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미론
한국어에서 의미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여기서는 언어와 문장의 의미를 다루며 의미를 연구할 때 의미는 무엇인가?
1 의미의 의의
지시설
ᆞ단어나 문장과 같은 한 언어 표현의 의미는 그 표현이 지시하는 지시물이다. ᆞ한 언어 표현의 의미를 그 표현이 실제 지시하는 대상과 동일시 한다.
<단점>
ᆞ추상적인 대상들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ᆞ하나의 대상에 둘 이상의 표현이 나타나는 경우에 의미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개념설
ᆞ하나의 언어 표현에 마음이나 머리 속에 떠오르는 관념이나 개념이다.
ᆞ사람의 마음이나 정신 속에서 그 표현과 관련된 관념, 개념이 의미이다.
ᆞ추상적인 대상들에 대한 설명이 가능하다.
<단점>
ᆞ추상적인 개념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ᆞ개념과 연관되지 않는 단어들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2 의미의 유형
[개념적 의미] | - 가장 보편적이면서 핵심적인 의미 - 그 표현을 사용하는 화자나 상황과 관계없이 항상 같은 의미를 갖는다. |
[연상적 의미] | - 개인의 경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가변적 의미 |
[내포적 의미] | - 개념적 의미에 더해져서 나타나는 의미 - 개념적 의미 + 부가적 의미 |
[사회적 의미] | - 사회적 환경이 다름에 의해 생기는 의미 - 방언, 분야, 신분, 개인적 특성 등에 의해 변이가 나타난다. |
[감정적 의미] | - 화자의 개인적 감정과 정서가 언어에 반영된 의미 - 감정은 운소에 의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
[반사적 의미] | - 하나의 언어 표현이 다른 의미로 받아들여져서 나타나는 의미 - 한 언어 표현의 의미가 여러 개념적 의미를 가지는 경우에 나타난다. |
[배열적 의미] | - 한 언어 표현의 앞뒤에 배열된 다른 단어로 인해 생기는 의미 - 다른 단어와 함께 배열될 경우 그 단어의 개념적 의미와 다른 의미로 해석된다. |
[주제적 의미] | - 화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지는 의미 - 어순이나 강조, 초점을 다르게 하여 나타난다. ᆞ의도 의미라고도 한다. |
'한국어 공부 > 한국어 의미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의미론 (문장의미, 중의성, 전제관계, 함의 관계) (1) | 2022.09.30 |
---|---|
한국어 의미론(상하관계, 부분관계, 의미변화) (1) | 2022.09.29 |
한국어 의미론 (동음이의어, 다의어, 비유) (0) | 2022.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