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공부/한국어 역사

한국어역사(알타이어족,고대 한국어, 중세한국어, 근대한국어)

by 한국어 바라기 2022. 10. 1.

한국어역사 

 

한국어의 변화와 역사를 살펴 본다면.. 

 



1 .  한국어사

 


- 고대부터 현대까지 한국어의 변화 과정을 연구하는 분야를 말한다. 이른 시기부터 현대까지 변화의 과정을 연구하는 분야를 말한다. 
- 언어의 역사성 =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것.
- 한국어가 겪어 온 변화를 밝혀 그 역사를 체계적으로 서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언어가 변할 때 무엇이 변하는가? 음운, 문법, 의미가 변한다. 

 

음운= 소리의변화를 말함

문법= 조선시대 문법과 현재의 문법은 동일하지 않다. 

의미= 의미와 어휘체계가 변한다. 

 

 

연구 목적
ᆞ한국어에는 우리 민족의 정신적, 물질적 생활이 반영되기 때문이다. 
ᆞ고전 문학 작품을 올바로 읽을 수 있게 하는 길잡이가 되기 때문이다. 
ᆞ현대 한국어 이해에 도움을 준다. 현대에서 한국어가 왜 이런 형태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는지 알 수 있게 된다. 

연구 방법
ᆞ문헌 자료의 연구 = 음성언어는 살펴 볼 수 없기 때문에 문헌을 통해서만 예전 한국어를 연구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문자의 보수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ᆞ비교 연구 = 같은 어족의 속한 다른 언어들과의 비교를 통해서 예전의 언어를 알 수 있게 된다. 알타이어족과 비교.
ᆞ내적 재구 = 언어내의 비교를 말한다. 한국어 안에서 살펴보면서 언어를 비교한다. 
ᆞ방언 연구 = 한국어의 예전모습이 남아 있을 것 같은 방언을 연구하여 예전의 언어를 연구한다. 


2. 한국어의 계통

ᆞ친족 관계의 언어들을 동일 계통(언어계통에서 친척관계가 성립)이라고 하며, 어족을 형성한다.
- 19세기 : 우랄알타이어

- 20세기 : 

우랄어족  알타이어족
핀우글어군, 사모예드어  터키어군, 몽골어군, 퉁구스어군

 한국어는 어쪽 언어와 가장 유사할까?? 한국어는 어느 어족에도 포함되지 않는다고 한다. 한국어가 가장 이른시기에 분화되어 나온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알타이어족의 공통특징

 

발음비교

한국어 만주어 몽골
morin morin 
mu-ke moren 
이랑(시골에 가면 받이랑 논이랑) irun  
'이르'다 erde erte

알타이로 자음은 한국의 ㅂ음가가 = f, p, h, 로 나타난다. 

 



3. 시대구분

 

 

구분 시기 구분하는 이유
고대 한국어 ~ 통일신라시대까지 표준언어지역이 바뀜 신라가 중심이 됨.
중세
한국어
전기 고려 ~ 14세기 말 조선초 14세기 말에 모음의 위치가 변한다. 
후기  15세기 ~ 16세기말 임진왜란
근대 한국어 임진왜란 17세기 ~ 갑오경장 주격조사 '가,겟' 
현대 한국어  갑오경장 ~ 현재 한글로된 표기가 일반화된 시기

 

정리하면

 

한국어사의 개념: 한국어사는 한국어의 역사적 변화 과정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학문이다. 

 

한국어의 계통: 한국어는 알타이어족에 속하며,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은 모음조화가 있고 어두자음의 제약이 있으며, 교착성을 가지고, 어두자음군이 없으며, 관계대명사와 접속사가 없다는 등의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다.

 

시대구분: 언어는 시간의 흚에 따라 변화하는데 특정 시기 많은 변화가 일어난 것을 기준으로 시대를 구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