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약1 한국어 음운론4 (첨가, 축약,ㄴ첨가,ㅎ축약) 한국어 음운론4한국어 음운론에서 자음과 자음이 만났을 때 그리고 모음과 모음이 만났을 때 발음이 어렵기 때문에 발음을 쉽게하기 위해서 발음이 첨가되기도 하고 축약되기도 한다. 1. ㄴ 이 첨가 ㄴ 첨가는 앞 음절에 받침이 있고 뒤 음절이 ‘ᅵ, ᅣ, ᅧ, ᅭ, ᅲ’일 때 모음 앞에 ‘ᄂ’이 첨가된다. 솜이불/솜니불/ 밭침 ㅁ+ㅣ한여름/한녀름/ 밭침 ㄴ+ㅕ솔잎/솔닙-솔립/ 밭침 ㄹ+ㅣ 여기선 ㄴ첨가 유음화한일/한닐/ 밭침 ㄴ+ㅣ 맨입/맨닙/밭침 ㄴ +ㅣ담요/담뇨/밭침 ㅁ+ㅛ물약/물냑-물략/밭침 ㄹ + ㅑ ㄴ첨가 유음화현상서른여섯/서른녀섣밭침 ㄴ+ ㅕ ㄴ첨가와 평 폐쇠음이 생김 ㅅ이 ㄷ로 바뀜 * 여기서 예외의 경우도 있다. - ‘ᄂ’이 첨가된 발음이 허용하는 경우도 있다.이죽이죽 /이중니죽, .. 2024. 11.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