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한국어 표준과정과 그에 따른 목표는 무엇이고
이런 교육과의 기능을 어떻게 분류하는지 알아본다.
* ‘국제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을 활용한 교육과정 설계 절차
학습자 숙달도 파악(학습자 요구조사) -> 등급총괄목표 확인 -> 주제선정 -> 기능및 과제 선정 -> 교육하기(문화, 텍스트, 언어기슬, 언어지식)-> 평가 -> 적용(피드백)
1. 국제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4단계(2017년) 최종 등급별 총괄 목표
초급 1급
정형화(형태가 굳어짐)된 표현을 이용해 일상생활에서 매우 간단한 의사소통(자기소개,인사, 물건 사기 등)을 할 수 있다. 기초적 어휘와 간단한 문장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한국의 일상생활 문화를 이해하고 자국의 문화와 비교할 수 있다.
초급2급
기초 어휘와 단순한 문장을 이용해 일상생활에서 자주 마주치는 간단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다루는 개인적 구체적 주제에 대해 간단하게 의사소통 할 수 있다. 기본적인 한국의 일상생활 문화를 이해하고 자국의 문화와 비교할 수 있다.
중급3급
일상생활에서 자주 마주치는 문제를 대부분 해결할 수 있으며, 친숙한 사회적 맥락에서 요구되는 과제를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다. 친숙한 사회적추상적 주제와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해 간단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다. 문어와 구어를 어느정도 구분해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한국의 일상생활 문화와 대표적인 행동문화, 성취문화를 이해하고 자국의 문화와 비교할 수 있다.
중급4급
친숙한 사회적 맥락에서 요구되는 과제를 대부분 해결할 수 있으며, 자신의 직업과 관련된 기본적인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친숙한 사회적추 상적 주제와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해 비교적 유창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다. 문어와 구어를 적절히 구분해 사용할 수 있으며, 대상과 상황에 따라 격식체(입니다)와 비격식체(되요)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문법적 기준)한국의 대표적인 행동문화, 성취 문화를 이해하고 자국의 문화와 비교할 수 있다.
고급5급
덜 친숙한 사회적 맥락에서 요구되는 과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으며, 자신의 업무나 학업과 관련된 기본적 의사소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친숙하지 않은 사회적 추상적 주제 및 자신의 직업이나 학문영역에 대해 간단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다. 공식적인 맥락에서 격식을 갖추어 의사소통 할 수 있다. 한국의 다양한 행동 문화, 성취 문화 및 대표적인 관념 문화를 이해하며 자국의 문화와 비교하여 문화의 다양성과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다.
고급6급
덜 친숙한 사회적 맥락에서 요구되는 과제를 적절히 해결할 수 있으며, 자신의 업무나 학업과 관련된 의사소통 기능을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 다. 친숙하지 않은 사회적추상적 주제 및 자신의 직업이나 학문 영역에 대해 비교적 유창하게 다룰 수 있다. 한국인이 즐겨 사용하는 담화텍스트 구조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한국의 다양한 행동 문화, 성취 문화, 관념 문화를 이해하며 자국의 문화와 비교하여 문화의 다양성과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다.
2. 국제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주제
- 개인 신상 : 이름, 전화번호, 가족, 국적, 고향, 성격, 외모, 연애, 결혼, 직업, 종교 등
- 주거와환경: 장소,숙소,방,가구침구,주거비,생활편의시설,지역,지리,동식물등
- 일상생활 : 가정생활, 학교생활 등.
- 쇼핑: 쇼핑시설,식품,의복,가정용품,가격등
- 식음료: 음식,음료,배달,외식등
- 공공서비스: 우편,전화,은행,병원,약국,경찰서등
- 여가와 오락 : 휴일, 취미관심, 라디오텔레비전, 영화공연, 전시회박물관, 독서, 스포츠 등
- 일과직업: 취업,직장생활,업무등
- 대인관계: 친구동료선후배관계,초대,방문,편지,모임등
- 건강: 신체,위생,질병,치료,보험등
- 기후: 날씨,계절등
- 여행: 관광지,일정,짐,숙소등
- 교통: 위치,거리,길,교통수단,운송,택배등
- 교육: 학교교육,교과목,진로등
- 사회: 정치,경제,범죄,제도,여론,국제관계등
- 예술: 문학,음악,미술등
- 전문: 분야언어학,과학,심리학,철학등
3. 국제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기능 분류
범주 | 항목 |
정보 요청하기와 정보 전달하기 |
설명하기, 진술하기, 보고하기, 묘사하기, 서술하기, 기술하기, 확인하기, 비교하기, 대조하기, 수정하기, 질문하고 답하기 |
설득하기와 권고하기 |
제안하기, 권유하기, 요청하기, 경고하기, 충고하기/충고 구하기, 조언하기/조언 구하기, 허락하기/허락 구하기, 명령하기, 금지하기, 주의 주기/주의하기, 지시하기 |
태도 표현하기 | 동의하기, 반대하기, 부인하기, 추측하기, 문제제기하기, 의도표현하기, 바람희망기대 표현하기, 가능/불가능 표현하기, 능력 표현하기, 의무 표현하기, 사과 표현하기, 거절 표현하기 |
감정 표현하기 | 만족/불만족 표현하기, 걱정 표현하기, 고민 표현하기, 위로 표현하기, 불평불만 표현하기, 후회 표현하기, 안도 표현하기, 놀람 표현하기, 선호표현하기, 희로애락 표현하기, 심정 표현하기 |
사교적 활동하기 | 인사하기, 소개하기, 감사하기, 축하하기, 칭찬하기, 환영하기, 호칭하기 |
(국립국어원에 검색하면 위의 내용을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다.)
이 글과 관련된 다른글
'한국어 공부 > 한국어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교육과정(교수요목, 형태, 개요, 방법론) (7) | 2024.11.02 |
---|---|
한국어 교육과정 목표2 (국제통용 한국어 표준교육과정, 기관, 효과) (1) | 2022.12.31 |
한국어 교육과정의 설계 및 교수 원리(상호활동, 과제수행중심, 내재화, 절충주의) (0) | 2022.12.29 |
한국어 교육원리 그리고 방법(한국어 이해영역, 한국어 표현영역) (0) | 2022.12.27 |
한국어 교육 현황(교육담당기관, 교육대상현황, 국외한국어교육) (3) | 2022.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