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축
함축은 어떤 유형의 함축이 있을까??
1. 함축의 종류
ᆞ그라이스(P. H. Grice, 1967)
- 대화함축 : 화용론적 원리에 의해 추론되는 함축 대화 상에서 만들어지는 함축이다. (일반 대화함축, 특정 대화함축)
- 고정함축 : 특정 어휘의 자질(성격)에 의해 일어나는 함축
ᆞ개즈더(G. Gazdar, 1979)
- 등급함축, 절함축
ᆞ대화 함축 : 일반 대화 함축
A: 서류와 통장을 가지고 있습니까? B: 서류는 가지고 있는데요. |
이 대화 만으로 함축이 일어나고 있다. 이것은 자동적으로 통장은 가지고 있지 않다는 함축이 일어나고 있다. |
김선생님은 자녀가 몇 명이십니까? | 김선생님은 자녀가 있고 결혼을 했다는 함축이 있다. |
ᆞ대화 함축 : 특정 대화 함축
A: 오늘 저녁에 모임에 올 수 있어? B: 오늘 아버지 제삿날이야. |
모임에 올 수 있냐고 물어봤는데 제삿날이라 말한다. 관계의 경률이 깨짐.. 제사를 모른다면 함축의 의미가 없어진다. |
A: 너 아직도 영희를 싫어해? B: 해는 동쪽에서 뜨니까. |
관계의 경률을 위배한 경우다. 해는 항상 동쪽에서 뜨는 것처럼 영희를 싫어한다는 것을의미 |
ᆞ고정 함축 : 대화상에 특정의 어휘의 자질에 의해 성격이 만들어짐
철수는 작은 호텔의 요리사야. 그래서 요리를 잘 못해. | 첫째 문장은 작다에 초점 |
철수는 작은 호텔의 요리사야. 그러나 요리를 잘 못해. | 둘째 문장은 요리를 못하는 것에 초점 |
그래서는 당연한 의미가 있다.
그러나는 의외의 의미가 있다.
이 문제는 내가 풀어도 풀 수 있다. | 이것은 문제가 쉽다 | 여기서 나는 잘 못하는 사람 |
이 문제는 내가 풀어도 풀 수 없다. | 이것은 문제가 어렵다. | 여기서 나는 문제풀이를 잘하는 사람이다. |
어도: 긍정의 의미와 부정의 의미와 결합이 가능하여 양극성을 가진다.
ᆞ등급 함축
등급을 나타내는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함축
전부, 대부분, 약간 |
항상, 늘, 자주, 가끔 |
뜨겁다, 뜨끈하다, 미지근하다 |
차갑다, 쌀쌀하다, 시원하다 |
확실하다, 가능하다 |
나는 대부분의 친척을 만났다. | 나는 몇명의 친척들은 못만났다는 의미가 함축됨 |
나는 가끔 친척들을 만난다. | 나는 자주 친척들을 만나지 않는다는 의미가 함축됨 |
방 바닥이 미지근하다. | 방바닥이 차갑지 않다. 뜨겁지 않다가 함축 |
ᆞ절 함축
내포문의(두문장이 합쳐질때 한문장이 다른 문장의 안에 들어감) 명제 내용에 대한 함축
나는 철수가 도와줄 것으로 믿는다. | 확신성의 정도가 다르다. 믿음 = 나의 생각 |
나는 철수가 도와줄 것으로 안다. | 철수가 도와줄 가능성이 이 부분이 높다. 안다 = 경험 |
딸 아니면 아들이 집에 왔다 갔다. | 누가 왔다 갔는지 모르지만 둘중 하나는 분명 왔다 감 |
딸과 아들이 집에 왔다 갔다. | 둘다 왔다 감 |
2. 대화 함축의 특성
대화 상에서 만들어지는 함축을 말한다.
1) 취소가능성: 대화상에서 만들어지는 함축은 그 다음에 이어진 대화 속에서 그 함축의 의미가 사라질 수 있다.
a : 철수가 부인이 둘이야. | 철수는 두번 결혼했다. 철수는 아랍사람? |
b : 아니야 한명이야. | 대답하면 두번 결혼과 아랍사람이 사라짐 |
2) 비분리성: 상호 맥락과 함축의 의미는 떨어지지 않는다. 상황이 변하지 않으면 어떤 언어표현을 사용해도 동일한 함축이 생김
a: 우리 영화 뭐볼까? | |
b-1 아이언맨이 재밌대 b-2 아이언맨이 평이 좋던데 b-3 아이언맨이 흥행하던데 |
영화를 같지 보자는 함축이 생김 |
3) 계산가능성: 함축의 의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계산을 해야 할 수 있다.
(아침에 일찍 일어났을 때) | |
a: 야 지금 몇시야? b: 좀전에 옆집에서 문소리가 났어 |
계산을 해야만 상대방의 말의 결화를 알 수 있다. |
4) 비고정성: 하나의 언어표현이 항상 동일한 함축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다. 비분리성과 반대다. 상황이 바뀌면 다른 함축이 생김
5) 비확정성: 하나의 언어표현에서 반드시 하나의 함축만 생기지 않는다. 동시에 두개 이상의 함축이 생길 수 있다.
a: 철수가 어디에 있을까? | |
b: 지구 어디에 있겠지.. | 나도 모른다. 너는 몰라도 된다. 나에게 철수에 대해 말하지 말라. |
철수가 안타깝게도 시험에 떨어졌어 | 1 우리는 당연히 철수가 시험에 합격할 것을 생각했다. 2 그동안 철수는 굉장히 열심히 공부했다. 3 아주 근소한 점수차이로 시험에 떨어졌다. |
정리하면
1. 함축의 종류
대화상에서 협력 원리와 대화 격률을 지키고 있다가 가정되는 | 대화함축 |
특정 단어와 관련되는 | 고정함축 |
등급을 나타내는 어휘를 사용하여 나타나는 | 등급함축 |
내포문의 명제와 관련되는 | 절 함축 |
2. 대화 함축의 특성
대화 함축은 취소 가능성, 비분리성, 계산가능성, 비고정성, 비확정성이라는 특성을 갖는다.
'한국어 공부 > 한국어 화용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화용론5(함축, 협력, 대화격률, 격률울타리) (0) | 2022.10.14 |
---|---|
한국어화용론4(발화행위, 적정조건, 간접발화행위) (0) | 2022.10.13 |
한국어화용론3(인칭직시, 시간직시, 장소직시, 담화직시, 사회직시) (1) | 2022.10.12 |
한국어 화용론2 (직시의 개념, 직시의 중심, 직시의 용법, 직시의 표현) (0) | 2022.10.11 |
한국어화용론(개념, 특성, 비교) (0) | 2022.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