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공부/한국어 맞춤법

한국어 맞춤법5 (가운뎃점, 쌍점, 빗금, 큰따옴표, 작은따옴표, 소괄호, 중괄호, 대괄호, 겹화살괄호, 홀화살괄호)

by 한국어 바라기 2022. 12. 19.

1. 가운뎃점(ᆞ)

(1) 열거할 어구들을 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나타낼 때 쓴다.

 

예) 민수ᆞ영희, 선미ᆞ준호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를 하였다.
예) 지금의 경상남도ᆞ경상북도, 전라남도ᆞ전라북도, 충청남도ᆞ충청북도 지역을 예부터 삼남이라 일러 왔다.

 

(2) 짝을 이루는 어구들 사이에 쓴다.

다만, 이때는 가운뎃점을 쓰지 않거나 쉼표를 쓸 수도 있다.

(3)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을 때 쓴다.

이때는 가운뎃점 대신 쉼표를 쓸 수 있다.

 

2. 쌍점( : )

(1) 표제 다음에 해당 항목을 들거나 설명을 붙일 때 쓴다.

(2) 희곡 등에서 대화 내용을 제시할 때 말하는 이와 말한 내용 사이에 쓴다.

(3) 시와 분, 장과 절 등을 구별할 때 쓴다.

(4) 의존명사 ‘대’가 쓰일 자리에 쓴다.

쌍점의 앞은 붙여 쓰고 뒤는 띄어 쓴다. 다만, (3)과 (4)에서는 쌍점의 앞뒤를 붙여 쓴 다.

 

 


3. 빗금( / )

(1) 대비되는 두 개 이상의 어구를 묶어 나타낼 때 그 사이에 쓴다.

(2) 기준 단위당 수량을 표시할 때 해당 수량과 기준 단위 사이에 쓴다.

(3) 시의 행이 바뀌는 부분임을 나타낼 때 쓴다.

다만, 연이 바뀜을 나타낼 때는 두 번 겹쳐 쓴다.

산에는 꽃 피네 / 꽃이 피네 / 갈 봄 여름 없이 / 꽃이 피네 // 산에 / 산에 / 피는 꽃은 /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빗금의 앞뒤는 (1)과 (2)에서는 붙여 쓰며, (3)에서는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쓰는 것을 허용한다. 단, (1)에서 대비되는 어구가 두 어절 이상인 경우에는 빗금의 앞 뒤를 띄어 쓸 수 있다.

 


4. 큰따옴표(“ ”)

(1) 글 가운데에서 직접 대화를 표시할 때 쓴다.

 

(2) 말이나 글을 직접 인용할 때 쓴다.

예) 나는 “어, 광훈이 아니냐?” 하는 소리에 깜짝 놀랐다.
예)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들을 보면서 “나는 아무 걱정도 없이 가을 속의 별들을 다 헬 듯합니다.”라는 시구를 떠올렸다.
예) 편지의 끝머리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다.
“할머니, 편지에 사진을 동봉했다고 하셨지만 봉투 안에는 아무것도 없었어요.”

 

 


5. 작은따옴표(‘ ’)

(1) 인용한 말 안에 있는 인용한 말을 나타낼 때 쓴다.


예) 그는 “여러분!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 들어 보셨죠?”라고 말하며 강연을 시작했다.

 

(2) 마음속으로 한 말을 적을 때 쓴다.

예) 나는 ‘일이 다 틀렸나 보군.’ 하고 생각하였다.
예) ‘이번에는 꼭 이기고야 말겠어.’ 호연이는 마음속으로 몇 번이나 그렇게 다짐하며 주먹을 불끈 쥐었다. 

 


6. 소괄호(( ))

(1) 주석이나 보충적인 내용을 덧붙일 때 쓴다.

예) 니체(독일의 철학자)의 말을 빌리면 다음과 같다.
예) 2014. 12. 19.(금)
예) 문인화의 대표적인 소재인 사군자(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는 고결한 선비 정신을 상징한다.

(2) 우리말 표기와 원어 표기를 아울러 보일 때 쓴다.

 

(3) 생략할 수 있는 요소임을 나타낼 때 쓴다.

예) 학교에서 동료 교사를 부를 때는 이름 뒤에 ‘선생(님)’이라는 말을 덧붙인다.

예) 광개토(대)왕은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임금이다.

 

(4) 희곡 등 대화를 적은 글에서 동작이나 분위기, 상태를 드러낼 때 쓴다.


예) 현우: (가쁜 숨을 내쉬며) 왜 이렇게 빨리 뛰어?
예) “관찰한 것을 쓰는 것이 습관이 되었죠. 그러다 보니, 상상력이 생겼나 봐요.” (웃음)


(5) 내용이 들어갈 자리임을 나타낼 때 쓴다. 

 

예) 우리나라의 수도는 ( )이다.
예) 다음 빈칸에 알맞은 조사를 쓰시오. 민수가 할아버지( ) 꽃을 드렸다.


(6) 항목의 순서나 종류를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 등에 쓴다.


예) 사람의 인격은 (1) 용모, (2) 언어, (3) 행동, (4) 덕성 등으로 표현된다.

예) (가) 동해, (나) 서해, (다) 남해

 


7. 중괄호({ })

(1) 같은 범주에 속하는 여러 요소를 세로로 묶어서 보일 때 쓴다.

(2)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음을 보일 때 쓴다.

예) 아이들이 모두 학교{에, 로, 까지} 갔어요.

->  같은 범주에 속하는 여러 요소를 묶어 보일 때 사용하는 용법에는 익숙하나, 두 번 용법 에는 익숙하지 않은 경우가 있으므로 이에 유의해야 한다.

 


8. 대괄호([ ])

(1) 괄호 안에 또 괄호를 쓸 필요가 있을 때 바깥쪽의 괄호로 쓴다.


예) 어린이날이 새로 제정되었을 당시에는 어린이들에게 경어를 쓰라고 하였다.[윤석중 전집(1988), 70쪽 참조]
예) 이번 회의에는 두 명[이혜정(실장), 박철용(과장)]만 빼고 모두 참석했습니다.

 

(2) 고유어에 대응하는 한자어를 함께 보일 때 쓴다.


예) 나이[年歲] 


(3) 원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이나 논평 등을 덧붙일 때 쓴다.


예) 그것[한글]은 이처럼 정보화 시대에 알맞은 과학적인 문자이다.
예) 신경준의 ≪여암전서≫에 “삼각산은 산이 모두 돌 봉우리인데, 그 으뜸 봉우리를 구름위에 솟아 있다고 백운(白雲)이라 하며 [이하 생략]”

예) 그런 일은 결코 있을 수 없다.[원문에는 ‘업다’임.]

 


9.  겹화살괄호(≪ ≫)

책의 제목이나 신문 이름 등을 나타낼 때 쓴다.

예) ≪한성순보≫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신문이다.
예) 윤동주의 유고 시집인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는 31편의 시가 실려 있다.


 겹낫표나 겹화살괄호 대신 큰따옴표를 쓸 수 있다.


예)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신문은 1896년에 창간된 “독립신문”이다.
예) 윤동주의 유고 시집인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는 31편의 시가 실려 있다.

 



10. 홑화살괄호(< >)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예) <한강>은 사진집 ≪아름다운 땅≫에 실린 작품이다. 

예) 백남준은 2005년에 <엄마>라는 작품을 선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