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공부/한국어 화용론

한국어화용론6(대화함축, 고정함축, 등급함축, 절 함축)

by 한국어 바라기 2022. 10. 15.

함축

 

함축은 어떤 유형의 함축이 있을까??

 



1. 함축의 종류

 


ᆞ그라이스(P. H. Grice, 1967)
- 대화함축 : 화용론적 원리에 의해 추론되는 함축 대화 상에서 만들어지는 함축이다. (일반 대화함축, 특정 대화함축)
- 고정함축 : 특정 어휘의 자질(성격)에 의해 일어나는 함축

ᆞ개즈더(G. Gazdar, 1979) 
- 등급함축, 절함축

ᆞ대화 함축 : 일반 대화 함축

A: 서류와 통장을 가지고 있습니까? 
B: 서류는 가지고 있는데요.
이 대화 만으로 함축이 일어나고 있다. 
이것은 자동적으로 통장은 가지고 있지 않다는 함축이 일어나고 있다. 
김선생님은 자녀가 몇 명이십니까? 김선생님은 자녀가 있고 결혼을 했다는 함축이 있다. 


ᆞ대화 함축 : 특정 대화 함축

A: 오늘 저녁에 모임에 올 수 있어? 
B: 오늘 아버지 제삿날이야.
모임에 올 수 있냐고 물어봤는데 제삿날이라 말한다. 
관계의 경률이 깨짐.. 제사를 모른다면 함축의 의미가 없어진다. 
A: 너 아직도 영희를 싫어해? 
B: 해는 동쪽에서 뜨니까.
관계의 경률을 위배한 경우다. 해는 항상 동쪽에서 뜨는 것처럼 영희를 싫어한다는 것을의미


ᆞ고정 함축 : 대화상에 특정의 어휘의 자질에 의해 성격이 만들어짐

철수는 작은 호텔의 요리사야. 그래서 요리를 잘 못해.  첫째 문장은 작다에 초점
철수는 작은 호텔의 요리사야. 그러나 요리를 잘 못해. 둘째 문장은 요리를 못하는 것에 초점

그래서는 당연한 의미가 있다. 

그러나는 의외의 의미가 있다. 

이 문제는 내가 풀어도 풀 수 있다. 이것은 문제가 쉽다 여기서 나는 잘 못하는 사람
이 문제는 내가 풀어도 풀 수 없다. 이것은 문제가 어렵다.  여기서 나는 문제풀이를 잘하는 사람이다. 

어도: 긍정의 의미와 부정의 의미와 결합이 가능하여 양극성을 가진다. 

 

 


ᆞ등급 함축

등급을 나타내는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함축

 

전부, 대부분, 약간
항상, 늘, 자주, 가끔
뜨겁다, 뜨끈하다, 미지근하다
 차갑다, 쌀쌀하다, 시원하다 
확실하다, 가능하다

 

나는 대부분의 친척을 만났다.  나는 몇명의 친척들은 못만났다는 의미가 함축됨
나는 가끔 친척들을 만난다.  나는 자주 친척들을 만나지 않는다는 의미가 함축됨
방 바닥이 미지근하다. 방바닥이 차갑지 않다. 뜨겁지 않다가 함축

 


ᆞ절 함축
내포문의(두문장이 합쳐질때 한문장이 다른 문장의 안에 들어감) 명제 내용에 대한 함축

나는 철수가 도와줄 것으로 믿는다.  확신성의 정도가 다르다. 믿음 = 나의 생각
나는 철수가 도와줄 것으로 안다. 철수가 도와줄 가능성이 이 부분이 높다.  안다 = 경험
딸 아니면 아들이 집에 왔다 갔다. 누가 왔다 갔는지 모르지만 둘중 하나는 분명 왔다 감
딸과 아들이 집에 왔다 갔다. 둘다 왔다 감

2.  대화 함축의 특성 

 

대화 상에서 만들어지는 함축을 말한다. 


  1) 취소가능성: 대화상에서 만들어지는 함축은 그 다음에 이어진 대화 속에서 그 함축의 의미가 사라질 수 있다.

a : 철수가 부인이 둘이야.  철수는 두번 결혼했다. 철수는 아랍사람?
b : 아니야 한명이야.  대답하면 두번 결혼과 아랍사람이 사라짐

 

  2) 비분리성: 상호 맥락과 함축의 의미는 떨어지지 않는다. 상황이 변하지 않으면 어떤 언어표현을 사용해도 동일한 함축이 생김

a: 우리 영화 뭐볼까?  
b-1 아이언맨이 재밌대 
b-2 아이언맨이 평이 좋던데 
b-3 아이언맨이 흥행하던데 
영화를 같지 보자는 함축이 생김

 

 

3) 계산가능성: 함축의 의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계산을 해야 할 수 있다. 

(아침에 일찍 일어났을 때)  
a: 야 지금 몇시야?
b: 좀전에 옆집에서 문소리가 났어
계산을 해야만 상대방의 말의 결화를 알 수 있다. 

4) 비고정성: 하나의 언어표현이 항상 동일한 함축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다. 비분리성과 반대다. 상황이 바뀌면 다른 함축이 생김

 

5) 비확정성: 하나의 언어표현에서 반드시 하나의 함축만 생기지 않는다. 동시에 두개 이상의 함축이 생길 수 있다. 

a: 철수가 어디에 있을까?  
b: 지구 어디에 있겠지.. 나도 모른다. 너는 몰라도 된다. 나에게 철수에 대해 말하지 말라. 
철수가 안타깝게도 시험에 떨어졌어  1 우리는 당연히 철수가 시험에 합격할 것을 생각했다.
2 그동안 철수는 굉장히 열심히 공부했다.
3 아주 근소한 점수차이로 시험에 떨어졌다. 

 

정리하면

 

1. 함축의 종류

대화상에서 협력 원리와 대화 격률을 지키고 있다가 가정되는 대화함축
특정 단어와 관련되는  고정함축
등급을 나타내는 어휘를 사용하여 나타나는 등급함축
내포문의 명제와 관련되는  절 함축

2. 대화 함축의 특성

 

대화 함축은 취소 가능성, 비분리성, 계산가능성, 비고정성, 비확정성이라는 특성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