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용언
용언은 무엇인가?
문장의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말을 용언이라고 한다.
1. 동사, 형용사
1) 동사
개념 : 주어의 동작이나 과정을 나타내는 단어의 부류다.
자동사 | 움직임이 그 주어에만 관련되는 동사 |
타동사 | 움직임이 다른 대상, 즉 목적어에 미치는 동사 |
2) 형용사
개념 : 주어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의 부류
성상 형용사 |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 | 고요하다, 달다, 예쁘다, 향기롭다 |
지시 형용사 | 지시성을 나타내는 형용사 (지시 형용사는 성상 형용사에 앞서는 순서상의 특징을 가진다) |
이러하다(이렇다), 그러하다(그렇다), 저러하다(저렇다), 저러하다(저렇다),아무러하다(아무렇 다), 어떠하다(어떻다) 그렇게 예쁜 꽃은 처음 본다.= 지시가 성상보다 앞선다. |
*동사와 형용사를 구분하는 기준
동사 | 형용사 | 활용 |
기본형에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는-/-ᄂ-’이 결합할 수 있으면 동사
|
‘-는-/-ᄂ-’이 결합할 수 없으면 형용사이다.
|
|
기본형에 관형사형 어미 ‘-는’이 결합할 수 있으면 동사
맛이 *달는 / 단 과일
|
‘-는’ 결합할 수 없으면 형용 사이다.
매우 *아름답는 /아름다운 꽃
|
|
‘의도’을 뜻하는 ‘-려’나 ‘목적’을 뜻하는 어미 ‘-러’와
함께 쓰일 수 있으면 동사 |
‘의도’을 뜻하는 ‘-려’나 ‘목적’을 뜻하는 어미 ‘-러’와 함께 쓰일 수 없으면 형용사
|
선생님이 오늘 예쁘러
미용실에 간다. |
동사는 명령형 어미 ‘-어라’와 청유형 어미 ‘-자’와
결합할 수 있다 |
동사는 명령형 어미 ‘-어라’와 청유형 어미 ‘-자’와 형용사 는 이러한 어미와 결합할 수 없다.
|
여러분 오늘부터 예쁘자
|
2. 보조용언
개념 : 용언 중에는 혼자서 쓰이지 못하고 반드시 다른 용언의 뒤에 붙어서 의미를 더하여 주는 것이 있다. 이를 보조 용언이라고 한다. 보조 용언은 기본적으로 선행하는 본용언의 어 미가 ‘-아/-어, -게, -지, -고’로 한정된다.
(ᄀ) 보조 동사 : 동사처럼 활용하여 도와주는 역할.
이 소리를 한번 들어 보아라. 공책은 책상 위에 얹어 두었다.
(ᄂ) 보조 형용사 : 형용사처럼 활용 도와주는 역할.
나도 좋은 시를 많이 읽고 싶다. 오늘은 날씨가 춥지 않다.
• 본용언
개념 : 보조 용언들이 뜻을 더하여 주는 앞의 용언
그 편지를 누가 볼까 봐 그러니? - 보조 형용사
내가 그런 시시한 영화를 볼까보냐? - 보조형용사
우선 얼굴부터 보고 보자. - 보조 동사
보조 동사로 쓰인 ‘보다’는 구체적인 동작이 전제된 ‘해보기, 시행’의 뜻을 지니고 있으며,
이와 함께 ‘동작의 결과에 대한 확인이나 지각, 경험’의 뜻도 담고 있다.
반면 보조 형용사로 쓰인 ‘보다’는 선행 동사의 동작이나 상태에 대하여 화자가 추정하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 때의 추정은 무장상의 주어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문장의 발화자, 즉 화 자의 추정이다.
3. 용언의 활용
개념 : 용언의 특징으로 문장 속에서 담당하고 있는 기능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는 것을 활용이라고 한다.
(ᄀ) 규칙 활용 : 용언이 활용할 때에 대부분의 용언은 어간이나 어미의 기본 형태가 유지되 거나 달라진다 해도 그 현상을 일정한 규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를 규칙 활용이라고 하 고, 이러한 용언을 규칙 용언이라 한다.
(ᄂ) 불규칙 활용 : 일부의 용언은 어간과 어미의 기본 형태가 유지되지 않을 뿐더러 그 현상 을 일정한 규칙으로 설명할 수 없다. 이를 불규칙 활용이라 하고, 이러한 용언을 불규칙 용 언이라 한다.
1 어간이 바뀌는 경우
갈래 | 내용 | 용례 | 규칙활용예시 |
‘ᄉ’ 불규칙
|
‘ᄉ’이 모음 어미 앞에 서 탈락
|
잇+어→이어, 짓+어→지어, 낫다(,)→ 나아
|
벗어, 씻어
|
‘ᄃ’ 불규칙
|
‘ᄃ’이 모음 어미 앞에 서 ‘ᄅ’로 변함
|
듣+어→들어, 걷()+어→걸어,
묻+어 →물어, 깨닫다, 싣다 |
묻어, 얻 어
|
‘ᄇ’ 불규칙
|
‘ᄇ’이 모음 어미 앞에 서 ‘오/우’로 변함
|
눕+어→누워, 줍+어→주워, 돕+아→도와, 덥+어→더워
|
잡아, 뽑아
|
‘르’ 불규칙
|
‘르’가 모음 어미 앞에 서 ‘ᄅᄅ’ 형태로 변함
|
흐르+어→을러, 이르+어→일러(,),
빠 르+아→빨라, 나르다, 고르다 |
따라, 치러
|
‘우’ 불규칙
|
‘우’가 모음 어미 앞에 서 탈락
|
퍼(푸+어)
|
주어, 누어
|
2 어미가 바뀌는 경우
갈래 | 내용 | 용례 | 규칙 활용예시 |
‘여’ 불규칙
|
하-’뒤에 오는 어미 ‘-아/- 어’가 ‘-여’로 변함
|
공부하+어→공부하여,
‘하다’ 와 ‘-하다’가 붙는 모든 용언 |
파+아→파
|
‘러’ 불규칙
|
어간이 ‘르’로 끝나는 일부 용언 에서,
어미 ‘-어’가 ‘러’로 변 함 |
이르()+어→이르러,
누르()+ 어→누르러, 푸르+어→푸르러 |
치르+어→치 러
|
‘너라 ’ 불규칙
|
명령형 어미인 ‘-거라’가 ‘-너 라’로 변함
|
오+거라→오너라
|
가거라, 있거 라
|
‘오’ 불규칙
|
‘달-/다-’의 명령형 어미가 ‘오’로 변함
|
다+아→다오
|
주어라
|
3 어간과 어미가 바뀌는 경우
갈래 | 내용 | 용례 | 규칙활용예시 |
‘ᄒ’ 불규칙
|
‘ᄒ’으로 끝나는 어간에 ‘-아/-어’ 오면
어간의 일부인 ‘ᄒ’이 없어지고 어미도 변 함 |
하얗+아서→하얘서,
파랗+아→파래 |
좋+아서→좋 아서
|
• 어간
개념 : 활용시 변화하지 않는 부분
• 어미
개념 : 활용시 변화하는 부분
어미 | 어말어미 | 종결어미 |
평서형어미: 먹는다, 먹네, -(으)오, -(으)ᄇ니다
감탄형어미: 먹는구나, -로구나, -구려, -구나, -도다 의문형어미: 먹느냐, -는가, -니, -(으)ᄇ니까, -오, -가(아) 명령형어미: 먹어라 -게, -(으)십시오, -(으)오, -(어)요 청유형어미: 먹자, -세, -(으)십시다, -아/어, -(으)ᄇ시다 |
연결어미 |
대등적 연결 어미: 고, 며
종속적 연결 어미: 니, (어/아)서, 게, 도록 보조적 연결 어미: 아, 게, 지, 고 |
||
전성어미 품사를 바꿔줌 |
명사형 전성어미: ᄆ, 기
관형사형 전성어미: -(으)ᄂ, -는, -(으)ᄅ, -던 |
||
선어말 어미 | 분리적 선어말어미 |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시
시제 선어말 어미: 는, 었, 겠, 었었 공손 선어말 어미: 옵, 사옵 |
|
교착적 선어말어미 |
상대 높임 합쇼체 선어말 어미: ᄇ 서법 표시 선어말 어미: 느, 더, 리 강조법 선어말 어미: 니, 것
|
4 .독립언(감탄사)
독립적으로 사용함
개념 : 말하는 이의 본능적 놀람이나 느낌, 부름과 대답, 입버릇으로내는 단어들을 말한다.
어머나, 흥, 여보게, 예, 어~, 저~
* 감탄사의 특징
(ᄀ) 활용하지 않음.
(ᄂ) 위치가 아주 자유로워서 문장의 아무데나 놓을 수 있음.
(ᄃ) 조사가 붙지 않고, 언제나 독립어로만 쓰임.
* 감탄사의 품사 통용
(ᄀ) 형용사 ⇒ 감탄사 | 그것을 해도 좋다.(형) |
좋다! 얼씨구 좋다! (감)
|
(ᄂ) 명사 ⇒ 감탄사 | 그것이 정말이냐? (명) |
정말! 이미 여름이구나.(감)
|
(ᄃ) 관형사 ⇒ 감탄사 | 이런 시간에 어딜 가니?(관) |
이런! 시간이 다 됐구나.(감)
|
(ᄅ) 부사 ⇒ 감탄사 | 정말 깜짝 놀랐다.(부) |
깜짝이야! (감)
|
(ᄆ) 수사 ⇒ 감탄사 | 천만에 하나라도 거짓이(수) | 천만에! 난 하지 않았어.(감) |
(ᄇ) 대명사 ⇒ 감탄사 | 바로 이놈이다.(대) | 이놈! 어딜 가냐? (감) |
(ᄉ) 동사 ⇒ 감탄사 | 이제 그만해 두어라.(동) | 두어라, 물어 무엇하리오? (감) |
'한국어 공부 > 한국어 문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문장의 종결과 높임법(평서문, 의무문, 명령문, 청유문, 감탄문)(상대높임법,주체높임법,객체높임법)' (1) | 2022.09.25 |
---|---|
한국어 수식언(관형사, 부사, 관계언,조사) (1) | 2022.09.21 |
한국어 형태론 (품사의 분류, 체언, 명사, 대명사, 인칭대명사, 수사) (1) | 2022.09.20 |
한국어 문법(형태소, 단어형성) (1) | 2022.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