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공부/한국어학 개론

한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특징(방언과 사투리 and 한국어학)

by 한국어 바라기 2024. 11. 2.

한국어는 한국인이 사용하는 언어로서 한반도의 전역과 제주도를 비롯한 한반도 주변의 섬에서 사용 하는 언어이다. 한국어학의 대상은 한국어이며 이것은 시간적 공간적 범위를 포함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국어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1. 한국어와 한국어학은 무엇인가?

 

 

한국어는 한국인이 사용하는 언어로서 한반도의 전역과 제주도를 비롯한 한반도 주변의 섬에서 사용 하는 언어이다.한국어의 범위는 시간적 범주와 공간적 범주로 나뉜다. 공간적 범주에서는 표준어와 각지역에 사용하는 방언이다. 시간적 범주에서는 현재 사용하는 한국어와 과거에 사용한 한국어로 나눌 수 있다. 한국어를 배우는 한국어학은 한국어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며 시간적 공간적 범위를 모두 포함한다. 

 

한국어학의 대상은 한국어의 범위를 살펴보면 알 수 있다.

1. 표준어, 2. 지역의 방언, 3. 과거의 한국어(고대 한국어, 중세 한국어, 근대 한국어)


 

2. 방언과 표준어

1)  방언은

같은 언어에 속하면서 지역에 따라 다른 말이며 이것을 흔히 사투리라 표현한다.

시간에 따라 언어가 변하는데 언어 변화는 지역에서 동시에 일어나지 않고 지역에 따라 다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방언이 생기게 된다.

예) 서울 부추 경상도 정구지  언어가 많으면 의사소통이 어렵다. 그래서 생긴게 표준어이다. 

 

2)    표준어는 국민이 공용어로 쓰는 규범으로서의 언어이며 방언을 사용하는 사람은 표준어를 따로 배워야 한다. 

흔히 교양 있는 한국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하지만... 그러나 서울말이 그대로 표준어가 것은 아니기 때문에 서울말이 표준어는 아니다.

 

서울도 토박어가 있다면 아래와 같다. 

- 그러믄(그러면), 했에요(했어요), 허세요(하세요), 궤(게)

 

3)    표준어는 통일의 기능 우월의 기능 준거의 기능이 있다. 

통일의 기능: 국민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므로 일체감을 갖게 함. 한나라의 국민이라는 일체감을 가지게 한다. 

우월의 기능: 주로 교육을 통해 습득되므로 교육을 많이 받았다는 징표가 됨. 

준거의 기능: 언어 규범으로서의 기능을 함.

 


3.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

출처 국민일보

 

1) 음성 언어(spoken language): 음성으로 표현되는 언어, 구어(ㅁ語), 말 등이 있다.

 

· 음성 언어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음성언어의 장단점
  장점 단점
1 특별한 도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는다.
2 정보를 빨리 전달할  있다.
(뉴스를 보거나 라디오를 들을 때 )
· 말은 말하는 순간 사라져 린다. (시간적 제약)
· 말은 전달될  있는 리가 한정되어 있다. (공간적 제약)
3 캄캄한 곳에서도 사용할  있다 끄러운 장소에서는 아무런 기능도   없다.

 

2) 문자 언어(written language): 문자로 표현되는 언어, 문어(文語), 글 문자언어는 음성언어를 보완하기 위해서 생긴언어다.

문자언어의 장단점
  장점 단점
1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상대적으로  받는다. 필기도구가 필요하다.
2   정제되고 세련된 면이 있다. 캄캄한 곳에서는 사용할  없다.
3  언어의 역사적 연구는 문자 언어에 의존한다. 기록하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

4. 한국어의 특징

출처 중부대학교

 

1)언어의 보편성은?

형식(음성 형식)과 의미라는 가지 측면이 있다.

말소리 자음과 모음이 있다.

음운, 음절, 단어, 문장 등의 언어 단위가 있다.

명사, 동사 등의 문법적 범주가 있다.

⑤ 문장 종류에 대한 구분이 있다. 긍정문, 부정문,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2)  한국어의 특수성은?

출처: 하이네이티브

 

파열음(폐쇄음:공기를 폐에서 모았다가 퍼트리는 음)에 평음(ㄱㄷㅂ), 경음(ㄲㄸㅃ), 격음(ㅋㅌㅍ) 계열이 있다.

ㄷ: ㄸ: ㅌ/ㅂ : ㅃ:

어두나 음절말 위치 에서 오직 하나의 자음만 발음될 있다.

값[갑]= 값에서 ㅅ발음이 생략되었다 . 늙다[늑따]늙다에서 ㄹ의 발음이 생략됨.

 

③ 한국어는 교착어이다.

 

언어유형

굴절어=영어 단어형태의 변화 즉 단어가 바뀐다.=문법의 기능drive drove driven,

교착어=한국어(첨가어)= 어간과 접사가 결합을 해서 단어를 만든다. 그리고 문법적 특징을 가진다. 먹+다

고립어=중국어 베트남어 (단어가 인칭과 시제가 없다. 단어가 바뀌지 않는다. 여기서는 어순이 매우 중요함)

 

sOv 언어이다. S:Subject(주어 ) Q: Object(목적어)V: Verb(동사, 서술어)

어순이 비교적 자유롭다조사와 어미가 발달해 있어서 어순이 바뀌더라도 의미가 달라지지 않는다.

철수가 영희를 때렸다. / 영희를 철수가 때렸다. 의미가 달라지지 않는다.

John hit marry. / Marry hit John. 

존이 메리를 때렷다. / 메리가 존을 때렸다. 

 

의문문에서 어순이 바뀌지 않는다.

이것은 책입니다. / 이것은 책입니까?어순이 바뀌지 않는다.

This is a book. / Is this a book?

이것은 책이다.  /  이것은 책입니까?

 

주어와 목적어가 생략되는 언어 이다.

가: 어제 먹었어?나가 생략

나: 김치찌 었어.어제가 생량  가: 누구랑 먹었어?너는 

나: 친구랑 먹었어. 내가 친구랑 먹었다. 

 

.높임말이 발달되어 있다. 
주체 경어법: -(으)시-

상대 경어법(청자 경어법): 이리 오너라/이리 오게/이리 와/이리 오세요

 

색채 형용사가 발달되어 있다.

불그스름하다-붉다-벌겋 다-뻘겋 다-시 뻘겋다 -쌔빨갛다. 

 

친족 명칭이 발달해 있으며, 친족이 아닌 다른 사람에게도 흔히 사용한다.

할아버지/할머니, 형/오빠, 누나/언니, 이모/삼촌


5. 한국어학의 하위 분야

출처: 대한뉴스

 

 

1)  언어학과 한국어학

언어학: 세계 여러 언어의 보편적인 현상을 관찰의 대상으로 하는 학문 분야이다.

한국어학: 한국어라는 특정 언어만 관찰 대상으로 하는 개별 언어학이다.

- 언어학의 방법론 위에서 한국어학이 연구되고 있음

 

2)  언어학의 하위 분야

- 언어의 단위((linguistic unit) 어떤 단위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지에 따라 구분된다.

(문장, 단어, 형태소, 음절, 음운 등)

· 언어학의 4 핵심 분야 아래와 같다.

통사론: 문장

태론: 태소와 단어

음운론: 음운(음절)

의미론: 의미

한국어학의 4 핵심 분야: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등이 있다.

(’문법론: 형태론+통사론)

 

 

3)  한국어학의 하위 분야

한국어 음운론: 언어의 단위 음운과 음절을 대상으로 하는 분야가 있다.

음운: 의미를 구별하는 최소의 단위

음절: 발음이 가능한 최소의 단위 =아 나 어 가

- 말소리의 기능과 체계, 음운 현상(음운 규칙), 음운의 개념, 음운 분석 방법, 음운 목록, 자음체계, 모음 체계 등을 연구하는 분야 · 음운: 의미를 구별하는 최소의 단위 · 음절: 발음 가능한 최소의 단위

한국어 형태론: 언어의 단위 형태소와 단어를 대상으로 하는 분야가 있다.

- 단어의 어형 변화(굴절 형태론)와 단어의 내적 구조 단어의 형성 방법(조어법)을 연구하 분야

· 형태소: 의미를 가지는 최소의 단위(어휘적 의미, 문법적 의미)

예를 들면 = 나는 나=이것은 단어 , 는=문법적

 

한국어 통사론: 언어의 단위 문장을 대상으로 하는 분야

- 단어들이 결합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방법(규칙)을 연구하는 분야

· 단문/복문, 내포문/병 렬문, 의문문, 사동문, 피동문

 

한국어 의미론: 형태소, 단어, 문장 문법 단위들의 의미를 연구하는 분야

· 를 다
·
통사 의미론:문장의 의미를 다루는 분야

 

지금까지 한국어란 무엇인가에 대한 글이었습니다. 글 내용이 유익하셨다면 광고클릭 부탁드립니다. 

 

다음 페이지-> 음성학은 무엇이고 음운론은 무엇인가?

 

'한국어 공부 > 한국어학 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성학과 음운론(한국어학개론)  (1) 2024.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