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3

한국어역사(후기중세 한국어2, 동국정운, 어두자음군, 곡용, 방점) 한국어 역사  전체적인 면에서 음운이나 표기 문법등을 살펴본다.   1. 표기법 - 음소적 표기 표음주의, 연철 예) 이당시 표기법 : 사라미 , 오늘날에는 '사람이'로 표기한다. 'ㅅ' : 사이시옷, 속격(소유격의 기능) 말음 (받침)내파(숨이 막힘), 뒤 첫음 된소리화 말음이 불청불탁(비음 유음)일 때 전청자(ㄴ->ㄷ,ㅁ->ㅂ, ㅇ->ㄱ)로 표기 동국정운식 표기법: 세종대왕이 만듦. (우리나라의 발음소리다.)이 당시 한자는 동일한데 발음이 각자가 달랐다. 따라서 발음을 통일하려 했다. 한자를 원음에 가깝게 표기하려는 노력했다. 당시 중국어처럼... 그러나 실제 언어 생활과 다른 비현실적 방법이어서 세동때 만들어져서 성종 때 사라짐 (대략 40년 사용함) 실제 한국인의 한자음이  반영되어 나온 책 : .. 2022. 10. 4.
한국어역사 (후기 중세 한국어, 훈민정음, 초성, 중성, 종성) 한국어 역사  후기 중세 한국어를 알아보자한국어 역사에서 후기 중세 한국어가 상당히 중요하다. 그 이유중 하나는 훈민정음이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가장 많이 연구가 되기도 한다. 후기 중세 한국어   - 훈민정음의 창제정부 주도로 이때 많은 문헌의 발간되며, 한문으로 된 책을 한글로 풀었다. 이런 언어들은 중앙어, 상류층의 언어가 반영되어 있다. 조선관역어: 이 당시 한국어를 잘 나타내고 있는 문서로 중국에서 만든 한국어 책이다. 중국에서 주변에 있던 나라들의 어휘를 한자로 쓴 책이다. 590개의 어휘를 기록하고 있다. 예) 天 哈 嫩二 黍 = 하늘은 하날이다. '중국에서 티엔이라고 말하는 글자를 조선인들은 하날 텽이라 말한다.' 이런 식으로 대략600단어들을 대역해서 기록했다. 훈민정음 = 세종대.. 2022. 10. 3.
한국어역사(고대 한국어, 중세한국어, 이두, 구결, 향찰) 한국어 역사  고대 한국어와 전기 중세 한국어에 대해 알아보겠다. 1. 고대 한국어   이 시기에 나오는 언어 자료는 찾기가 어렵다. 고조선 :  朝鮮(조선)– 아사달   앛-> 아침학자들은 조선과 아사달이 같은 말이라 여겼을 것이다.  부여 : 加가 - 뒤에 가가 붙는다. 이것은 부족의 우두머리란 의미가 아닐까?자료가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연구에 한계가 있다.  고구려- 자료를 찾을 수 있는 유일한 북방계 언어이다. - 삼국사기 지리지 권37- 買忽 一云  水城 (매홀은 수성이다.  인천의 옛날이름이 이추홀 인데 이것은 인천의 성으로 볼 수 있다)- 水谷城郡  云買旦忽 고구려 언어는 퉁그스 어와 일본어의 중간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고구려 자료는 100단어 미만이다.   백제- 남아있는 삼국 언어중 가장.. 2022. 10. 2.
한국어역사(알타이어족,고대 한국어, 중세한국어, 근대한국어) 한국어역사   한국어의 변화와 역사를 살펴 본다면..  1 .  한국어사  - 고대부터 현대까지 한국어의 변화 과정을 연구하는 분야를 말한다. 이른 시기부터 현대까지 변화의 과정을 연구하는 분야를 말한다. - 언어의 역사성 =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것.- 한국어가 겪어 온 변화를 밝혀 그 역사를 체계적으로 서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언어가 변할 때 무엇이 변하는가? 음운, 문법, 의미가 변한다.  음운= 소리의변화를 말함문법= 조선시대 문법과 현재의 문법은 동일하지 않다. 의미= 의미와 어휘체계가 변한다.    연구 목적ᆞ한국어에는 우리 민족의 정신적, 물질적 생활이 반영되기 때문이다. ᆞ고전 문학 작품을 올바로 읽을 수 있게 하는 길잡이가 되기 때문이다. ᆞ현대 한국어 이해에 도움을 준.. 2022. 1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