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의미론3

한국어 의미론(상하관계, 부분관계, 의미변화) 어휘들의 의미관계와 의미의 변화를 알아본다.   1. 상하 관계  상하관계는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의미 관계를 말한다.단어 계층 구조에서 위에 있는 단어를 상의어, 아래에 있는 단어를 하의어라고 한다.예) 동물 – 날짐승 – 참새, 까치, 제비 등등              - 들짐승 – 개, 고양이, 원숭이 등등    상의어 -> 하의어 상의어는 하의어를 포함한다.  상의어에서 하의어로 내려올수록 의미 성분의 수가 많아진다. 왜냐하면 하의어로 내려올 수록 정확하게 구분하기 위함이다. 동물 (+생물)(+동작성)사람 (+생물)(+동작성)(+인간)남자 (+생물)(+동작성)(+인간)(+남성)소년 (+생물)(+동작성)(+인간)(+남성)(-성숙) 상하관계는 문화권에 따라 달라진다.한국 = .. 2022. 9. 29.
한국어 의미론(의미의 의의, 의미의 유형) 한국어의미론  한국어에서 의미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여기서는 언어와 문장의 의미를 다루며 의미를 연구할 때 의미는 무엇인가? 1 의미의 의의  지시설ᆞ단어나 문장과 같은 한 언어 표현의 의미는 그 표현이 지시하는 지시물이다. ᆞ한 언어 표현의 의미를 그 표현이 실제 지시하는 대상과 동일시 한다.ᆞ추상적인 대상들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ᆞ하나의 대상에 둘 이상의 표현이 나타나는 경우에 의미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개념설ᆞ하나의 언어 표현에 마음이나 머리 속에 떠오르는 관념이나 개념이다.ᆞ사람의 마음이나 정신 속에서 그 표현과 관련된 관념, 개념이 의미이다. ᆞ추상적인 대상들에 대한 설명이 가능하다.ᆞ추상적인 개념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ᆞ개념과 연관되지 않는 단어들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2 의미의.. 2022. 9. 28.
한국어 의미론 (동음이의어, 다의어, 비유) 한국어 의미론  한국어에는 같은 단어에 여러가지 의미가 있는 단어들이 존재하는데,,그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1 동음이의어 관계  형식은 하나인데 의미가 여러개인 것 즉, 어휘의 형태는 같지만 의미가 다른 언어들의 관계이다. 말:말 배:배 다리 : 다리 시내 : 시내 은행 : 은행 쓰다 : 쓰다 부정 : 부정 의미는 다르지만 소리가 같다.  묻다= 두가지 의미가 있다.  1. 물어보다의 묻다. 2. 매장하다의 묻다.  - 동음이의어는 절대 동음어와 부분 동음어가 있다.    1) 절대 동음어 : ᆞ의미가 관련이 없다.ᆞ어형이 모든 형태에서 같다.ᆞ같은 형태일 때 문법적으로 대등하다.  배 : 저배가 크다. 먹는 배 타는 배 둘다 사용 가능함 2) 부분 동음어 묻다 물어보다의 묻다와 매장하다의 묻다.. 2022. 9.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