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공부62 한국어음운론2 (음운의 변동, 평폐쇄음화, 비음화, 치조비음화) 한국어 음운론 2 이번에도 음운론에 대해 알아보자 자음과 모음을 발음할 때 쓰는 글과 발음이 일치하지 않는다. 글과 발음이 일치되지 않는 이유는 그렇게 되는 이유는 음운이 변동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음운의 변동은 무엇인지 어떻게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자. 1. 음운의 변동 음운의 변동이란두 소리가 만나 다른 소리로 바뀌는 현상을 음운의 변동이다. 이것은 발음을 쉽게 하기 위해 나타나는 현상이며 소리 변화에 따라 대치, 첨가, 축약, 탈락, 도치로 분류 할 수 있다. - 대치 : 한 소리가 다른 소리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예) 부엌-('부억'으로 발음됨)- 첨가 : 없던 소리가 생겨나는 현상 새로운 소리가 나타남. 예) 한여름 - ('한녀름'으로 발음)- 축약 : 두 소리가 합쳐져서 새.. 2024. 11. 3. 한국어 음운론 (한국어 모음, 자음, 활음, 조음위치, 조음방법) 한국어 음운론이번 포스팅에서는 한국어 교원과정에서 반드시 배워야 할 음운론과 한국어를 이루는 핵심인 모음과 자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어 모음과 자음을 발음할때 나타나는 발음기관 조음위치 조음방법에 대해서 차례차례 알아보겠습니다. 1. 음운론이란 무엇인가?음운론이란 음소와 운소에 대해서 연구하는 분야다 1) 음운론의 개념을 알아본다면??음운론을 알기 전에 언어가 무엇인지 살펴봐야 한다. 언어는 형식과 의미가 합쳐져 있다. 즉언어는 : 형식 + 의미 ┕ 형식:음소 + 운소 ┕ 음소 : 자음 + 모음 ┕ 운소 : 강세, 억양, 성조(중국어), 휴지 등 성조 : 한국 지방 사투리가 이에 해당된다.경상도를 예를 들면 => 가가 가가? 여기서 모두 가 발음을 하지만 성조가 .. 2024. 11. 3. 음성학과 음운론(한국어학개론) 음성학이란 음성의 특성을 연구하는 분야로 언어를 말할 때 어떤 발음기관에서 만들어지며, 그 음파의 특성은 어떠한지 등을 관찰하는 학문이다. 이와 관련해서 음운론은 음운의 기능과 체계이며 음운현상(음운 규칙)등을 연구하는 분야인데 여기서 '음운'은 '음소' + '운소'를 말함. 음성학과 음운론을 잘 구분해야한다. 1. 한국어학개론 음성학 1 발음기관은 크게 3가지다 : 호흡기관, 발성기관, 조음기관공기가 흘러나오는 입 속 통로인 구강 코 쪽 통로인 비강이 있다. 이것이 소리를 만들어 낸다. 2 조음체와 조음점조음이란 소리를 내는 과정인데 이것은 성문을 통과한 공기를 입 안 어디 부위에서 막거나 장애를 일으키면서 조정하여 소리를 만든다.조음체: 조음 과정에서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부분이다. 예) 아랫입.. 2024. 11. 2. 한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특징(방언과 사투리 and 한국어학) 한국어는 한국인이 사용하는 언어로서 한반도의 전역과 제주도를 비롯한 한반도 주변의 섬에서 사용 하는 언어이다. 한국어학의 대상은 한국어이며 이것은 시간적 공간적 범위를 포함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국어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1. 한국어와 한국어학은 무엇인가? 한국어는 한국인이 사용하는 언어로서 한반도의 전역과 제주도를 비롯한 한반도 주변의 섬에서 사용 하는 언어이다.한국어의 범위는 시간적 범주와 공간적 범주로 나뉜다. 공간적 범주에서는 표준어와 각지역에 사용하는 방언이다. 시간적 범주에서는 현재 사용하는 한국어와 과거에 사용한 한국어로 나눌 수 있다. 한국어를 배우는 한국어학은 한국어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며 시간적 공간적 범위를 모두 포함한다. 한국어학의 대상은 한국어의 범.. 2024. 11. 2. 이전 1 ··· 3 4 5 6 7 8 9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