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한국어2 한국어역사(고대 한국어, 중세한국어, 이두, 구결, 향찰) 한국어 역사 고대 한국어와 전기 중세 한국어에 대해 알아보겠다. 1. 고대 한국어 이 시기에 나오는 언어 자료는 찾기가 어렵다. 고조선 : 朝鮮(조선)– 아사달 앛-> 아침학자들은 조선과 아사달이 같은 말이라 여겼을 것이다. 부여 : 加가 - 뒤에 가가 붙는다. 이것은 부족의 우두머리란 의미가 아닐까?자료가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연구에 한계가 있다. 고구려- 자료를 찾을 수 있는 유일한 북방계 언어이다. - 삼국사기 지리지 권37- 買忽 一云 水城 (매홀은 수성이다. 인천의 옛날이름이 이추홀 인데 이것은 인천의 성으로 볼 수 있다)- 水谷城郡 云買旦忽 고구려 언어는 퉁그스 어와 일본어의 중간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고구려 자료는 100단어 미만이다. 백제- 남아있는 삼국 언어중 가장.. 2022. 10. 2. 한국어역사(알타이어족,고대 한국어, 중세한국어, 근대한국어) 한국어역사 한국어의 변화와 역사를 살펴 본다면.. 1 . 한국어사 - 고대부터 현대까지 한국어의 변화 과정을 연구하는 분야를 말한다. 이른 시기부터 현대까지 변화의 과정을 연구하는 분야를 말한다. - 언어의 역사성 =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것.- 한국어가 겪어 온 변화를 밝혀 그 역사를 체계적으로 서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언어가 변할 때 무엇이 변하는가? 음운, 문법, 의미가 변한다. 음운= 소리의변화를 말함문법= 조선시대 문법과 현재의 문법은 동일하지 않다. 의미= 의미와 어휘체계가 변한다. 연구 목적ᆞ한국어에는 우리 민족의 정신적, 물질적 생활이 반영되기 때문이다. ᆞ고전 문학 작품을 올바로 읽을 수 있게 하는 길잡이가 되기 때문이다. ᆞ현대 한국어 이해에 도움을 준.. 2022. 10.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