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품사의 분류
개념 : 단어들을 성질이 공통된 것끼리 모아 갈래를 지어 놓은 것이다.
분류기준 :
기능 - 품사가 문장 내에서 하는 역할이다
형태 - 품사의 형태 변화가 있는지 없는지
의미 - 개별 단어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느냐
이 세가지 기준이 모두 적용이 되어서 품사를 분류함.
*품사의 분류
형태 | 기능 | 의미 |
형태가 변하지 않는 단어 | 체언: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등의 일을함 중심적인 역할 |
명사: 대상의 이름 |
대명사: 대상의 이름 | ||
수사: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냄 | ||
수식언: 문장에서 다른 말을 꾸며주는 일을 함 | 관형사: 체언을 꾸며줌 | |
부사 : 주로 용언을 꾸며줌 | ||
관계언 : 단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을 함 | 조사: 주로 체언 뒤에 붙어서 단어들 사이이의 관계를 나타내거나 특별한 뜻을 더해줌 | |
독립언 : 문장에서 독립적으로 일을 함 | 감탄사: 느낌 부름 대답등 | |
형태가 변하는 단어 | 용언 : 문장에서 주로 서술의 일을 한다. | 동사 : 대상의 움직임을 나타냄 |
형용사: 대상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냄 |
2. 체언
개념 : 문장에서 주로 주어가 되는 자리에 오며, 때로는 조사와 결합하여 목적어, 보어, 관형 어, 부사어, 서술어 등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
실현 : 조사와 결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형태의 변화가 없다.
(1) 명사
개념 :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가리키는 말
(ᄀ) 사용 범위에 따라
1 고유 명사 : 특정한 하나의 개체를 다른 개체와 구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 (좁은 범위에 사용하기 위해)
2 보통 명사 : 어떤 속성을 지닌 대상들에 두루 쓰이는 이름
고유 명사와 보통 명사를 어떻게 구분할까? - 고유 명사는 복수 접미사나 관형사와 어울릴 수 없다. - 고유 명사는 수(數)와 관련된 말과 결합하지 않는다. 두 백제가, 설악산마다= 고유한 것이기 때문에 어울리지 않는다. - 고유 명사가 복수형을 취하여 보통 명사가 되기도 한다. 우리는 장래의 세종 대왕들을 기다린다.= 세종대왕 같은 사람들을 기다린다는 의미를 가짐. |
(ᄂ) 자립 여부에 따라
1 의존 명사 : 의존하는 것이 있어야 함
- 명사의 성격을 띠고 있으면서도 그 의미가 형식적 이어서 다른 말(관형어) 아래에서 도움을 받아 쓰 이는 말.
보편성 의존 명사 - 모든 성분으로 두루 쓰임
주어성 의존 명사 - 주로 주어로 쓰임
서술성 의존 명사 - 주로 서술어로 쓰임
부사성 의존 명사 - 주로 부사어로 쓰임
단위성 의존 명사 - 앞에 있는 명사의 수량을 단위로 표시. 수관형사 아래 쓰임.
2 자립 명사 : 일반적인 명사들은 혼자서 자립적으로 쓰일 수 있는 데 이를 자립 명사라 고 한다.
유정 명사 - 사람이나 동물을 가리키는 명사. 예)사람,개
무정 명사 - 식물이나 무생물을 가리키는 명사. 예)나무,집
가산 명사(수량 명사) - 셀 수 있는 명사. 예)사람,집
질량 명사 - 셀 수 없는 명사. 예)하늘,물
<
(2) 대명사
• 대명사
개념 : 대상의 이름을 대신하여 그것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하는 체언, 그러므로 대명사란 곧 명사를 대신하는 말이다.
(ᄀ) 지시 대명사 : ‘이것, 그것, 저것’ 등과 같이 사물을 가리키는 것과 ‘여기, 거시, 저기’와 같이 처소를 가리키는 것이 있다.
비인칭 대명사 | 용례 |
사물 대명사 | 이, 그, 저,이것, 그것, 저것, 무엇, 어느것, 아무것, 자체 |
공간 대명사 | 여기, 거기, 저기, 이곳, 그곳, 저곳, 어디, 어느곳, 아무데, 아무곳 |
시간 대명사 | 입때, 접때, 언제、어느때, 아무때 |
(ᄂ) 인칭 대명사 : 1인칭, 2인칭, 3인칭, 미지칭, 부정칭, 재귀칭으로 나뉜다.
- 미지칭 : 대상의 이름이나 신분을 모를 때 쓰는 인칭 대명사로, 주로 의문문에 쓰인다.
누구의 얼굴이 먼저 떠오르냐?
- 부정칭 : 특정 인물을 가리키지 않는 인칭 대명사
아무라도 응시할 수 있다.
- 재귀칭 : 한 번 나온 명사를 다시 가리킬 때 쓰이는 인칭 대명사로 달리 재귀 대명사라 한다.
재귀는 3인칭을 지칭 할때 쓴다.
철수도 자기 잘못을 알고 있다. (재귀 대명사는 ‘자기’가 보편적이다)
그분은 당신 딸만 자랑한다.
누구든지 제(저의) 자식은 귀여워한다.
인칭 대명사 | 높임 정도 | 용례 |
1인칭 대명사 | 평대칭 | 나. 짐. 본인. 우리 |
하대칭 | 저, 소생, 소인, 소자, 과인, 저희 | |
2인칭 대명사 | 하대칭 평대칭 | 너 너희 당신 |
존대칭 | 그대 여러분 댁 귀형 귀하 노형선생 자네 | |
극존대칭 | 어른 어르진 선생님 | |
3인칭 대명사 | 하대칭 | 이자 그자 저자 얘 개 졔 이애 그애 저애 |
평대칭 | 그 저 이들 그들 저들 누구 아무 자기 자신 저 제 저희 | |
존대칭 | 이이 그의 저의 | |
극존대칭 | 이분 그분 저분 당신 |
미지칭 대명사 | 평대칭 | 누구(알지 못하는 인물지칭) |
부정칭 대명사 | 평대칭 | 누구(특정 인물 지칭하지 않는 누구) 아무 |
재귀대명사 | 평대칭 | 자기 자신 저 제 저희 스스로 자체 |
극존대칭 | 당신 |
(3) 수사
• 수사
개념 :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가리키는 단어
실현 : 조사가 붙을 수 있다.
국어에는 분야에 따라 특별한 수사들이 발달하여 있고, 시간을 나타낼 때는 고유어와 한자 어를 섞어서 쓴다.
(ᄀ) 양수사(수량) : ‘둘, 셋, 다서, 이, 삼, 오’ 등과 같이 수량을 나타냄
(ᄂ) 서수사(순서) : ‘첫째, 둘째, 제일, 제이’ 등과 같이 순서를 나타냄
1. 수사는 복수 표시를 할 수 없다. 2. 한 문장에서 명사, 대명사, 수사가 같은 성분으로 쓰일 때는 ‘대 + 명 + 수’의 순으로 놓는다. 예)우리 한국인 칠천만 |
'한국어 공부 > 한국어 문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문장의 종결과 높임법(평서문, 의무문, 명령문, 청유문, 감탄문)(상대높임법,주체높임법,객체높임법)' (1) | 2022.09.25 |
---|---|
한국어 용언(동사, 형용사, 감탄사) (1) | 2022.09.22 |
한국어 수식언(관형사, 부사, 관계언,조사) (1) | 2022.09.21 |
한국어 문법(형태소, 단어형성) (1) | 2022.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