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공부/한국어 맞춤법

한국어 맞춤법2 (사이시옷, 준말)

by 한국어 바라기 2022. 12. 15.
 

1. 사이시옷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2) 뒷말의 첫소리 ‘ᄂ, ᄆ’ 앞에서 ‘ᄂ’ 소리가 덧나는 것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ᄂᄂ’ 소리가 덧나는 것

 

 


2)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2) 뒷말의 첫소리 ‘ᄂ, ᄆ’ 앞에서 ‘ᄂ’ 소리가 덧나는 것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ᄂᄂ’ 소리가 덧나는 것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3)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제31항 두 말이 어울릴 적에 ‘ᄇ’ 소리나 ‘ᄒ’ 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대로 적는다.

 

(1) ‘ᄇ’ 소리가 덧나는 것

 

(2) ‘ᄒ’ 소리가 덧나는 것

 

 


2. 준말

 

제32항 단어의 끝모음이 줄어지고 자음만 남은 것은 그 앞의 음절에 받침으로 적는다.

 

제33항 체언과 조사가 어울려 줄어지는 경우에는 준 대로 적는다.

 

본말 준말
그것은 그건
그것이 그게
그것으로 그걸로
나는 
나를 
너는 
너를 

 

제34항 모음 ‘ᅡ,ᅥ’로 끝난 어간에 ‘-아/-어, -았-/-었-’이 어울릴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붙임 1] ‘ᅢ, ᅦ’ 뒤에 ‘-어, -었-’이 어울려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붙임 2] ‘하여’가 한 음절로 줄어서 ‘해’로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제35항 모음 ‘ᅩ, ᅮ’로 끝난 어간에 ‘-아/-어, -았-/-었-’이 어울려 ‘ᅪ/ᅯ, ᅟᅪᆻ/ᅟᅯᆻ’으로 될 적에 는 준 대로 적는다.

[붙임 1] ‘놓아’가 ‘놔’로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붙임 2] ‘ᅬ’ 뒤에 ‘-어, -었-’이 어울려 ‘ᅫ, ᅟᅫᆻ’으로 될 적에도 준 대로 적는다.

 

 

 

제36항 ‘ᅵ’ 뒤에 ‘-어’가 와서 ‘ᅧ’로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제37항 ‘ᅡ, ᅧ, ᅩ, ᅮ, ᅳ’로 끝난 어간에 ‘-이-’가 와서 각각 ‘ᅢ, ᅨ, ᅬ, ᅱ, ᅴ’로 줄 적에 는 준 대로 적는다.

 

 

 

제38항 ‘ᅡ, ᅩ, ᅮ, ᅳ’ 뒤에 ‘-이어’가 어울려 줄어질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제39항 어미 ‘-지’ 뒤에 ‘않-’이 어울려 ‘-잖-’이 될 적과 ‘-하지’ 뒤에 ‘않-’이 어울려 ‘-찮-’이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제40항 어간의 끝음절 ‘하’의 ‘ᅡ’가 줄고 ‘ᄒ’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로 될 적에는 거센소리로 적는다.

 

[붙임 1] ‘ᄒ’이 어간의 끝소리로 굳어진 것은 받침으로 적는다.

 

 

[붙임 2] 어간의 끝음절 ‘하’가 아주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붙임 3] 다음과 같은 부사는 소리대로 적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