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통사론(문장, 문장성분, 서술어, 주어,목적어,관형어,부사어)
1. 문장 • 문장 : 우리의 생각이나 감정을 완결된 내용으로 표현하는 최소의 언어형식이다. 따라서 문장을 만들 때에는 반드시 ‘주어’와 ‘서술어’ 등을 갖추어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때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불이야!”, “정말?”, 결국 문장이란 의미상으로는 완결된 내용을 갖추고, 형식상으로는 문장이 끝났음을 나타내는 표지가 있는 것을 가리킨다.• 문장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문법 단위 - 어절, 구, 절(ᄀ)어절: 문장을 구성하는 기본문법 단위로 띄어쓰기 단위와 일치하며,조사나 어미와 같이 문법적인 기능을 하는 요소들은 앞의 말에 붙어 한 어절을 이룬다. 어절은 달리 문장 성 분이라고 불리기도 한다.(ᄂ) 절 : 두 개 이상의 어절이 모여 하나의 의미단위를 이룸, 주어와..
2024. 11. 3.
한국어통사론4(시간표현, 피동표현, 사동표현, 부정표현)
한국어 통사론이번에는 한국어 통사론에서 시간표현, 피동표현, 사동표현, 부정표현을 정리하고자 한다. 1. 시간 표현: 시제 표현을 나타내는 것이다. 시간을 나타내기 위한 언어 표현으로 시간을 인위적으로 구분하는 문법 범주이다. 이것은 선어말 어미, 시간 부사어, 관형사형 어미를 통해서 실현된다.시제 표현의 종류는 발화시(發時)와 사건시(事件時)가 어떤 관계에 있느냐에 따라 시제는 대개 과거 시제, 현재 시제, 미래 시제로 나뉜다.어떤일이 말보다 앞설 때 과거어떤일이 말과 같은 시기 현재어떤일이 있고 말보다 뒤에 올 땐 미래시제(1) 과거 시제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앞서 있는 시제를 말한다.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 ‘-았-/-었-’을 사용. ‘-았었-/-었었-’도 발화시보다 훨씬 전에 발생하여 현재와..
2022. 9.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