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공부/한국어 음운론

한국어 음운론6 (음운의 변동, 모음아/어탈락, 모음 ㅡ 탈락)

by 한국어 바라기 2022. 9. 18.

한국어 음운론

 

음운의 변동엔 대치 첨가 축약 탈락이 있다. 

이번에는 지난번에 이어서 탈락을 살펴볼 것인데

자음에서는 자음군단순화와 자음 ㅎ 탈락이 있고,

모음에서는 아/어 탈락과 ㅡ 의 탈락이 있다. 

모음 탈락에 대해 알아본다면...



1. 모음 -‘아/어’ 탈락

 

모음과 모음이 연이어 나타날 때 (앞 음절이 모음으로 끝났고 뒷 음절이 초성에 자음없이 모음으로 시작할 때) 모음 축약이 일어나지만 이외에도 두 모음 중 하나가 탈락하는 현상도 있다.


‘ᅡ/ᅥ’ 또는 ‘ᅦ/ᅢ’의 모음으로 끝나는 용언의 어간 뒤에 ‘ᅡ/ᅥ’모음이 연이어 나타나는 경우 뒤의 ‘ᅡ/ᅥ’모음이 탈락한다.

모음(동사)   모음   발음
+ 아서 = 가서
어서 서서
아서 차서
어서 새서

앞에 어떤 모음이 있는가가 중요하다. 앞에 ㅏㅓㅐㅔ가 있을 때만 이런 현상이 나타남

 


2.  모음 ‘ᅳ’ 탈락


모음과 모음이 연이어 나타날 때 두 모음 중 어느 한 쪽이 ‘ᅳ’인 경우 항상 ‘ᅳ’모음이 탈락하는 현상이다.
용언의 어간 모음 ‘으’ 뒤에 ‘ᅡ/ᅥ’로 시작하는 어미가 연결되는 경우를 대표적인 ‘으’ 탈락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모음동사 ㅡ   모음 ㅏㅓ   발음
쓰다 + 어라 = 써라
치르다 어서 치러서
바쁘다 아서 바빠서
담그다 아서 담가서

 

정리하면

 

ㅏ/ㅓ 탈락 = 모음과 모음이 연이어 나타날 때 ㅏ/ㅓ 또는 ㅔ/ㅐ 모음뒤에 ㅏㅓ의 모음이 오는 경우 뒤 ㅏㅓ의 모음은 탈락한다.

ㅡ탈락 = 모음과 모음이 연이어 나타날 때 앞에 'ㅡ' 모음은 뒤의 ㅏㅓ와 만나면 'ㅡ'가 탈락한다. 

 

 

 

 

한국어 음운론과 관련된 글

한국어 모음 자음 조음위치 조음방법

평폐쇄음화 비음화 치조비음화

유음화 경음화 조음위치동화

첨가 축약 ㄴ첨가 ㅎ축약

자음군 단순화 자음ㅎ탈락

모음 아/어 탈락 모음 ㅡ 탈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