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맞춤법
제1장 총칙
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제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제2장 자모
제4항 한글 자모의 수는 스물넉자로 하고,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1) 위의 자모로써 적을 수 없는 소리는 두 개 이상의 자모를 어울러서 적되, 그 순서 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ᄁ(쌍기역) ᄄ(쌍디귿) . ᄈ(쌍비읍) ᄊ(쌍시옷)
ᄍ(쌍지읒)
ᅢ(애) ᅤ(얘) ᅦ(에) ᅨ(예) ᅪ(와) ᅫ(왜)
ᅬ(외) ᅯ(워) ᅰ(웨) ᅱ(위)
ᅴ(의)
2) 사전에 올릴 적의 자모 순서는 다음과 같이 정한다.
자음: ᄀ
모음: ᅡ
ᄁ ᄂ ᄃ ᄄ ᄅ ᄆ ᄇ ᄈᄉᄊᄋᄌᄍᄎᄏ ᄐᄑᄒ
ᅢ ᅣ ᅤ ᅥ ᅦ ᅧ ᅨ ᅩᅪᅫᅬᅭᅮᅯᅰᅱᅲᅳᅴᅵ
소리에 관한 것
제1절 된소리
제5항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1. 두 모음 사이에서 나는 된소리
소쩍새어 깨 오빠 으뜸 아끼다
기쁘다 깨끗하다 어떠하다 해쓱하다 가끔
거꾸로 부썩 어찌 이따금
2. ‘ᄂ, ᄅ, ᄆ, ᄋ’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
산뜻하다 잔뜩 살짝 훨씬 담뿍 움찔 몽땅 엉뚱하다
다만, ‘ᄀ, ᄇ’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경우가 아니면 된소리로 적지 아니한다.
국수 깍두기 딱지
색시 싹둑(~싹둑)
법석 갑자기 몹시
제2절 구개음화
‘ᄃ, ᄐ’ 받침 뒤에 종속적 관계를 가진 ‘-이(-)’나 ‘-히-’가 올 적에는 그 ‘ᄃ, ᄐ’이 ‘ᄌ, ᄎ’으로 소리 나더라도 ‘ᄃ, ᄐ’으로 적는다.(ᄀ을 취하고, ᄂ을 버림.)
맏이 | 마지 |
해돋이 | 해도지 |
굳이 | 구지 |
같이 | 가치 |
끝이 | 끄치 |
제3절 ‘ᄃ’ 소리 받침
제7항 ‘ᄃ’ 소리로 나는 받침 중에서 ‘ᄃ’으로 적을 근거가 없는 것은 ‘ᄉ’으로 적는다.
덧저고리 돗자리 엇셈 웃어른 핫옷
무릇 사뭇 얼핏 자칫하면
옛. 첫. 헛
제4절 모음
제8항 ‘계, 례, 몌, 폐, 혜’의 ‘ᅨ’는 ‘ᅦ’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ᅨ’로 적는다.(ᄀ을 취 하고, ᄂ을 버림.)
계수 | 게수 |
사례 | 사레 |
연몌 | 연메 |
폐품 | 페품 |
혜택 | 헤택 |
계집 | 게집 |
핑계 | 핑게 |
계시다 | 게시다. |
단 다음말은 본음대로 적는다.
게송. 게시판. 휴게실
제9항 ‘의’나,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ᅴ’는 ‘ᅵ’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ᅴ’로 적는다.(ᄀ을 취하고, ᄂ을 버림.)
의의 | 의이 |
본의 | 본이 |
무늬 | 무니 |
보늬 | 보니 |
오늬 | 오니 |
하늬바람 | 하니바람 |
늴리리 | 닐리리 |
제5절 두음 법칙
제10항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여, 요, 유, 이’로 적는다.(ᄀ을 취하고, ᄂ을 버림.)
여자 | 녀자 |
유대 | 뉴대 |
연세 | 년세 |
이토 | 니토 |
요소 | 뇨소 |
익명 | 닉명 |
단 다음과 같은 의존 명사에서는 냐녀 음을 인정함
냥 냥쭝 년 (몇년)
[붙임 2]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ᄂ’ 소 리로 나더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신여성 공염불 남존여비
[붙임 3]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 명사를 붙여 쓰는 경우에도 붙임 2에 준하여 적는다.
한국여자대학 대한요소비료회사
제11항 한자음 ‘랴, 려, 례,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야,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ᄀ을 취하고, ᄂ을 버림.)
단 다음과같은 의존병사는 본음대로 적는다.
리: 몇 리냐?
리: 그럴 리가 없다.
[붙임 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다만, 모음이나 ‘ᄂ’ 받침 뒤에 이어지는 ‘렬,률’은 ‘열, 율’로 적는다.(ᄀ을 취하고, ᄂ을 버림)
[붙임 2] 외자로 된 이름을 성에 붙여 쓸 경우에도 본음대로 적을 수 있다.
신립 최린 채륜 하륜
[붙임 3] 준말에서 본음으로 소리 나는 것은 본음대로 적는다.
국련(국제 연합) 한시련(한국 시각 장애인 연합회)
[붙임 4]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ᄂ’ 또 는 ‘ᄅ’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역이용 연이율 열역학 해외여행
[붙임 5]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 명사를 붙여 쓰는 경우나 십진법에 따라 쓰는 수 (數)도 붙임 4에 준하여 적는다.
서울여관 신흥이발관 육천육백육십육
제12항 한자음 ‘라, 래, 로, 뢰, 루, 르’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나, 내, 노, 뇌, 누, 느’로 적는다.(ᄀ을 취하고, ᄂ을 버림.)
[붙임 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붙임 2]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단어는 뒷말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내내월 상노인 중노동 비논리적
제6절 겹쳐 나는 소리
제13항 한 단어 안에서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부분은 같은 글자로 적는 다.(ᄀ을 취하고, ᄂ을 버림.)
형태에 관한것
- 체언과 조사
체언은 조사와 구별하여 적는다.
제2절 어간과 어미
제15항 용언의 어간과 어미는 구별하여 적는다.
[붙임 1] 두 개의 용언이 어울려 한 개의 용언이 될 적에, 앞말의 본뜻이 유지되고 있는 것 은 그 원형을 밝히어 적고, 그 본뜻에서 멀어진 것은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1) 앞말의 본뜻이 유지되고 있는 것
(2) 본뜻에서 멀어진 것
드러나다 사라지다 쓰러직다
[붙임 2] 종결형에서 사용되는 어미 ‘-오’는 ‘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그 원형을 밝 혀 ‘오’로 적는다.(ᄀ을 취하고, ᄂ을 버림.)
[붙임 3] 연결형에서 사용되는 ‘이요’는 ‘이요’로 적는다.(ᄀ을 취하고, ᄂ을 버림.)
제16항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ᅡ, ᅩ’일 때에는 어미를 ‘-아’로 적고, 그 밖의 모음일 때에는 ‘-어’로 적는다.
제17항 어미 뒤에 덧붙는 조사 ‘요’는 ‘요’로 적는다.
읽어 읽어요
참으리 참으리요
좋지 좋지요
제18항 다음과 같은 용언들은 어미가 바뀔 경우, 그 어간이나 어미가 원칙에 벗어나면 벗어 나는 대로 적는다.
1. 어간의 끝 ‘ᄅ’이 줄어질 적
[붙임] 다음과 같은 말에서도 ‘ᄅ’이 준 대로 적는다.
2. 어간의 끝 ‘ᄉ’이 줄어질 적
3. 어간의 끝 ‘ᄒ’이 줄어질 적
4. 어간의 끝 ‘ᅮ, ᅳ’가 줄어질 적
5. 어간의 끝 ‘ᄃ’이 ‘ᄅ’로 바뀔 적
6. 어간의 끝 ‘ᄇ’이 ‘ᅮ’로 바뀔 적
다만, ‘돕-, 곱-’과 같은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가 결합되어 ‘와’로 소리 나는 것은 ‘-와’로 적는다.
7. ‘하다’의 활용에서 어미 ‘-아’가 ‘-여’로 바뀔 적
하다: 하여 하여서 하여도 하여라 하였다
8. 어간의 끝음절 ‘르’ 뒤에 오는 어미 ‘-어’가 ‘-러’로 바뀔 적
9. 어간의 끝음절 ‘르’의 ‘ᅳ’가 줄고, 그 뒤에 오는 어미 ‘-아/-어’가 ‘-라/-러’로 바뀔 적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19항 어간에 ‘-이’나 ‘-음/-ᄆ’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과 ‘-이’나 ‘-히’가 붙어서 부사로 된 것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1. ‘-이’가 붙어서 명사로 된 것
2. ‘-음/-ᄆ’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
3. ‘-이’가 붙어서 부사로 된 것
4. ‘-히’가 붙어서 부사로 된 것
밝히 익히 작히
다만, 어간에 ‘-이’나 ‘-음’이 붙어서 명사로 바뀐 것이라도 그 어간의 뜻과 멀어진 것은 원형 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붙임] 어간에 ‘-이’나 ‘-음’ 이외의 모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다른 품사로 바뀐 것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1) 명사로 바뀐 것
(2) 부사로 바뀐 것
(3) 조사로 바뀌어 뜻이 달라진 것
나마 부터 조차
제20항 명사 뒤에 ‘-이’가 붙어서 된 말은 그 명사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1. 부사로 된 것
곳곳이 낱낱이 몫몫이 샅샅이 앞앞이 집집이
2. 명사로 된 것
곰배팔이 바둑이 삼발이 애꾸눈이 육손이 절뚝발이/절름발이
[붙임] ‘-이’ 이외의 모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은 그 명사의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제21항 명사나 혹은 용언의 어간 뒤에 자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은 그 명사 나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1. 명사 뒤에 자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된 것 값지다 홑지다 넋두리 빛깔 옆댕이 잎사귀
2. 어간 뒤에 자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된 것
다만, 다음과 같은 말은 소리대로 적는다.
(1) 겹받침의 끝소리가 드러나지 아니하는 것
(2) 어원이 분명하지 아니하거나 본뜻에서 멀어진 것
넙치 올무 골막하다 납작하다
제22항 용언의 어간에 다음과 같은 접미사들이 붙어서 이루어진 말들은 그 어간을 밝히어 적는다.
1. ‘-기-, -리-, -이-, -히-, -구-, -우-, -추-, -으키-, -이키-, -애-’가 붙는 것
다만, ‘-이-, -히-, -우-’가 붙어서 된 말이라도 본뜻에서 멀어진 것은 소리대로 적는다. 도리다(칼로 ~ ) 드리다(용돈을 ~ ) 고치다
바치다(세금을 ~ ) 부치다(편지를 ~ ) 거두다
미루다 이루다
2. ‘-치-, -뜨리-, -트리-’가 붙는 것
[붙임] ‘-업-, -읍-, -브-’가 붙어서 된 말은 미쁘다 소리대로 적는다.
미덥다 우습다
제23항 ‘-하다’나 ‘-거리다’가 붙는 어근에 ‘-이’가 붙어서 명사가 된 것은 그 원형을 밝히어적는다.(ᄀ을 취하고, ᄂ을 버림.)
제24항 ‘-거리다’가 붙을 수 있는 시늉말 어근에 ‘-이다’가 붙어서 된 용언은 그 어근을 밝히 어 적는다.(ᄀ을 취하고, ᄂ을 버림.)
제25항 ‘-하다’가 붙는 어근에 ‘-히’나 ‘-이’가 붙어서 부사가 되거나, 부사에 ‘-이’가 붙어서 뜻을 더하는 경우에는 그 어근이나 부사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1. ‘-하다’가 붙는 어근에 ‘-히’나 ‘-이’가 붙는 경우
급히 꾸준히 도저히 딱히 어렴풋이 깨끗이
2. 부사에 ‘-이’가 붙어서 역시 부사가 되는 경우
곰곰이 더욱이 생긋이 오뚝이 일찍이 해죽이
제26항 ‘-하다’나 ‘-없다’가 붙어서 된 용언은 그 ‘-하다’나 ‘-없다’를 밝히어 적는다.
1. ‘-하다’가 붙어서 용언이 된 것
딱하다 숱하다 착하다 텁텁하다
2. ‘-없다’가 붙어서 용언이 된 것
부질없다 상없다 시름없다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27항 둘 이상의 단어가 어울리거나 접두사가 붙어서 이루어진 말은 각각 그 원형을 밝히 어 적는다.
제28항 끝소리가 ‘ᄅ’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ᄅ’ 소리가 나지 아니하는 것은 아니 나 는 대로 적는다.
제29항 끝소리가 ‘ᄅ’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ᄅ’ 소리가 ‘ᄃ’ 소리로 나는 것은 ‘ᄃ’으 로 적는다.
'한국어 공부 > 한국어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맞춤법5 (가운뎃점, 쌍점, 빗금, 큰따옴표, 작은따옴표, 소괄호, 중괄호, 대괄호, 겹화살괄호, 홀화살괄호) (0) | 2022.12.19 |
---|---|
한국어 맞춤법4 (문장부호,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0) | 2022.12.17 |
한국어 맞춤법3(띄어쓰기) (1) | 2022.12.17 |
한국어 맞춤법2 (사이시옷, 준말) (12) | 2022.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