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의 원리와 방법
한국어를 안다고 해서 모두가 가르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와 보다 효과적인 방법들을 알고 가르치는 것과 모르고 가르치는 것에 대한 결과는 큰 차이로 나타날 것이다. 이번에는 한국어 교육원리와 한국어 교육의 방법을 살펴볼 것이다.
1. 한국어 교육의 목표
1) 외국어 교육의 목표
① 의사소통- 외국어를 통해 다른 언어권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음 - 문법적 능력, 사회언어학적 능력, 담화 능력, 전략적 능력 |
② 문화- 외국 문화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터득 |
③ 비교-타문화와의 비교를 통해 본인이 속한 사회의 언어와 문화를 이해 |
④ 연계- 특정 학과목을 외국어로 습득하여 지식과 정보 확장 |
⑤ 공동체- 국내외의 다언어, 다문화 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음 |
2) 한국어 교육의 목표
① 한국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움
② 한국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이해
③ 한국어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고 활용함
④ 한국어를 사용하는 여러 사회 구성원들과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고 친교를 나눌 수 있음
2. 한국어 교육의 원리
1) 의사소통 능력과 언어 숙달도 향상
① 상호 활동을 통한 실제 언어 사용 중심으로 한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 - 교육의 목표를 원어민 수준이 아니라 이해 가능 여부에 두고 정확성보다는 유창성에 중심을 둔 교육을 함 |
② 실제 의사소통에서 수행할 수 있는 과제 중심의 교육 - 학습자가 목표어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을 사용하여 수업의 활동 과제로 사용함 예) 길 찾기 과제의목표를 표현: ~으로가다. / 물건 사기 과제의 목표표현 |
③ 학습자의 기존 지식 구조나 기억 체계와 연결될 수 있는 교육 - 학습자의 개념 생각을 끄집어 내야 함 예) 높임의 표현 -이세요 -으세요 선생님(밭침이 있을때)->선생님 이세요, 할머니(밭침이 없을 때)->할머니 세요 |
④ 학습자의 요인 및 다양한 변인을 고려한 절충주의적 교수법 사용 - 규모와 상황에 따라서 교육할 수 있는 교수법이 다를 수 있다. |
⑤ 학습자 요인을 고려하여 교육 과정·방법·절차를 설계하는 학습자 중심 교육 - 내가 가르치는 학습자는 어떤 목적 어떤 성향을 가지고 있는가? 공부만 하는 학습자인지 일과 노동을 하는 학습자인지 구분해야 한다. |
⑥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이 조화를 이루는 통합적인 교육 - 뉴스를 듣고 요약한 후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기 (수업 후 과제 : 같은 주제 기사문을 읽고 단락 중심 내용 정리) |
⑦ 의미 범주와 맥락이 제시되는 담화 차원의 교육 - 담화 상황에서 어떤 상황인지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
⑧ 상호 문화적 관점에서 타 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교육 - 못 가요 / 못 갈거 같아요. = 추측의 기능과 부드러운 거절까지 학습. |
2)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 목적
ㄱ) 표준 한국어 교육과정의 부재할 때: 비 체계적, 상호 독립적인 운영을 하였기 때문
ㄴ) 국내외에서 통용 가능한 한국어 교육의표준 교육과정을 제시
ㄷ) 교육과정의 설계의 객관적인 준거를 제시하기 위해
등급 기술 영역 | 영역별 하위 요소 | 기술 방법 |
주제 | 화제(날씨 안부 거절) | 세부적 기술 |
언어기술 |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과제 | 추상적 기술 |
언어지식 | 어휘, 문법, 발음, 텍스트 | 세부적 기술 |
문화 | 문화지식, 문화실행, 문화관점 | 추상적 기술 |
3. 한국어 교육의 방법
1) 한국어 이해 영역 : 읽기 듣기.
문법 번역식 교수법 | •읽기: 필자가 기호화한 메시지를 독자가 해독하는 수동적 과정 •듣기: 언어의 구조와 형태 등을 학습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듣기, 말하기를 위한 전 단계로서의 수동적 과정 |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 | •읽기: 읽은 것을 바탕으로 하여 의미를 재해석하고, 유추 · 비판하는 등 기존 텍스트를 재구성하는 능동적 과정 •듣기: 담화 당사자로서 의미 협상 진행을 위해 담화를 적극적으로 해 유추, 평가하면서 반응하는 능동적 과정 |
2) 한국어 이해 교육의 목표
① 목적에 맞는 정보 획득
②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화자/필자의 의도 파악
③ 실제 한국어 사용 환경에서 접하는 다양한 듣기/읽기 자료 처리 방법 훈련
3) 학습 단계별 교육 목표
① 초급 단계
. 일상생활 관련 주제 담화 이해 및 처리하기
. 자기소개, 인사, 가족, 날씨, 물건 사기, 전화, 약속, 시간, 계산, 은행, 병원 등
. 듣기: 자음, 모음 등 음운 식별 - 예) 불, 뿔, 풀
. 읽기: 한글의 구성을 이해하고 글자를 읽음
② 중급 단계
. 복잡한 문장, 이야기 단위의 연습 가능
. 좀 더 복잡한 개인적인 상황과 자주 접하는 공식적인 상황에 대한 이해
. 초대, 물건 교환, 성격, 운동, 교육, 문화, 사건/사고 등
. 친숙한 사회적 소재, 긴 설명문이나 생활문, 간단한 강연 제시
③ 고급 단계
. 담화와 문맥 단위에서 이야기를 이해하는 연습
. 공식적이고 전문적인 주제, 복잡한 의미 협상 과정이 있는 사회적인 주제 제시
.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문화 등 전 영역에 대해 깊이 다룬 소재 제시
. 복잡한 연설문, 강연, 대담 등을 비판적으로 이해
4) 한국어 표현영역
① 언어 표현 활동: 화자 또는 필자가 의사소통 상황과 대상을 고려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자신의 의도에 맞게 표현하는 능동적인 과정
② 개인적 행위 vs. 사회적 행위
말하기: 화자/청자 ≒ 청자/화자
쓰기: 글 -> 독자, 독자 -> 필자, 필자 -> 필자
5) 말하기와 쓰기 교육
① 외국어 능력이란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4가지 기능이 골고루 발달되어야 하지 만
-> 의사소통능력을 중요시하는 상황에서는 네 가지 기능 중 말하기 기능의 중요성이 높아짐
② 쓰기 능력
모국어 화자라고 해도 구조화된 쓰기 능력을 갖기 힘들어 함
교사는 한국어 언어의 특징뿐만 아니라 글쓰기 능력 자체에 대한 학습도 함께 이루어져 야함
6) 한국어 표현 교육의 목표
① 형태 학습을 기반으로 정확성을 높임 - 말할때 유창성이 중요하나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야함
②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발생하는 말하기/쓰기 과제 수행을 연습함 - 살아있는 주제를 가지고 연습
③ 의사소통 상황과 자신의 목적에 맞게 말이나 글로 나타내고자 하는 바를 정확하게 표현함 - 명확성을 확보할 수있도록 도와야한다.
7) 학습 단계별 표현 교육
① 초급 단계
- 일상생활 관련 주제 표현
. 말하기: 높임말과 반말 구별, 공식적 상황과 비공식적 상황 구별
. 쓰기: 구어와 문어 구별, 맞춤법과 띄어쓰기 정확성 확보
② 중급 단계
- 복잡한 개인 상황과 자주 접하는 공식적인 상황
. 일상적인 생활 문화, 개인적인 주제
. 사회적인 관계 유지
. 친숙한 사회적, 추상적인 소재
. 관용적 표현과 속담
③ 고급 단계
- 공식적이고 전문적 사회적인 주제 정치, 경제, 사회, 과학, 문화 전반
. 전문 분야(발표, 협상, 토론 등)
. 한자어, 시사용어, 전문용어, 학술용어 사용
8) 표현 교육의 실제
① 말하기 활동의 종류
. 모방과 암기, 시각 자료 이용하기
. 역할극이나 드라마, 문제 해결 활동, 프로젝트, 인터뷰, 의사결정
. 좌담회, 토론, 설문조사, 발표
② 쓰기 활동의 종류
. 베껴 쓰기, 받아쓰기
. 통제된 쓰기
. 표, 도표, 그림이나 사진 보고 쓰기, 어순 배열하기, 문장 연결하기
질문 대답하기, 지시대로 바꿔 쓰기, 빈칸 완성하기
-유도된 쓰기
예시문을 이용한 유도된 쓰기, 빈칸 완성하기, 응답쓰기
- 자유쓰기
. 읽기, 듣기 또는 시청각 자료 등에서 제시된 내용에 대한 자신의 견해 쓰기 제목 주고 글쓰기, 문학 창작 활동
정리하면
1. 한국어 교육의 원리
- 한국어 교육은 의사소통 능력과 언어 숙달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한국어 교육은 표준 교육 과정은 주제와 언어기술, 언어지식, 문화 네 영역으로 나눈다.
2. 한국어 이해 영역
- 듣기와 읽기가 해당되며, 청자나 독자가 화자나 필자의 메시지를 이해하는 인지적 과정임
-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화자나 필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실제 한국어 사용 환경에서 접하는 다양한 듣기와 읽기 자료 처리 방법 훈련해야 한다.
3. 한국어 표현 영역
- 말하기와 쓰기가 해당되며 형태 학습을 기반으로 표현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함
- 의사소통 상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말하기와 쓰기과제를 연습하여 자신이 나타내고자 하는 바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이 교육의 목적임
이 글과 관련된 다른글
'한국어 공부 > 한국어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교육과정(교수요목, 형태, 개요, 방법론) (7) | 2024.11.02 |
---|---|
한국어 교육과정 목표2 (국제통용 한국어 표준교육과정, 기관, 효과) (1) | 2022.12.31 |
한국어 교육과정 목표(기능, 주제, 숙달도, 교육과정) (0) | 2022.12.30 |
한국어 교육과정의 설계 및 교수 원리(상호활동, 과제수행중심, 내재화, 절충주의) (0) | 2022.12.29 |
한국어 교육 현황(교육담당기관, 교육대상현황, 국외한국어교육) (3) | 2022.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