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역사(후기중세 한국어2, 동국정운, 어두자음군, 곡용, 방점)
한국어 역사 전체적인 면에서 음운이나 표기 문법등을 살펴본다. 1. 표기법 - 음소적 표기 표음주의, 연철 예) 이당시 표기법 : 사라미 , 오늘날에는 '사람이'로 표기한다. 'ㅅ' : 사이시옷, 속격(소유격의 기능) 말음 (받침)내파(숨이 막힘), 뒤 첫음 된소리화 말음이 불청불탁(비음 유음)일 때 전청자(ㄴ->ㄷ,ㅁ->ㅂ, ㅇ->ㄱ)로 표기 동국정운식 표기법: 세종대왕이 만듦. (우리나라의 발음소리다.)이 당시 한자는 동일한데 발음이 각자가 달랐다. 따라서 발음을 통일하려 했다. 한자를 원음에 가깝게 표기하려는 노력했다. 당시 중국어처럼... 그러나 실제 언어 생활과 다른 비현실적 방법이어서 세동때 만들어져서 성종 때 사라짐 (대략 40년 사용함) 실제 한국인의 한자음이 반영되어 나온 책 : ..
2022.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