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어 교육의 역사
1) 한국어 교육사에 대한 논의
ㄱ) 백봉자 : 2001: 4 단계로 시대를 구분한다. (한국의 경제 성장, 기관 설립, 교재 개발중심)
ㄴ) 민현식 : 3단계 시대로구분(전통적인 역관 교육, 외국인들의 저술 활동 포함)
2) 한국어 교육의 발전
전통 교육기 (고대-1860년대) (나라사이의 교류가 있을때부터) |
① 역학(學) 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짐 ② 중국 명나라의 '회동관(會同館)(1492)' 역관 양성 후 조선어 학습서로서 조선관(朝鮮館)역어(譯語)를 펴냄 |
근대 교육기 (외국인들이 한국에 들어오는 기점으로 발전) (1870년~1940년) |
① 서구인과 일본인 중심의 한국어 연구와 교육이 이루어짐 ② 영국의 선교사 로스가 1970년대 한글 번역 성경 펴냄, 후배 선 교사들을 위해 한국어 교재 >(1877) 펴냄 "조선어 첫걸음" 이 교재에서 최초로 띄어쓰기가 나타난다. ③ 일본 관립 동경외국어학교에 조선어학과 설립(1880) ④ 미국 컬럼비아대(1934) 한국어 강의</corean primer> 미국 하와이대 한국어 강좌 시작(1945) |
한국어 교육의 시작 (1950년 - 1970년) |
① 1950년 : 외국인 선교단체 명도원에서 선교사 대상 한국어 교육 ② 1960년 :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개설 ③ 1970년 : 기존의 소수 기관에서 한국어 교육 |
한국어 교육의 발전 (1980년~1990년) |
① 1980년 경제 발전과 올림픽> 한국어, 한국 문화가 주목 받기 시작 한국어 교육 기관 확장 예) 고려대(1986), 이화여대(1988) ② 1990년 •양적 성장, 대학 기관의 한국어 교육 기관의 급증 •정부 주도의 대규모 한국어 세계화 사업 시작 예) 재외동포재단, 한국국제교류재단 등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개설, 한국어 관련 학회와 학과 개설 한국어능력시험 실시 (1997년) |
한국어 교육의 성장 한류의 영향이 큼 (2000년 이후) |
① 한국어 교육 환경 및 교육 목적이 다양해짐 ② 학습자 요구에 따른 다양한 교육 과정 개발 ③ 정부 주도의 한국어 보급 사업 증가 예) 사회통합프로그램,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④ 교재 종류 다양화, 기존 교재들의 전면적인 수정과 개발 ⑤ 한국어 교육 관련 제도적 정비 : 2005년 국어기본법 등 |
3) 한국어 교육사 시대 구분의 주요 기준
①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의 설립과 확대되는 과정
=>대학 부설 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과정 체계화, 교수법 및 교재 개발
1959년 연세대 한국어학당 설립 |
1969년 서울대 어학연구소 한국어 교육과정 개설 |
1986년 고려대, 1988년 이화여대, 1989년 선문대 . |
1990년 서강대, 1991년 한국외대, 1993년 경희대 등 한국어교육과정 개설 . |
② 관련 학회 및 재단의 설립과 연구 확대
=> 학회, 재단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자 네트워크 형성, 대규모 연구 프로젝트의 토대 구축
1981년 이중언어학회 창립 |
1985년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창립 |
③ 국가적 차원의 한국어 교육 정책 증가, 한국어 교원의 확대 및 내실화
=> 국가적 차원의 한국어 교육 연구 과제 및 정책 확대, 관련 법령 제정 및 시행
1997년 한국어능력시험 실시 - topic |
2001년 한국어세계화재단 설립 |
2002년 한국어 교육능력 인증시험 실시 |
2005년 국어기본법 제정 및 시행 = 국가가 커리큘럼 통일 (2007년 국어기본법 시행령) |
2005년 고용허가제 한국어 시험 실시 |
2007년 한국어 교육 브랜드 '세종학당’개원 |
2009년 법무부 사회 통합 프로그램 이수제 도입 = 이민자의 적응을 위해서 도입 |
2010년 국제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모형 개발 연구 = 여러가지 평가 교육과정 법령등이 변화됨 |
2. 한국어 교육과 국어기본법
1) 국어기본법의 이해
① 국어의 사용을 촉진하고 국어의 발전과 보전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2005년 제정
② 국어기본법 이전: '한글 전용에 관한 법률', '문화예술진흥법' 등에 국어 관련 법 률 조항 존재 - 실효성이 크지 않음
③ 국어기본법: 1장 5장은 각각 총칙과 보칙, 주요 내용은 2장~4장에 담김
- 2장 국어 발전 기본계획 수립
• 5년마다 '국어 발전 기본계획'과 그 세부계획을 수립·시행
• 2년마다 그 시책과 결과에 관한 보고서를 국회에 제출
• 국어 정책 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거나 실태를 조사
•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는 국어의 발전과 보전 업무를 총괄하는 국어책임관을 지정
- 3장: 국어 사용의 촉진 및 보급
• 공공 기관의 공문서 및 교과용 도서가 어문 규범에 맞추어 작성되도록 함
• 한국어의 발전과 보전에 관한 중요 사항을 심의함
• 바람직한 국어 문화 확산과 국어 정보화의 촉진을 위한 사업을 수행함
• 각 분야의 전문 용어를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함
• 외국인과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국어를 보급하는 데 필요한 각종 사업을 수행함
• 세종학당을 지정·운영하며, 매년 10월 9일을 한글날로 정하고 기념행사를 하며, 국어 관련 민간단체에 필요한 지원을 함
- 4장: 국어 능력의 향상
• 국민의 국어 능력 향상에 필요한 정책을 수립·수행
• 국민의 국어능력을 검정
• 지역어 보존 및 지역민의 국어 능력 향상을 돕기 위해 국어 관련 전문 기관·단체 등을 국어문화원으로 지정하여 운영
2)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① 재외동포나 외국인을 대상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교육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국가 공인 자격시험
②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한국어 교육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을 대상으로 2016년부터시행됨
③ 변화 과정
- 「국어기본법」시행 이전: 한국어교육능력인정 시험 (2002-2004 총 4회)
• 문화관광부 산하의 비영리재단인 한국어세계화재단에서 주관
• 한국어 교사 자질 향상, 교사양성체계의 공공성 확보로 한국어 국외 보급 효율성 제고
- 「국어기본법」시행 이후: 한국어교육능력검정 시험 (2006~현재)
• 1회~3회: 한국어 세계화재단에서 시행
• 2009년 4회부터 :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
• 2008년 이전: 문화관광부 장관 명의의 자격증을 취득
정리하면
1. 한국어 교육의 역사
- 한국어 교육은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고 1990년대 이후 급속히 성장했다.
- 한국어 교육은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의 설립, 학회 설립 및 확대, 국가 정책의 변화에 따라 발전했다.
- 전통적인 역학 기관을 한국어 교육의 시초로 기술하기도 한다.
2. 한국어 교육과 국어기본법
- 국어의 보전과 발전을 위한 국가 차원의 법률이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음
- 2005년 제정된 국어 기본법에 따라 한국어 교사 자격 심사 및 승급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어의 국외 보급 및 국민들의 국어 능력 향항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한국어 공부 > 한국어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역사(후기중세 한국어2, 동국정운, 어두자음군, 곡용, 방점) (1) | 2022.10.04 |
---|---|
한국어역사 (후기 중세 한국어, 훈민정음, 초성, 중성, 종성) (0) | 2022.10.03 |
한국어역사(고대 한국어, 중세한국어, 이두, 구결, 향찰) (1) | 2022.10.02 |
한국어역사(알타이어족,고대 한국어, 중세한국어, 근대한국어) (1) | 2022.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