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조건1 한국어화용론4(발화행위, 적정조건, 간접발화행위) 한국어 화용론 1. 발화 행위ᆞ오스틴(J. L. Austin, 1962)- 모든 문장은 진위로 판단되는 진술만이 아니라(참이냐 거짓이냐?) 의미는 다양하다.- 문장의 형태가 평서문이라도 항상 진술로만 쓰이는 것이 아니라 약속, 명령, 경고, 요청 등으로 사용된다. 2. 발화 행위의 종류ᆞ언표행위 : 의미를 가진 문장을 발화하는 행위ᆞ언표내적행위 : 언표행위와 함께 수반되는 행위ᆞ언표효과행위 : 언표행위의 결과로 일어나는 행위예) 엄마, 배, 고파요. =먹을 것을 달라는 의미가 전달이 된다. 그 결과로 엄마는 아이에게 먹을 것을 줄 것이다. - 언표내적행위: 명시적 수행발화.무언가를 말하는 것 + 어떤 행위의 실천 나는 너하고 영화 볼 것을 약속할게.나는 모든 장병들이 모일 것을 명령한다. 나는 당.. 2022. 10.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