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학이란 음성의 특성을 연구하는 분야로 언어를 말할 때 어떤 발음기관에서 만들어지며, 그 음파의 특성은 어떠한지 등을 관찰하는 학문이다. 이와 관련해서 음운론은 음운의 기능과 체계이며 음운현상(음운 규칙)등을 연구하는 분야인데 여기서 '음운'은 '음소' + '운소'를 말함. 음성학과 음운론을 잘 구분해야한다.
1. 한국어학개론 음성학
1 발음기관은 크게 3가지다 : 호흡기관, 발성기관, 조음기관
공기가 흘러나오는 입 속 통로인 구강 코 쪽 통로인 비강이 있다. 이것이 소리를 만들어 낸다.
2 조음체와 조음점
조음이란 소리를 내는 과정인데 이것은 성문을 통과한 공기를 입 안 어디 부위에서 막거나 장애를 일으키면서 조정하여 소리를 만든다.
조음체: 조음 과정에서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부분이다. 예) 아랫입술, 혀
조음점: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고 수동적으로 조음체의 상대역만 하는 부분이다. 예) 입천장, 윗니, 윗잇몸, 윗입술
3. 음성의 분류
1) 자음
-기류가 구강과 비강 모두에서 장애를 받거나 둘 중 하나에 장애를 받으면서 발음되는 소리를 말한다.
자음의 분류
1 . 소리를 만들어내는 위치에 따라 분류 | |
양순음 (입술) | ㅁㅂㅃㅍ |
치조음 (혀끝이 잇몸에 닿으면서 만들어짐) | ㄴㄷㄸㅌㄹㅅㅆ |
경구개음 (혓바닥이 경구개에 닿으면서 만들어짐) | ㅈㅉㅊ |
연구개음 (혀의 뒷부분이 연구개에 닿으면서 만들어짐) | ㅇㄱㄲㅋ |
후음 (성대에서 소리가 남) | ㅎ |
2. 조음 방식에 따라 분류 (음을 만들어내는 방법에 따른 분류) | |
파열음(폐에서 공기를 막았다가 내뿜으면서) | ㅂㅃㅍ, ㄷㄸㅌ, ㄱㄲㅋ |
파찰음(공기를 막았다가 터트리면서) | ㅈㅉㅊ |
마찰음(입과 성대의 통로를 좁힌 후 마찰을 일으킴) | ㅅㅆㅎ |
비음(입안의 통로를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 나타내는 소리) | ㅁㄴㅇ |
유음(혀 끝이 잇몸에 닿거나 땔때 나는 소리) | ㄹ |
그밖의 분류 | |
평음(예사소리) | ㅂㄷㄱㅈㅅㅎ |
경음(된소리) | ㅃㄸㄲㅉㅆ |
격음(거센소리) 공기가 많이 나옴 | ㅍㅌㅋㅊ |
2) 모음
- 기류가 구강과 비강 모두에서 아무런 장애를 받지 않거나 적어도 둘 중 하나에서는 아무런 장애도 받지 않으면서 발음되는 소리
한국의 모음은 모두 21개다.
모음의 분류
혀의높이에 따른 분류 | 혀의위치에 따른 분류 | 입술의 모양에 따른분류 | |||
고모음 | ㅣ(ㅟ) ㅡ ㅜ | 전설모음(혀가 앞에) | ㅣㅔㅐ(ㅟ)(ㅚ) | 원순모음 (입술이 동그랗다.) |
ㅜㅗ(ㅟ)(ㅚ) |
중모음 | ㅔ(ㅚ)ㅓㅗ | 중설모음(혀가 중간) | ㅡㅓㅏ | 평순모음 | ㅣㅔㅐㅡㅓㅏ |
저모음 | ㅐ ㅏ | 후설모음(혀가 끝쪽) | ㅜㅗ |
한국어의 단모음은 10개 혹은 8개이다.
(ㅟ와 ㅚ를 이중모음으로 발음할 경우 단모음은 8개다)
반모음과 이중모음
- 반모음 : 모음을 발음할 때보다 혀를 입천장에 더 가깝게 하여 내는 소리다.
예)[j],[w]- 단독으로 발음되지 못하고 다른 모음과 결합하여 발음한다.
- 이중모음: 반모음과 단모음이 결합된 음
예) ㅑ ㅕ ㅛ ㅠ ㅘ ㅝ 등이다.
3) 음절
- 자음, 모음과 같은 음성 단위보다 한 단계 더 큰 단위, '발음 가능한 최소의 단위' 예) 아침
2 한국어학개론 : 한국어 음운론
1. 음소 : 의미를 분화시키는 최소의 단위다
- 어떤 한 쌍의 대립적인 소리의 차이만으로 뜻이 달라지는 두 단어를 '최소 대립의 짝' 또는 '최소 대립어' 라고 부르는데, 두 단어의 이미 차이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두 소리를 음소라고 한다.
예) '물' 과 '불' (최소 대립어) = 여기서 'ㅁ' 'ㅂ'의 소리 차이 때문에 의미 차이가 발생한다. 이때 'ㅁ', 'ㅂ'은 각각 별개의 음소가 된다.
2. 운소:
독립하여 실현되지 못하고 모음에 얹혀서만 실현되는 요소이며 음장이나 악센트, 성조, 억양등이 있다.
3. 한국어의 음소체계
자음체계 | 모음체계 | |
ㅂ ㄷ ㅈ ㄱ ㅍ ㅌ ㅊ ㅋ ㅃ ㅌ ㅉ ㅋ ㅅ ㅎ ㅆ ㅁ ㄴ ㅇ ㄹ |
단모음 10개 | 이중모음 21개 |
ㅣ ㅟ ㅡ ㅜ ㅔ ㅚ ㅓ ㅗ ㅐ ㅏ |
ㅘ ㅝ ㅙ ㅞ ㅑ ㅕ ㅛ ㅠ ㅒ ㅖ ㅢ |
4. 음소의 분포 제약
1) 어두 및 음절 초 제약(두음법칙)
- 한국어에서는 단어의 첫머리와 음절의 첫머리에 'ㅇ' 이 나타나지 못한다.
'강'의 'ㅇ'처럼 끝소리에서만 나타난다. 예) 아버지, 사이
- 'ㄹ'로 단어의 첫머리에 나타나지 못한다. 그러나 (라면 리본 등의 외래어는 제외된다.)
- 음절 초나 음절 말에 하나의 자음만 올 수 있다. 음절 말에 자음이 두 개 오게 되면 반드시 하나가 탈락한다.
예) 없다(업다)
2) 음절 말 제약(7 종성 법)
- 음절 말에서 발음될 수 있는 자음은 7개다. 밭침에서 발음할 수 있는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예 ) 높다 (놉따) 찾다(찯따)
5. 음운 규칙
1) 중화: 보통 잘 구별되던 음소들이 특정 환경에서 구별되지 않게 되는 현상
예) 웃고(욷꼬) 높고 (놉꼬)
2) 동화: 어떤 음이 다른 음의 영향을 받아서 그것과 같아지거나 비슷해지는 현상이다.
자음동화 | 자음끼리 서로 만났을 때 한 자음이 다른 자음에 동화됨 자음동화에는 '비음동화'와 '유음동화'가 있다. | |
비음동화 | ㄱ ㄷ ㅂ 이 ㄴ ㅁ 과 만날 때 각각 ㅇ ㄴ ㅁ으로 바뀐다. | 죽는 (중는), 듣는 (든는) |
유음동화 | 'ㄴ'이 'ㄹ'과 만날 때 'ㄹ'로 바뀌는 것 | 신라 (실라), 신랑(실랑) |
구개음화 | 구개음이 아닌 자음 (ㄷ ㅌ)이 뒤에 오는 모음 'ㅣ' 나 반모음 'j'의 영향을 구개음 'ㅈ','ㅊ'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 해돋이(해도지), 미닫이(미다지) 같이(가치) |
움라우트 | 'i '모음역행동화라고도 하며 뒤에오는 모음 'ㅣ'나 'j'의 영향으로 그 앞의 모음 'ㅏ' 'ㅓ'등이 'ㅐ' 'ㅔ' 로 바뀌는 현상이다. | 아기(애기) 어미(에미) 먹이다(멕이다) 등의 방언에서주로 나타난다 |
모음조화 | 앞뒤 음절에 같은 계열의 모음끼리 나타나는 현상( 양성모음, 음성모음) | 알록달록 얼룩덜룩 |
3) 탈락: 특정한 환경에서 음소가 탈락하는 현상
울+는 (우는) 'ㄹ' 탈락
넓+다 (널따) 'ㅂ' 탈락
크+어 (커) 'ㅡ' 탈락
4) 축약: 두 개의 소리가 하나니의 소리로 통합되는 현상
놓+고 (노코) ㅎ+ㄱ=ㅋ
'한국어 공부 > 한국어학 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특징(방언과 사투리 and 한국어학) (7) | 2024.11.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