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공부/한국어 의미론

한국어 의미론 (동음이의어, 다의어, 비유)

by 한국어 바라기 2022. 9. 27.

한국어 의미론

 

한국어에는 같은 단어에 여러가지 의미가 있는 단어들이 존재하는데,,

그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1 동음이의어 관계 

형식은 하나인데 의미가 여러개인 것 즉, 어휘의 형태는 같지만 의미가 다른 언어들의 관계이다. 

: 

: 

다리 : 다리 

시내 : 시내 

은행 : 은행 

쓰다 : 쓰다 

부정 : 부정 

의미는 다르지만 소리가 같다. 

 

묻다= 두가지 의미가 있다.  1. 물어보다의 묻다. 2. 매장하다의 묻다. 

 

- 동음이의어는 절대 동음어와 부분 동음어가 있다. 

 

 

1) 절대 동음어

ᆞ의미가 관련이 없다.
ᆞ어형이 모든 형태에서 같다.
ᆞ같은 형태일 문법적으로 대등하다. 

 

배 : 저배가 크다. 먹는 배 타는 배 둘다 사용 가능함

 

2) 부분 동음어 

묻다 물어보다의 묻다와 매장하다의 묻다. 

이것을 구분하는 방법중 하나는 어형 형태가 같은가 살펴봐야 하는데 예를들면=> 1너가 물어봐, 2너가 묻어봐 는 서로 어형 형태가 다르기때문에 부분 동음어다. 

 

3) 동철자 동음어와 이철자 동음어 

 

동철자 동음어: 표기까지 동일일한 동음 이의어이다.

이철자 동음어: 표기는 다르지만 소리가 같은 동음이의어를 말함. 

 

결정 : 결정 , 차다 : 차다 = 동철자

거름 : 걸음 , 가치 : 같이 = 이철자

 


2 동음어 생성 원인 

 

 

1) 언어적 이원성 & 음운 목록의 한계

- 언어적 이원성 (언어는 형식과 의미가 결합된 복합체인데 형식은 같은데 다른의미가 붙을 수 있다. )

- 음운 목록의 한계(자음과 모음의 수는 한계가 있다. 최대 5자 이상 만들지 않는다.)

 

2) 음운의 변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음운이 변하면서 동음이의어가 된다.

예) 뎔(스님) ; 절(설날에 절하는 것) 구개음화가 일어나서 뎔이 절이 된다.  

쇼(동물) : 소(연못)


3) 의미의 변화

고개 - 1사람목뒤, 2언덕= 두개의 의미가 있었다. 


4) 외래어 영향 

외래어가 들어올 수록 동음이의가 만들어지고 많아진다.

북(악기): 북(北) : 북(book)

 

 


3. 다의 관계: 의미가 여러개인 단어들의 관계다. 

 


ᆞ하나의 형식에 이상의 의미 결합 - 동음이어와 동일

ᆞ기존 어휘의 의미를 확장하여 사용하는 경우

ᆞ어휘들 사이에 관련성이 인정된다. 만약 관련성이 없으면 동음이의어다. 

 

1) 중심 의미와 주변 의미 

ᆞ중심 의미 :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의미
ᆞ주변 의미 : 중심 의미가 문맥이나 상황에 따라 확장된 의미 

 

손= 나의 손, 일손이 필요하다, 손좀봐야겠다. 

길= 도로의 의미, 나아갈 길,

보다= 눈으로 보다, 시험 잘봐, 아이를 보다(돌보다).

듣다= 노래를 드다, 말좀 들어라(행동까지 추가)

 

 

2) 다의어가 생성되는 원인

ᆞ적용의 전이 :

가깝다(가까운 거리), 철수가 가까운 친구다(친근한)

넓다(면적이), 마음이 넓다(면적이 아님)

꼬득이다. : 연을 날리때 사용했으나, 나에게 유리하게 말할때 사용됨. 


ᆞ사회 환경의 특수화: 특정 집단이나 계층의 사람들이 사용하면서 그 집단에서만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집(사람이 거주하는 공간)=> 바둑두는 사람이 사용하기도 함. 

재생(다시 살아나는 것)=> 동영상을 재생한다.(다시 시작의 의미)

작업(일을 하다)=> 주식하는 사람들은 조작하는 사람, 젊은 남녀는 이성을 유혹하기 위해 사용

 

 

ᆞ비유적 언어 

은유와 환유 두가지가 있다

은유는 내가 나타내고자 하는 것을 빗대어 표현한다. 

굼뱅이: 행동이 느린사람을 굼뱅이로 사용한다. 

 

환유(근접성에 의한것이다.) 

동궁(동쪽의 궁); 세자가 머무는 곳 그래서 동궁이라 사용

 

ᆞ외국어 영향 

외국어의 의미가 우리말에도 결합을 해서 다의어가 됨. 

인간(한자어): 한국에서는 사람이 사는 세상을 (홍익인간) 의미한다. 일본어에서 인간은 사람이다. 

세탁(한자어): 빨래하는 것, 문제를 없엔다. 

 

참고사항

사전에서 동음어는 배1 배2 배3로 표시된다. 

다의어는  손1, 2, 3 로 표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