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음운론
음운의 변동에는 대치 첨가 축약 탈락이 있다.
이번 발음에서는 탈락을 살펴볼 것인데 한국어 발음에서 탈락은 크게 2가지 자음군단순화와 자음 ㅎ 탈락이 있다.
1. 자음군단순화
자음군 즉 여러자음을 단순화시킨다. 겹자음이 하나로만 발음되는 현상이다.
표준발음법 제 10 항 : 겹받침 ‘ᆪ’, ‘ᆬ’, ‘ᆲ, ᆳ, ᆴ’, ‘ᄡ’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앞발음 〔ᄀ, ᄂ, ᄅ, ᄇ〕으로 발음한다.
ᆪ | = | ㄱ |
ᆬ | ㄴ | |
ᆲ, ᆳ, ᆴ | ㄹ | |
ᄡ | ㅂ |
ᆞ표준발음법 제 11 항 : 겹받침 ‘ᆰ, ᆱ, ᆵ’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뒷발음 〔ᄀ, ᄆ,ᄇ〕으로 발음한다.
ᆰ | = | ㄱ |
ᆱ | ㅁ | |
ᆵ | ㅂ |
한국어에서 초성과 종성에서 소리 날 수 있는 자음은 하나이다.
따라서 종성에서 두 개의 자음이 표기되는 경우에 두 자음이 소리 날 수 있는 환경은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이 올 때만 가능하다.
겹받침을 사용할 때 뒤에 모음이 올때만 겹밭침발음을 사용가능함.
-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이 오지 않을 경우 두 개의 자음 중 하나가 탈락하여 하나의 자음으로만 소리 나는 현상을 자음군단순화라고 한다.
겹밭침 뒤에 모음이 오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겹밭침 | 모음으로 | 발음 | ||
값(갑) | + | 이 | = | 갑시 |
닭(닥) | 이 | 달기 | ||
읽다(익다) | 어 | 일거 | ||
넓다(널따) | 어 | 널버 | ||
밟다(밥다)발음예외 | 아 | 발바 |
겹밭침은 주로 앞에 자음으로 발음된다.
예) 넋 → 넉, 앉다 → 안따, 여덟 → 여덜 넓다 → 널따, 없다 → 업따
예외의 경우도 있다. ㄹㅁ,ㄹㅍ
삶-> 삼, 앎->암, 읊다->읖다->읍다->읍따
자음군 단순화는 아래와 같이 나타남.
닭 → 닥, 맑다 → 막따, 젊다 → 점따, 읊다 → 읍따, 늙지 → 늑찌
밟다 → 밥따, 넓죽하다 → 넙쭈카다,
맑게 → 말께, 묽고 → 물꼬 = 뒤에 자음이 'ㄱ'일때 된소리로 난다.
자음 ‘ᄒ’ 탈락
ᆞ표준발음법 제 12항 4. ‘ᄒ(ᆭ, ᄚ)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ᄒ’을 발음하지 않는다.
동사나 형용사 밭힘 ㅎ뒤에 모음이 온다면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는 ㅎ이 탈락한다.
비음이나 유음 뒤에 ㄴㄹㅁㅇ의 자음뒤에 ㅎ이 오는 경우는 탈락하지 않는 경우가 표준발음이다.
예) 전화 은행 오한
아래의 예는 ㅎ이 탈락하는 경우다
ㅎ 밭침 | -> | 맞는발음 | 틀린발음 | |
낳은 | 나은 | 나흔 | ||
놓아 | 노아 | 노하 | ||
샇이다 | 싸이다 | 싸히다 |
겹밭침 | -> | 맞는발음 | 틀린발음 | |
않은 | 안는 | 안흔 | ||
많아 | 마나 | 만하 | ||
닳아 | 다라 | 달하 | ||
싫어도 | 시러도 | 실허도 |
- 한자어나 복합어에서 결합된 경우에는 본음대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어서 ‘전화’, ‘피곤 하다’의 경우 ‘ᄒ’이 탈락하지 않고 그대로 발음하는 것이 표준발음이다.
예) 전화에서 ㅎ이 탈락하면 저놔가 된다. 또한 피곤하다에서도 ㅎ이 탈락하면 피고나다로 발음된다.
정리하면
자음군단순화는
- 겹자음이 받침에서 사용될 때 뒤 음절이 모음이면 두 자음 모두 소리 날 수 있으나, 뒤 음절이 자음이거나 단독으로 사용될 때 겹자음 중 하난의 자음으로만 소리 날 수 있다.
ㅎ 탈락은
- 한자어나 복합어에서는 실제 약하게 발음되지만 ㅎ이 소리나는 것이 표준발음이고 ㅎ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나 접미사가 오는 경우에는 ㅎ이 탈락하여 소리나지 않는 것이 표준발음이다.
한국어 음운론과 관련된 글
'한국어 공부 > 한국어 음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음운론4 (첨가, 축약,ㄴ첨가,ㅎ축약) (1) | 2024.11.03 |
---|---|
한국어 음운론3 (음운의 변동, 유음화, 경음화, 조음위치동화) (0) | 2024.11.03 |
한국어음운론2 (음운의 변동, 평폐쇄음화, 비음화, 치조비음화) (0) | 2024.11.03 |
한국어 음운론 (한국어 모음, 자음, 활음, 조음위치, 조음방법) (3) | 2024.11.03 |
한국어 음운론6 (음운의 변동, 모음아/어탈락, 모음 ㅡ 탈락) (0) | 2022.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