한국어 교육 담당 기관① 정부 및 관련 기관- 문화 체육 관광부국립국어원: 한국어 교원 자격 심사와 자격증 발급, 국외 한국어 교원 초청 연수, 국내외 한국어 교육 자료 개발과 보급세종학당재단(해외): 세종학당을 지원국어문화원: 다문화 배경의 한국어 학습자 지원- 교육부국립국제교육원: 재외 동포 교육과 국제 교육 교류 및 협력 담당, 한국어능력시험 운영다문화 교육센터: 다문화 배경의 한국어 학습자 지원- 외교부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국제협력단(KOICA): 한국어 및 한국 문화 교육 봉사단 파견과 한국어 연수생 초청 사업재외동포재단: 재외 한글학교 재원, 한글학교 교사 연수.. 2022. 12. 26.
한국어 교육의 역사(교육의 발전, 교육시대 구분, 국어 기본법) 1. 한국어 교육의 역사1) 한국어 교육사에 대한 논의ㄱ) 백봉자 : 2001: 4 단계로 시대를 구분한다. (한국의 경제 성장, 기관 설립, 교재 개발중심)ㄴ) 민현식 : 3단계 시대로구분(전통적인 역관 교육, 외국인들의 저술 활동 포함)2) 한국어 교육의 발전전통 교육기 (고대-1860년대)(나라사이의 교류가 있을때부터)① 역학(學) 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짐② 중국 명나라의 '회동관(會同館)(1492)' 역관 양성 후 조선어 학습서로서 조선관(朝鮮館)역어(譯語)를 펴냄근대 교육기(외국인들이 한국에 들어오는 기점으로 발전)(1870년~1940년)① 서구인과 일본인 중심의 한국어 연구와 교육이 이루어짐 ② 영국의 선교사 로스가 1970년대 한글 번역 성경 펴냄, 후배 선 교사들을 위해 한국.. 2022. 12. 25.
한국어 교육론(한국어, 국어, 한국어교사, 한국어교육) 한국어 교육의 개념의 범위는 어떻게 되며...어떤 사람이 한국어교사가 될 수 있는가??그리고 교육의 대상과 목표를 어떻게 설정할 수 있을까??1. 한국어 교육의 개념 1) 한국어와 국어① 국어: 한 나라, 혹은 한민족(韓民族)이 사용하는 말이다. 국어 교육은 한국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문학과 문법을 비롯한 국어 전반을 가 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② 한국어: 세계의 여러 언어 중 하나로서 '한민족이 사용하는 말' 한국어 교육은 외국인이나 재외한국인, 교포들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한국의 문화 전반을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표준국어대사전』의 정의 따른 한국어는 한국인이 사용하는 언어. 형태상으로는 교착어이고, 계통적으로는 알타이어족에 속한다. 한반도 전역 및 제주도를 위시한 한반도 주변의 섬에서 쓴.. 2022. 1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