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통사론(문장, 문장성분, 서술어, 주어,목적어,관형어,부사어)
1. 문장 • 문장 : 우리의 생각이나 감정을 완결된 내용으로 표현하는 최소의 언어형식이다. 따라서 문장을 만들 때에는 반드시 ‘주어’와 ‘서술어’ 등을 갖추어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때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불이야!”, “정말?”, 결국 문장이란 의미상으로는 완결된 내용을 갖추고, 형식상으로는 문장이 끝났음을 나타내는 표지가 있는 것을 가리킨다.• 문장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문법 단위 - 어절, 구, 절(ᄀ)어절: 문장을 구성하는 기본문법 단위로 띄어쓰기 단위와 일치하며,조사나 어미와 같이 문법적인 기능을 하는 요소들은 앞의 말에 붙어 한 어절을 이룬다. 어절은 달리 문장 성 분이라고 불리기도 한다.(ᄂ) 절 : 두 개 이상의 어절이 모여 하나의 의미단위를 이룸, 주어와..
2024. 11. 3.
한국어발음2 (이중모음, 이중모음의 종류, 이중모음의 발음)
한국어 모음은 크게 단모음과 이중모음이 있다. 단모음은 10개 이중모음은 11개인데...이번에는 이중모음에 대해서 살펴본다. 1. 이중모음이란 1) 이중모음은 두 개 이상의 단모음이 합쳐진 소리이다. 2) 이중모음은 발음 할 때 입 모양이 변하면서 나타나는 소리다.3) 이중모음을 발음할 때 입 모양이 변하는 이유는 두 소리가 연속적으로 합쳐졌기 때문이다. 4) 발음기관의 모양이나 위치가 발음을 시작할 때와 끝날 때가 서로 다르다. 2. 이중모음의 종류 1) 'ㅣ-'계 이중모음(상향 이중모음): ㅑ, ㅕ, ㅛ, ㅜ, ㅖ, 겨2) 'ㅗㅜ'계 이중모음: ㅘ, ㅝ, ㅙ, ㅞ(ㅚ ㅟ)3) '-ㅣ'계 이중모음: ㅢ 3. 이중모음 'ㅢ'의 발음 1)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에게도 발음상의 다양성이..
2024. 1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