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공부/한국어 평가론

언어 평가의 개념과 목적 연구

by 한국어 바라기 2024. 11. 11.

언어 학습에서 평가는 교수와 학습을 지속적으로 연결시키는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좋은 평가는 학습자들의 언어 구사력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성취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언어 평가의 개념

  • 언어 능력 측정: 언어 평가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것은 학습자의 언어 능력이며, 이는 언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 의사소통의 정의: 의사소통은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언어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행위로, 의미를 주고받는 상호작용을 전제로 합니다.
    • 이완기(2003): 의사소통을 '두 사람 이상이 언어적, 비언어적 수단을 사용해 정보, 지식, 의미, 생각, 느낌 등을 교환하고 교섭하는 행위'로 정의합니다.
  • 의사소통의 변이성: 의사소통 과정에서 주고받는 의미는 발화 상황, 언어적 형태, 비언어적 행위 등을 통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습니다.
  • 언어 학습의 목표: 언어가 가진 사회언어학적 의미를 포함하여 의사소통의 내용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 언어 평가의 역할: 학습자가 자신의 의사, 느낌, 생각 등을 얼마나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것이 언어 평가입니다.
  • 평가 수행과 기준 수행:
    • 기준 수행: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상황에서 언어를 목적에 맞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의 구성 요소들입니다.
    • 평가 수행: 인위적으로 제한된 조건에서 수험자가 발휘하는 능력으로, '기준 수행'을 대표하는 표본으로 간주됩니다.
    • 한계와 중요성: 수험자의 실제 언어 능력을 '평가 수행'을 통해 완벽하게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평가 수행'이 '기준 수행'을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하고 분석하느냐가 중요합니다.

언어 평가의 목적

1. 언어 능력 및 적성의 진단과 피드백

  • 진단과 피드백: 언어 평가는 기본적으로 학습자의 강점과 약점을 진단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 진단 검사:
    • 학습자에게 필요한 학습 부분을 알려주며, 교사와 관리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예: 학습자가 발음과 언어 구사력은 뛰어나지만 독해에서 약한 점수를 얻었다면, 독해 학습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의의: 학습자의 언어 수행에서 취약한 부분을 판별하여 지도 목표 설정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2. 학습자 선발

  • 당락 구분: 언어 평가의 현실적인 목적 중 하나는 학습자의 선발과 탈락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 교육 프로그램 참여 결정: 학습자의 과제 수행 능력을 평가하여 어떤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시킬 것인지 결정합니다.
  • : 언어 적성 검사를 통해 학습자의 성공이나 실패를 예견하고, 학습 프로그램 참여 여부를 결정합니다.

3. 배치

  • 수준 식별과 배치: 학습자 개개인의 수행 수준을 식별하여 적절한 수준의 교육 프로그램에 배치합니다.
  • :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초급, 중급, 고급으로 학습자를 배치하는 시험이 이에 해당합니다.
  • 효율성과 효과: 배치 기능의 정확성은 언어 교육의 효율성과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4. 교육 프로그램 평가 및 개선

  • 프로그램 평가: 언어 교육 과정이 끝난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합니다.
  • 집단 성적 중시: 개인 성적보다 집단의 평균 성적이 더 중요합니다.
  • :
    • 성취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의 성공 여부를 판단합니다.
    • 형성 평가: 수업 중에 실시되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 총괄 평가: 수업 과정이 끝난 후 전반적인 개요를 측정합니다.

5. 학습자의 태도와 사회·심리적 차이의 평가

  • 비인지적 요인 평가: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태도, 인지 양상, 사회·경제적 지위 등을 평가합니다.
  • 의의: 효과적인 언어 학습을 위해 목표어와 문화에 대한 태도 등을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6. 언어 평가 연구 기준의 제공

  • 연구의 기초 자료: 언어 평가 결과는 다양한 연구를 위한 판단 기준이 됩니다.
  • 활용 분야: 새로운 교수 방법의 개선, 다양한 교재 개발, 언어 교수·학습 자료 개발 등에 활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