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성1 한국어역사 (후기 중세 한국어, 훈민정음, 초성, 중성, 종성) 한국어 역사 후기 중세 한국어를 알아보자한국어 역사에서 후기 중세 한국어가 상당히 중요하다. 그 이유중 하나는 훈민정음이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가장 많이 연구가 되기도 한다. 후기 중세 한국어 - 훈민정음의 창제정부 주도로 이때 많은 문헌의 발간되며, 한문으로 된 책을 한글로 풀었다. 이런 언어들은 중앙어, 상류층의 언어가 반영되어 있다. 조선관역어: 이 당시 한국어를 잘 나타내고 있는 문서로 중국에서 만든 한국어 책이다. 중국에서 주변에 있던 나라들의 어휘를 한자로 쓴 책이다. 590개의 어휘를 기록하고 있다. 예) 天 哈 嫩二 黍 = 하늘은 하날이다. '중국에서 티엔이라고 말하는 글자를 조선인들은 하날 텽이라 말한다.' 이런 식으로 대략600단어들을 대역해서 기록했다. 훈민정음 = 세종대.. 2022. 10.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