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어휘론
여러 종류의 특정한 언어체계 그 어휘소의 총체가 그 언어체계의 어휘라 할 수 있다.
1. 어휘의 개념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 특정한 언어체계가 가지고 있는 어휘소의 총체가 그 언어체계의 어휘라고 할 수 있다.
한국어 · 영어 등 특정한 개별언어
|
충청도방언 · 경기도방언 등 특정지역의 언어(지역방언)
|
여러 사회계층의 언어, 각 전문분야의 언어 등도 포함된 이른바 사회방언
|
개인의 언어, 개인이 실지로 사용하는 언어는 한 종족이 가지는 언어체계 속에서 선택됨
|
2. 어휘론의 연구 영역
3. 한국어 어휘의 일반적인 특성
1) 국어 국문학 자료사전
(1) 한자어, 기타 외래어의 유입 때문에 유의어가 많아졌다. 특히 한자어가 미치는 영향이 크다. 유의어의 발달은 표현 전달의 명확성을 해친다는 점에서 문제가 되기도 하지 만 '표현성의 풍부'라는 견지에서는 오히려 바람직한 현상이다. 문체론적인 가치를 위하여 적절히 이용될 수 있다.
(2) 한자어의 영향으로 동음이의어(同異)가 많아졌다. 이것은 언어활동에서 동음의 규 칙적인 배열에 의한 리듬들 구성하는 데 이용되기는 하지만 그보다는 동음이 주는 혼란이 더 문제가 되기 때문에 좋은 점보다는 좋지 않은 점이 더 크다. 한자어의 결점을 들추는 이 들이 흔히 거론하는 것이 이 동음이의어다.
(3) 한국어에서는 경어법(敬法)이 복잡하게 발달되어 있다. 그 한 예로 2인칭 대명사를 들 면 '너, 자네, 그대, 당신, 어르신네' 등이 있어 여러 가지 차등들 두고 사용된다. 또, 명사에 ' 님'을 붙여 '아버님. 어머님. 선생님, 형님, 누님' 하고 심지어는 '아우님'이라고도 한다. 한자 어는 경어법의 발달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체로 하나의 유의어군이 있을 때 고유어 보다는 한자어가 경의를 표하는 말로 쓰이는 경우가 많이 있다. 예를 들면, '이 : 치아. 술 : 약주' 등이다.
(4) 고유어와 한자어가 유의구조를 형성하고 있어 경어법, 품위 있는 언어사용과 관련하여 그것의 적절한 선택사용으로 여러 가지 의미와 표현효과를 나타내는데, 대체로 한자어가 품 위 있고 경의를 표하는 말로 인식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아비 · 아버지 · 아버님 · 가친(家) · 엄친(嚴) · 노친() · 춘부장(椿府丈) · 망부(亡父) · 선친(先) · 선고(先) 등이 있다. 한자어 보다는 고유어가 비속한 말, 욕설 등 에 잘 쓰이는 경향이 있다.
(5) 의성어 · 의태어 등 음성상징(徵)의 발달이 눈에 띈다. 이 상징어(徵 : 의성어 · 의태어를 통틀어 상징어라 함)의 발달은 거의 고유요소에 의존하고 있다. 모음과 자음의 대 립을 이용한 변화 있는 표현이 풍부하다. 여기에서도 유의성(性)이 나타난다. 풍부한 표 현성에도 기여하고 있다.
(6) 고유어는 개념어로서의 적성이 한자어에 비하여 약하다. 더구나 한자는 조어력이 강하여 학술용어나 기타 전준용어, 그리고 일반용어에까지도 계속 한자어가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문화어는 한자어라고 하는 말이 이에 기인한다.
(7) 기초어휘에서는 고유어의 체계가 발달되어 있다. 한자어가 있는 경우에도 한자어보다는 고유어가 일반적으로 쓰인다. '숨쉬다 : 호흡하다', '쉬다 : 휴식하다', '해 : 태양' 등은 고유어 에 대응하는 한자어가 있는 예들이고, '말하다', '달', '별' 등은 같은 의미 기능을 가진 한자 어가 없는 예들이다. '달'에 해당하는 '月'이나 '별'에 해당하는 '星' 등은 다른 한자와 결합하 여 한자어를 형성하는 형태소일 뿐 국어에서 단어가 되지 못한다.
(8) 친족명칭에서 위로 할아버지 대와 아래로 아들의 대까지는 고유어가 있으나 그밖에는 한 자어에 의존하고 있다. 먼 세대, 복잡한 관계일수록 한자어뿐이다.
(9) 체언이 격에 따라 형식이 달라지지 않는다. 그래서 외국어로부터 외래요소를 차용하기가 용이하다. 외국어에서 동사나 형용사를 들여다가 명사내지는 동사나 형용사의 어근으로 이 용하기도 하고 특정한 격을 가지는 체언을 들여다가 격을 무시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이 어떤 언어로부터도 쉽게 언어자료를 차용할 수 있게 하는 요인이 된다.
2)심재기
1) 음운론적 유연성(음윤교체성)
모음의 교체 | 자음의 교체 |
팔랑팔랑 : 펄렁펄렁 아장아장 : 어정어정 캄캄하다 : 컴컴하다 오물오물 : 우물우물 꼬물꼬물 : 꾸물꾸물 꼼지락거리다 : 꿈지럭거리다 |
감감하다 : 캄캄하다 : 깜깜하다 댕댕하다 : 탱탱하다 : 땡땡하다 발발거리다 : 팔팔거리다 : 빨빨거리다 잘랑잘랑 : 찰랑찰랑 : 짤랑짤랑 |
2) 형태론적 유연성
접미파생법에 의한 낱말
동사 어간에 ‘-ᄆ’을 붙임
|
접미파생법에 의한 낱말 :
동사, 형용사 어간에 ‘-하-’, ‘-되’, ‘-시키-’ , ‘-치-’ , ‘-적-’, ‘-스 럽-’, ‘-답-’ |
짐, 잠, 꿈, 걸음, 놀음, 울음, 웃음, 앎, 게으름, 괴로움, 그리움, 기쁨, 슬픔, 그림, 그믐 | 밥하다, 나무하다, 한잔하다, 벗하다 복되다, 참되다, 헛되다, 순화되다 일시키다, 공부시키다, 운동시키다, 말시키다 그늘지다, 기름지다, 값지다, 건방지다, 멀어지다, 써지다 겹치다, 감치다, 몰아치다, 마주치다 어른스럽다, 촌스럽다, 사랑스럽다, 게걸스럽다 사람답다, 신사답다, 아름답다 |
3) 한자어의 어휘적 특성
고유어와 이질감 없이 복합어를 형성
|
3음절 이상의 한자구성들이 한국어의 체계 안에서는 하나의 낱말로 처리됨
|
밥상, 약밥, 색종이, 꼬마자동차(動), 창(窓)살
|
어차피(於此彼), 급기야(及其也), 심지어(甚於)
|
4) 외래어의 어휘적 특성
외래어는 일본 식민지 기간 중에 일본어로 정착된 뒤에 국어 어휘 체계 안에 들어왔음.
↓
1950년데 이후 원어에 가까운 발음으로 교정하는 과정을 거쳐 총 두 번에 걸친 발음 정 착 과정을 지나왔다.
<
정리하면
1. 어휘의 개념 - 여러 종류의 특정한 언어체계가 가지고 있는 어휘소의 총체가 그 언어체계의 어휘라고 할 수 있다. 이 이후에는 각 개별언어와 지역방언, 사회방언 등의 어휘소가 포함된다.
2. 어휘론의 연구영역 - 크게 협의의 어휘론과 광의의 어휘론 분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어휘의 체계와 관련한 분야인 '통사론, 형태론' 어휘소의 변이에 대해 연구하는 '방언학, 사회언어학, 화용론' 등이 어휘론의 연구 범주에 속한다.
3. 한국어 어휘의 일반적 특성 - 한자어 및 기타 오래어의 유입으로 인해 유의어가 많아졌으며, 한자어의 영향으로 동음이의어가 많다. 이외에도 경어법이 복잡하게 발달해 있으며, 음성상징어의 발달이 눈에 띈다는 특징 등이 있다.
'한국어 공부 > 한국어 교육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념(언어능력, 자료의 유용성, 외국어 교육) (1) | 2022.12.28 |
---|---|
한국어 교육론(한국어, 국어, 한국어교사, 한국어교육) (1) | 2022.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