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3

한국어 교육의 역사(교육의 발전, 교육시대 구분, 국어 기본법) 1. 한국어 교육의 역사1) 한국어 교육사에 대한 논의ㄱ) 백봉자 : 2001: 4 단계로 시대를 구분한다. (한국의 경제 성장, 기관 설립, 교재 개발중심)ㄴ) 민현식 : 3단계 시대로구분(전통적인 역관 교육, 외국인들의 저술 활동 포함)2) 한국어 교육의 발전전통 교육기 (고대-1860년대)(나라사이의 교류가 있을때부터)① 역학(學) 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짐② 중국 명나라의 '회동관(會同館)(1492)' 역관 양성 후 조선어 학습서로서 조선관(朝鮮館)역어(譯語)를 펴냄근대 교육기(외국인들이 한국에 들어오는 기점으로 발전)(1870년~1940년)① 서구인과 일본인 중심의 한국어 연구와 교육이 이루어짐 ② 영국의 선교사 로스가 1970년대 한글 번역 성경 펴냄, 후배 선 교사들을 위해 한국.. 2022. 12. 25.
한국어 교육론(한국어, 국어, 한국어교사, 한국어교육) 한국어 교육의 개념의 범위는 어떻게 되며...어떤 사람이 한국어교사가 될 수 있는가??그리고 교육의 대상과 목표를 어떻게 설정할 수 있을까??1. 한국어 교육의 개념 1) 한국어와 국어① 국어: 한 나라, 혹은 한민족(韓民族)이 사용하는 말이다. 국어 교육은 한국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문학과 문법을 비롯한 국어 전반을 가 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② 한국어: 세계의 여러 언어 중 하나로서 '한민족이 사용하는 말' 한국어 교육은 외국인이나 재외한국인, 교포들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한국의 문화 전반을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표준국어대사전』의 정의 따른 한국어는 한국인이 사용하는 언어. 형태상으로는 교착어이고, 계통적으로는 알타이어족에 속한다. 한반도 전역 및 제주도를 위시한 한반도 주변의 섬에서 쓴.. 2022. 12. 24.
한국어 맞춤법5 (가운뎃점, 쌍점, 빗금, 큰따옴표, 작은따옴표, 소괄호, 중괄호, 대괄호, 겹화살괄호, 홀화살괄호) 1. 가운뎃점(ᆞ)(1) 열거할 어구들을 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나타낼 때 쓴다. 예) 민수ᆞ영희, 선미ᆞ준호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를 하였다.예) 지금의 경상남도ᆞ경상북도, 전라남도ᆞ전라북도, 충청남도ᆞ충청북도 지역을 예부터 삼남이라 일러 왔다. (2) 짝을 이루는 어구들 사이에 쓴다.다만, 이때는 가운뎃점을 쓰지 않거나 쉼표를 쓸 수도 있다.(3)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을 때 쓴다.이때는 가운뎃점 대신 쉼표를 쓸 수 있다.  2. 쌍점( : )(1) 표제 다음에 해당 항목을 들거나 설명을 붙일 때 쓴다.(2) 희곡 등에서 대화 내용을 제시할 때 말하는 이와 말한 내용 사이에 쓴다.(3) 시와 분, 장과 절 등을 구별할 때 쓴다.(4) 의존명사 ‘대’가 쓰일 자리에 쓴다.쌍점의 앞은 붙.. 2022. 12. 19.
한국어 맞춤법4 (문장부호,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문장부호  문장 부호는 글에서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글쓴이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문장 부호의 이름과 사용법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1. 마침표( . )(1)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붙임 1] 직접 인용한 문장의 끝에는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쓰지 않는 것을 허용한 다.(ᄀ을 원칙으로 하고, ᄂ을 허용함.)[붙임 2] 용언의 명사형이나 명사로 끝나는 문장에는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쓰지 않는 것을 허용한다.(ᄀ을 원칙으로 하고, ᄂ을 허용함.)단, 제목이나 표어에는 쓰지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2)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연월일을 표시할 때 쓴다.(3) 특정한 의미가 있는 날을 표시할 때 월과 일을 나타내는 아라비아 숫자 사이에 쓴다. 이때는 마침표 대신.. 2022. 1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