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음운론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국어 교원과정에서 반드시 배워야 할 음운론과 한국어를 이루는 핵심인 모음과 자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어 모음과 자음을 발음할때 나타나는 발음기관 조음위치 조음방법에 대해서 차례차례 알아보겠습니다.
1. 음운론이란 무엇인가?
음운론이란 음소와 운소에 대해서 연구하는 분야다
1) 음운론의 개념을 알아본다면??
음운론을 알기 전에 언어가 무엇인지 살펴봐야 한다. 언어는 형식과 의미가 합쳐져 있다.
즉
언어는 : 형식 + 의미
┕ 형식:음소 + 운소
┕ 음소 : 자음 + 모음
┕ 운소 : 강세, 억양, 성조(중국어), 휴지 등
성조 : 한국 지방 사투리가 이에 해당된다.
경상도를 예를 들면 => 가가 가가? 여기서 모두 가 발음을 하지만 성조가 다르므로 의미가 바뀐다.
휴지 : 문장을 어디서 끊어서 발음하는가?
예) 1 아줌마 파마 해주세요 2 아줌마파마 해주세요
1의 예는 파마를 해달라는 의미지만 2의 예는 아줌마들이 좋아하는 파마를 해달라는 의미다.
정리하면 음운론은 음소와 운소에 대해 연구하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2) 발음 기관: 말소리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신체부위
구강과 비강 (숨이 입으로 나오는가? 코로 나오는가?) 말소리를 만들기 위해 평소 숨 쉴 때보다 많은 양의 숨이 필요하다.
숨이 입 밖으로 나올 때 입을 통해 나오는 길을 구강, 코를 통해 나오는 길을 비강이다.
성대 : 후골에서 안쪽으로 두 갈래로 나뉘어 뻗어 있는데, 성대의 진동을 통해 음성의 특징이 결정된다.
목젖 : 폐에서 성문을 통해 나온 숨이 구강이나 비강으로 가는 길을 조절하는 역할
구개 : 목젖에서 윗잇몸이 있는 곳까지 이어지는 부분이며 연구개와 경구개로 나뉜다.
혀 : 가장 많은 역할을 하는 발음 기관
혀에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설첨 | 혀의 앞쪽 끝부분 |
설단 | 혀의 앞부분 |
설면 | 혀의 중간 부분 |
설배 | 혀의 뒷부분 |
2 한국어의 모음
한국어 모음에는 :단모음 10개 이중모음 11개가 있다
(1) 단모음 : 입술 모양이 변하지 않는 모음을 말한다.
- ᅡ, ᅢ, ᅥ, ᅦ, ᅩ, ᅬ, ᅮ, ᅱ, ᅳ, ᅵ
- 단모음 분류 기준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ᄀ. 혀의 앞뒤 위치에따라 전설모음과 후설모음으로 나눈다.
전설모음 : ᅵ ㅟ ㅔ ㅚ ㅐ
후설모음 : ㅡ ㅜ ㅓ ㅗ ㅏ
ㄴ. 혀의 높이에 따라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으로 나눈다.
고모음 : ᅵ, ᅱ, ᅳ, ᅮ
중모음 : ᅦ, ᅬ, ᅥ, ᅩ
저모음 : ᅢ, ᅡ
ᄃ. 입술 모양에 따라
- 단모음표 평평한 모양이냐 동그란 모양인가?
평순모음 : ᅵ, ᅳ, ᅦ, ᅥ, ᅢ, ᅡ
원순모음 : ᅮ, ᅱ, ᅩ, ᅬ
전설모음(혀가 앞으로)
|
후설모음(혀가 뒤로)
|
|||
평순모음
|
원순모음
|
평순모음
|
원순모음
|
|
고모음 (입술작게)
|
ᅵ
|
ᅱ
|
ᅳ
|
ᅮ
|
중모음 (입술중간)
|
ᅦ
|
ᅬ
|
ᅥ
|
ᅩ
|
저모음 (입술크게)
|
ᅢ
|
ᅡ
|
(2) 활음
- 반모음 j,w 을 활음이라 한다.
- 이것은 혼자 음절을 이루지 못하는데...
- 단모음과 결합하여 이중모음을 만들 수 있다.
= j는 ㅣ를 짧게 발음 w는 ㅜ를 짧게
j +ᅡ = ᅣ / w +ᅡ = ᅪ
j +ᅥ = ᅧ / w +ᅥ = ᅯ
(3) 이중모음 11개의 이중모음
-ᅣ, ᅤ, ᅧ, ᅨ, ᅪ, ᅫ, ᅭ, ᅯ, ᅰ, ᅲ, ᅴ
상향 이중모음
j 계열 : ᅣ, ᅧ, ᅤ, ᅨ, ᅭ, ᅲ
w계열 : ᅪ, ᅫ, ᅯ, ᅰ
하향 이중모음
ᅴ(ᅳ + j)
3 한국어의 자음
![](https://blog.kakaocdn.net/dn/u2aww/btrLTB7rrag/zTO98Zs5yiaQsdHmfsJQ0K/img.jpg)
(1) 조음 위치: 소리를 만들어 내는 위치
- 양순음 : 윗입술과 아랫입술 사이에서 나는 자음으로 순음이라고도 한다.
- 치조음 : 혀의 끝 부분이 윗니의 뒷면에 붙어있는 잇몸에 닿아서 나는 소리
- 경구개음 (딱딱한 입천장) : 설면이 잇몸의 뒤 딱딱한 입천장에 닿아서 나는 소리
- 연구개음 : 설배와 부드러운 입천장 사이에서 나는 소리
- 후음 : 목구멍에서 나오는 소리로 성문음이라고도 한다.
(2)조음방법은 어떤 방법으로 만드는가?
- 파열음 : 숨이 완전히 막혔다가 터져 나오는 소리로 폐쇄음이라고도 한다.
- 마찰음 : 숨이 나오다가 입 안에서 저항을 받아 마찰을 일으키며 나오는 소리
- 파찰음 : 파열음과 같이 숨이 나오다가 막히는 과정을 가지나 숨이 한 번에 터져 나오지 않고 마찰음과 같이 장애를 받아 나오는 소리
- 비음 : 구강을 막고 숨을 비강으로 내보내서 나는 소리
*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은 모두 장애음이라 말한다.
- 유음 : 혀 끝을 윗잇몸에 대고 숨을 혀의 양 옆으로 내보내서 나는 소리 (흐르는 소리를 말한다. 혀 옆으로 공기가 나오면서 나온다.)
영어엔 R과 L발음이 있다. 한국어엔 ㄹ 이있다.
'소리'는 R 탄설음 =혀를 팅기는 소리
'솔' L 설촉음 = 혀사이에서 나오는 소리
(3) 자음표
양순음 | 치조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후음 | |||
장애음 | 파열음 | 평음 | ㅂ | ㄷ | ㄱ | ||
경음 | ㅃ | ㄸ | ㄲ | ||||
격음 | ㅍ | ㅌ | ㅋ | ||||
파찰음 | 평음 | ㅈ | |||||
경음 | ㅉ | ||||||
격음 | ㅊ | ||||||
마찰음 | 평음 | ㅅ | ㅎ | ||||
경음 | ㅆ | ||||||
공명음 | 비음 | ㅁ | ㄴ | ㅇ | |||
유음 | ㄹ |
초성에서 사용되는 것 19개중 18개 가능하다. 여기서 'ㅇ'은 초성에서 소리를 못낸다. 그러나 '밭침'에서는 소리가 난다.
예를들면 '아' 는 소리가 없지만 '강'에서 'ㅇ'은 소리가 있다.
밭침에서 소리가 가능한 소리는' 7개의 자음'만 소리가 가능하다.
파열음ㅂㄷㄱ 공명음 ㅁㄴㄹㅇ 만 '받침'음 사용이 가능하다.
한국어 음운론과 관련된 글
'한국어 공부 > 한국어 음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음운론4 (첨가, 축약,ㄴ첨가,ㅎ축약) (1) | 2024.11.03 |
---|---|
한국어 음운론3 (음운의 변동, 유음화, 경음화, 조음위치동화) (0) | 2024.11.03 |
한국어음운론2 (음운의 변동, 평폐쇄음화, 비음화, 치조비음화) (0) | 2024.11.03 |
한국어 음운론6 (음운의 변동, 모음아/어탈락, 모음 ㅡ 탈락) (0) | 2022.09.18 |
한국어 음운론5 (음운의 변동, 자음군단순화, 자음ㅎ탈락) (1) | 2022.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