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공부/한국어 발음

한국어발음2 (이중모음, 이중모음의 종류, 이중모음의 발음)

by 한국어 바라기 2024. 11. 3.

 

한국어 모음은 크게 단모음과 이중모음이 있다. 

단모음은 10개 이중모음은 11개인데...

이번에는 이중모음에 대해서 살펴본다. 

 

 


1. 이중모음이란

 

 

1) 이중모음은 두 개 이상의 단모음이 합쳐진 소리이다. 

2) 이중모음은 발음 할 때 입 모양이 변하면서 나타나는 소리다.

3) 이중모음을 발음할 때 입 모양이 변하는 이유는 두 소리가 연속적으로 합쳐졌기 때문이다. 

4) 발음기관의 모양이나 위치가 발음을 시작할 때와 끝날 때가 서로 다르다. 

 

 

2. 이중모음의 종류

 

1) 'ㅣ-'계 이중모음(상향 이중모음): ㅑ, ㅕ, ㅛ, ㅜ, ㅖ, 겨

2) 'ㅗㅜ'계 이중모음: ㅘ, ㅝ, ㅙ, ㅞ(ㅚ ㅟ)
3) '-ㅣ'계 이중모음: ㅢ


3. 이중모음 'ㅢ'의 발음

 

1)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에게도 발음상의 다양성이 발견되기도 하고, 표준어 규정 을 보더라도 위치에 따라, 또는 문법적인 기능에 따라 아래와 같이 여러 가지로 발음된다.

 

'ㅢ' 의 위치 발음
어두 의지(의지), 의미(의미)
자음+ㅢ 희망(히망), 띄다(띠다)
둘째음절 이하 ㅢ, ㅣ 주의(주의/주이), 의의(의의/의이)
조사 ㅢ, ㅔ 우리의(우리의/우리에), 사랑의(사랑의/사랑에)

 

2) 이중모음 'ㅢ'가 언어학적으로 꽤 특이한 존재임을 드러낸다.
3)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에게도 발음하기 쉬운 모음은 절대 아니다.
4) '니'가 들어가는 단어를 선별하여 환경을 달리하여 발음해 보도록 하는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4. 이중모음 지도 방법

 

1) 한국어에서 이중모음은 표기상으로는 하나의 단위처럼 보인다.

① 표기상의 'ㅚ'와 'ㅟ'는 단모음으로 발음할 경우, 'ㅚ'는 입술은 [ㅗ]모양으로 하되 발음은 [ㅣ]로 한다
② 'ㅟ'는 입술은 [T] 모양으로 하되 발음은 [ㅣ]로 하는 한다

 

2) 이중모음은 단모음과 자음의 학습이 끝난 다음에 지도하는 것이 학습자들의 혼란을 줄일 수 있다.

3) 이중모음에 관한 제시가 끝난 다음에는 이중모음으로만 되어 있거나 단모음과 이중모 음이 섞여 있는 실제 어휘를 이용하여 모음 익히기 연습을 할 수 있다.
예) 여유, 야유, 의의, 예의, 얘, 왜, 우유, 여우, 유아, 이유