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수식언
수식언은 꾸며주는 말이다.
관형사와 부사가 있다.
1. 관형사는 무엇인가?
- 개념 : 체언 앞에 놓여서 주로 체언을 꾸며 주는 단어
- 실현 : 관형사는 조사와 결합할 수 없으며, 형태가 변화하지 않는다.
- 종류 :
(ᄀ) 명사의 성질이나 상태를 꾸며 주는 관형사(성상:성질과 상태)
상태 |
온갖, 새, 헌, 헛, 순, 주, 정, 준, 대, 소
|
정도 |
고작, 겨우, 진짜, 단지, 유독, 무려, 약
|
(ᄂ) 어떤 대상을 가리키는 관형사(지시)
공간 | 이, 그, 저, 요, 고, 조, 이런, 그런, 저런, 무슨, 아무 |
시간 | 옛, 올, 현(現), 신(新), 구(舊), 전(前), 후(後), 래(來) ... |
(ᄃ) 수량을 나타내는 관형사(수) 양수와 서수(순서)
양수 |
한, 두, 세(석, 서), 네(넉, 너), 다섯(닷), 엿, 일곱, 여뎗, 아홉, 열, 열한, 열두, 열세(석, 서),...스무, 스물한, 스물두..., 한두, 두세, 서너, 너댓...
|
|
서수 | 정수 |
첫, 첫째, 둘째, 셋째, ...제일(第一), 제이(第二) ...
|
부정수 |
한두째, 주어째, 몇째, 여남은째 ..., 몇몇, 여러 ...
|
- 옷을 입었다. / 새 옷을 입었다.
- 음식을 먹었다. / 온갖 음식을 먹었다.
- 바나나야? / 무슨 바나나야?
- 사람이 필요해. / 여러 사람이 필요해.
2. 부사는 무엇인가
- 개념 : 용언이나 관형사, 다른 부사를 꾸며 주며 때로는 문장을 꾸면 주기도 한다.
- 실현 : 부사는 조사와 결합할 수 없으며, 형태가 변화하지 않는다.
- 종류 : 일반적으로 문장에서의 역할에 따라 성분 부사와 문장 부사로 크게 나누어진다.
(ᄀ) 문장의 어느 한 성분만 수식
(성상부사:성질과 상태) |
밝히, 따뜻이, 잘, 선히, 슬피, 즐거이, 바로, 겨우, 아주, 모두, 다, 제각각, 멀리
|
|
지시부사 | 공간 |
이리, 그리, 저리, 이리저리, 요리조리, 여기, 거기, 저기, 어디, 여기저기
|
시간 |
일찍이, 접때, 이때, 장차, 언제, 아까, 곧, 이미, 앞서, 문득, 난데없이, 매일
|
|
부정부사 |
못(능력이 없을때), 안(의지가 없을 때)(아니)
|
|
의성부사 |
쾅쾅, 철썩철썩, 데굴데굴
|
|
의태부사 |
느릿느릿, 울긋불긋, 사뿐사뿐
|
(ᄂ) 뒤에 오는 문장 전체를 수식 (뒷 문장 말을 안했지만 뒷 문장을 유추가 가능해짐)
양태부사 |
과연, 분명히, 도리어, 게다가, 확실히, 의외로
|
|
접속부사 | 문장접속부사 |
그러나, 그러니까, 하지만, 한데, 더욱이, 게다가
|
단어접속부사 |
곧, 즉, 또, 또한, 또는 혹
|
(ᄃ) 그밖에
‘-이’가 붙어 만들어진 부사
|
‘-히’가 붙어 만들어진 부사
|
나날이 번듯이 굳이 곰곰이 고이 다달이 반듯이 같이 일찍이 가까이 일일이 버젓이 길이 오뚝이 기꺼이 짬짬이 깨끗이 깊이 더욱이 가벼이 틈틈이 지긋이 많이 생긋이 너그러이
|
꼼꼼히 족히 과감히 급히 조용히 딱히 정확히 고요히 쓸쓸히 솔직히
|
3 . 관계언은 무엇인가?
관계언에는 조사가 있다.
외국인들은 조사 사용을 어려워 한다.
개념 : 국어는 조사가 발달하였는데, 체언 뒤에 붙어서 다양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의 미를 추가하는 의존 형태소를 조사라고 한다.
실현 : 조사는 대개 체언 뒤에 붙지만, 때로는 동사, 형용사와 부사 뒤에 붙기도 하고 문장 뒤에 붙기도 한다.
1) 격조사
개념 : 앞에 오는 체언이 문장 안에서 일정한 자격을 가지도록 하여 주는 조사
(ᄀ) 주격조사 - ‘이/가’(음운론적 이형태), ‘께서’(선행 체언이 높임 대상 일 때), ‘에서’(선행 체언이 단체일 때)
(ᄂ) 목적격 조사 - ‘을/를’= 밭침이 있는가 없는가?
(ᄃ) 관형격조사 - ‘의’
※ 관형격 조사 ‘의’ 의 쓰임 ᄀ) 소유 피소유의 관계로 예) 시민의 권리 ᄂ) 주어 술어의 관계로 예) 나의 합격 ᄃ) 목적어 술어의 관계로 예) 평화의 파괴 ᄅ) 대등 관계로(‘-라는’의 뜻으로) 예) 납세의 의무 |
(ᄅ) 부사격조사 - ‘에,에서,에게,(으)로’ 문장안에서 부사의 역할을 하는 것.
*부사격 조사의 분류
부사격 조사 설정에 있어 문제가 되는 것은 동일형태의 조사가 여러 기능을 하거나,
여러 형태 조사가 단일기능을 하는 예가 많은 것이다.
현행학교문법에서는 부사격 조사를 형태가 아닌 문장 안에서의 문맥상 의미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있다.
※ 부사격 조사의 의미상 갈래
ᄀ) 처소 부사격 조사 |
ᄂ) 도구 부사격 조사
|
(으)로(써)
|
장소(소재지); 에, 에서 |
ᄃ) 자격 부사격 조사
|
(으)로(서)
|
시간(때); 에 |
ᄅ) 원인 부사격 조사
|
에,(으)로
|
상대(행위의 귀착점);에(게),한테,께,더러
|
ᄆ) 비교 부사격 조사
|
과/와, 처럼, 만큼, 보다, 하고
|
출발점; 에서, 에게서, 한테서, 로부터
|
ᄇ) 함께 함(동반, 공동) 부사격 조사
|
과/와, 하고
|
지향점(방향); (으)로, 에게로, 한테로, 에
|
ᄉ) 바뀜(변성) 부사격 조사
|
로
|
|
ᄋ) 인용 부사격 조사
|
라고, 고
|
(ᄆ) 보격조사 - ‘이/가’
(ᄇ) 호격조사 - ‘야,아,이여’ 누구누구야
(ᄉ) 서술격 조사 - ‘이다’ (마치 동사나 형용사처럼 활용한다.)
‘이다’가 조사와 같은 점 : 격조사는 앞에 오는 체언이 문장 안에서 일정한 자격을 갖도록 하는데, ‘이다’도 다른 격조사와 마찬가지로 앞의 체언이 서술어로서의 자격을 갖도록 한다.
‘이다’가 다른 조사와 구별되는 점 : 격조사는 체언에 붙어 문장 안에서의 관계를 나타내는 조사로 알려져 있는데 서술격 조사는 그렇지 않다. 또한 다른 격조사들은 그 형태가 고정되 어 있으나, 서술격 조사는 ‘이다. 이면, 이니’처럼 활용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2) 접속 조사
개념 : 두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구실을 하는 조사
종류 : ‘와/과’(문어에서 잘 쓰임), ‘랑, 하고’(구어에서 잘 쓰임)
봄이 되면 개나리 (와, 랑, 하고) 진달래가 가장 먼저 핀다.
배는 사과와 다르다. → 이 문장에서‘와’는 비교 부사격 조사의 기능을 하고 있다. 첫째, 이는 ‘사과+와’의 형태가 용언 ‘다르다’와 결합하여 비교 대상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둘째, 이 문장에서 ‘와’는 ‘배는 다르다.’라는 문장과 ‘사과는 다르다.’라는 문장으로 분리될 수 없다 는 점에서 접속 조사 ‘와’와 다른 기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보조사
개념 : 앞 말에 특별한 뜻을 더하여 주는 조사
종류 : 보조사는 크게 문장 성분 뒤에 오는 성분 보조사와 문장 끝에 붙는 종결 보조사, 그 리고 문장 성분에도 붙고 문장 끝에도 붙는 통용 보조사가 있다.
(ᄀ) 성분 보조사 : ‘만, 는, 도’와 같이 문장 성분에 붙는 것을 말한다. 이들은 주어에도 붙고 부사어에도 붙고 용언에도 붙어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우리만 극장에 가서 미안하다
|
한정 |
빨리만가라
|
한정 |
이곳에서는 수영을 하면 안 됩니다.
|
대조 |
그 집이 마음에 들지도 않아요
|
역시 |
(ᄂ) 종결 보조사 : ‘마는, 그려, 그래’ 같은 보조사로, 이들은 문장 맨 끝에 와서는 ‘감탄’의 의 미를 덧붙인다.
그가 갔다마는. 그가 갔네그려. 그가 갔구먼그래.
|
• 보조사 ‘은/는’
(ᄀ) 보조사 ‘은/는’의 의미
- 문두(文)의 주어 자리에 쓰여 주어가 문장에서 설명 내지 언급되는 대상이 되는 부분, 곧 문장의 화제를 표시한다.
귤은 노랗다 사과는 빨갛다. 포도는 보랗다.
- 대조의 의미를 나타낸다.
귤은 까서 먹고 배는 깎아서 먹는다. - 대조
(ᄂ) 보조사 ‘은/는’의 품사 : ‘은/는’은 주어 표지나 목적어 표지의 구실을 한다고는 할 수 없 고, 다만 주어 표지나 목적어 표지를 대치한다. 이유는 첫째, 동일 형태 ‘은/는’이 주어 표지 와 목적어 표지의 구실을 겸할 수 없으며, ‘여기에서는 그런 일이 없다’에서처럼 부사어 따 위에도 첨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은/는’은 격조사가 아닌 보조사이다.
* ‘역시’의 의미를 가지는 보조사의 의미 차이 알아보기
마저 | 이미 어떤 것이 포함되고 그 위에 더함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하나 남은 마지 막 임을 뜻한다. |
너마저 나를 떠나는 구나. 노인과 아이들마저 전쟁에 동원되고 있다. |
까지 | 이미 어떤 것이 포함되고 그 위에 더함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그것이 극단적 인 경우임을 나타냄 |
너까지 나를 못 믿겠니? 이 작은 실골에서 장관까지 나오다니. |
조차 | 이미 어떤 것이 포함되고 그 위에 더함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일반적으로 예 상하기 어려운 극단의 경우까지 양보하여 포함한을 나타냄 |
너조차 가지 않겠다는 것이냐? 그렇게 공부만 하던 철수조차 시험에 떨어졌다. |
도 | 이미 어떤 것이 포함되고 그 위에 더함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극단적인 경우 가지 양보하여, 다른 경우에는 더 말할 것도 없이 그러하다는 뜻을 나타냄. |
시간이 없어 세수도 못 하고 왔다. 나도 이제는 늙었나 보다. |
격조사와 보조사
격조사- 문법적 관계를 표시, 원칙적으로 체언과 결합, 생략될 수 있음.
보조사- 일정한 의미 부여, 여러 품사와 결합, 생략될 수 없음.
'한국어 공부 > 한국어 문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문장의 종결과 높임법(평서문, 의무문, 명령문, 청유문, 감탄문)(상대높임법,주체높임법,객체높임법)' (1) | 2022.09.25 |
---|---|
한국어 용언(동사, 형용사, 감탄사) (1) | 2022.09.22 |
한국어 형태론 (품사의 분류, 체언, 명사, 대명사, 인칭대명사, 수사) (1) | 2022.09.20 |
한국어 문법(형태소, 단어형성) (1) | 2022.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