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공부/한국어 의미론

한국어 의미론(상하관계, 부분관계, 의미변화)

by 한국어 바라기 2022. 9. 29.

어휘들의 의미관계와 의미의 변화를 알아본다. 

 

1. 상하 관계

 


상하관계는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의미 관계를 말한다.

단어 계층 구조에서 위에 있는 단어를 상의어, 아래에 있는 단어를 하의어라고 한다.


예) 동물 – 날짐승 – 참새, 까치, 제비 등등
              - 들짐승 – 개, 고양이, 원숭이 등등

    상의어 -> 하의어 상의어는 하의어를 포함한다. 

 

상의어에서 하의어로 내려올수록 의미 성분의 수가 많아진다. 

왜냐하면 하의어로 내려올 수록 정확하게 구분하기 위함이다. 


동물 (+생물)(+동작성)
사람 (+생물)(+동작성)(+인간)
남자 (+생물)(+동작성)(+인간)(+남성)
소년 (+생물)(+동작성)(+인간)(+남성)(-성숙)

 

상하관계는 문화권에 따라 달라진다.

한국 = 나무-> 활엽수, 침엽수로 나뉜다. 

동남아= 나무 -> 활용가능한 나무, 활용못하는 나무

 

토마토= 채소 

그러나 한국에선 토마토를 과일처럼 먹지만

외국에서 토마토를 끓여서 볶아서 먹는다. 

 



2. 부분 관계

 


부분관계는 한 단어가 다른 단어의 일부분이 되는 의미 관계를 말한다. 

단어의 대상물의 일 부분이냐를 보는 것이다. 


- 전체를 가리키는 단어= 전체어 

- 부분을 가리키는 단어= 부분어
예) 얼굴 – 코, 

       팔 - 손
    전체어-> 부분어

 

상하관계와 부분관계를 구분한다면 다음과 같다. 

 

'시계'의 하의어 = 전자시기 벽시게 손목시계

'시계'의 부분어 = 시침 분침 시계판

'학교'의 하의어= 초등학교 중학교 대학교

'학교'의 부분어  = 교실 책상 의자

 



3. 의미 변화

1) 의미가 왜 변하는가??

(1) 언어적 원인 = 언어 자체가 원인이 되서 의미가 변한다.

여기엔 전염, 생략, 민간 어원등이 있다. 

 

전염 => 다른쪽으로 옮겨진다. 

생략 => 단어들이 결합되면 새로운 의미가 만들어진다. 원래 의미에 새로운 의미에 추가되어 의미가 변한다. 

= 너 코 나왔다.  물을 빼도 콧물의 의미를 말한다. 

= 너 아침 먹었어? 아침은 시간인데 밥을 생략해도 밥을 먹었냐는 의미로 쓰인다. 

= 철수 어제 머리 잘랐어?  왜국인이 들으면 놀람. 머리카락에 카락을 생략

 

민간어원=> 어원을 잘못알아서 의미가 변한 경우

= 노다지, 광맥의미 그런데  영어 노터치의 영향과 합쳐졌다.  

 


(2) 역사적 원인
지시물의 변화: 시간이 흐르면서 단어는 남았는데 단어가 가르키는 대상이 바뀜

= 지갑: 옛날엔 종이로 만들어서 지갑이다. 그런데 오늘날 가죽으로 만든것을 지갑이라 말함.

= : 과거 말을 갈아타는 곳이다. 역에서 말을 갈아타는 거리가 한참인데 오늘날 오래된 시간으로 쓰인다. 이처럼 역참엔 마패를 가진 사람만 이용 가능했는데 오늘날은 기차를 타는 곳이 된다. 

 

(3) 지식의 변화 

언어표현은 변하지 않았는데 언어가 가지고 있던 지식이 바뀜

= 해가 뜬다 해가 진다.-> 사실은 지구가 도는 것인데 옛날 사람들은 해가 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이 표현을 사용했는데 그것을 오늘날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4) 지시물에 대한 태도 변화

지시물에 대한 태도가 변화한 것 지시물은 변하지 않은 사람들의 태도가 변함

= 나일론 , 한국에 처음 들어올 때 값싸고 좋은 제품이었는데 지금은 값싼 싸구려고 질이 떨어지는 의미르 가지게 된다. 

 


(5) 사회적 원인


ㄱ) 의미의 일반화: 특정계층에서만 사용하던 언어표현이 모든 사람이 사용하면서 의미가 바뀐다.

= 왕, 한 나라의 최고 권력자인데 오늘날에도 왕이란 표현을 쓴다. 축구왕, 바둑왕 등의 특정분야를 잘하는 사람으로 바뀜

= 박사, 학계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사람만 박사인데 오늘날은 어떤 분야를 잘하는 사람을 박사를 쓴다. 

= 왕초, 과거엔 거지 집단의 우두머리를 왕초라 불렀는데 오늘날에는 어떤 집단의 우두머리를 왕초로 부른다. 


ㄴ) 의미의 특수화: 이것은 일반화의 반대다.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던 단어들이 집단계층만 쓰면서 의미가 달라진다. 

= 개미, 원래 곤충이지만 주식하는 사람이 개미를 사용하면 소액 투자자가 된다. 

= 말씀, 어른이 하는 말을 의미하지만 교회에서는 성경의 내용을 말한다. 

= 영감, 조선시대 정2품 고위관리만 사용했는데 법조계 사람들은 판사를 영감으로 부른다. 

 


2) 의미변화 원인 


ᆞ심리적 원인: 어떤 문화권의 심리상태를 말함

어떤 특정 시기에 이슈가 되는 사건이 일어나면 그 이슈에 붙어서 사용됨.

쓰나미= 일본 쓰나미가 영향을 받아 쓰나미가 고루 사용됨

 

외국어의 영향

별= 한국어에서 별은 하늘에 떠있는 것인데 영어에서는 연애인 장군의 의미가 있어서 한국어 별에도 떠오름을 의미함


ᆞ새로운 명칭의 필요성
새로운 물건이 만들어지거나 새로운 행위 동작이 나타나면 보통은 새로운 말을 만드는데 새로운 말을 만들지 않고 기존의 말에 결합되는 것

=방, 집 안에 있는 독립적 공간인데 오늘날 노래방 피씨방 찜질방 등으로 변형시켜 사용한다. 

 


3) 의미변화 결과


범위 변화 

의미 확대 : 의미가 넓어지는 경우

= 세수-> 세수는 원래 손을 씻는 행위인데 세수하면 얼굴을 씻으므로 세수의 범위가 확되됨

의미 축소 : 의미가 축소되는 경우

= 중생-> 불교 용어에서 왔는데 중생이 짐승으로 바뀜 불교에서 말하는 중생은 살아있는 모든 것인데 짐승은 동물에 한정되어 사용한다. 

의미 전이 :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
= 방송-> 예전의 의미는 석방이다 그런데 오늘날 라디오 방송 텔레비젼 방송으로 사용된다. 

 

가치 변화 

의미 하락 : 가치가 내려간 경우

= 마누라-> 왕족들만 들을 수 있는 표현인데 지금은 일반인들이 듣기 싫어함. 

= 영감-> 과거 높은 관직의 사람인데 오늘날 늙은 사람을 말함

의미 향상 : 가치가 올라간 경우

= 장인-> 조선시대엔 최하층 선민이다. 그런데 오늘날은 최고의 기술자 마스터를 의미함

 

 

정리하면

 

1. 상하관계: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다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의미 관계를 말한다. 

2. 부분관계: 한 단어가 다른 단어의 일부분이 되는 의미 관계를 말한다. 

3. 의미변화: 의미 변화가 일어나는 원인으로 언어적원인, 역사적원인, 사회적원인, 감정적원인, 외국어의 영향, 새로운 명칭의 필요성이 있으며, 변화 결과 범위의 변화, 가치의 변화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